• 제목/요약/키워드: Catalase 활성도

검색결과 612건 처리시간 0.023초

토마토의 성장과정에 따른 카탈리아제 (Catalase) 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atalase Activities of Tomato (Lycopersicum esculentum) as a Function of Age)

  • 박시원;김덕심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068-1075
    • /
    • 1993
  • 토마토(Lycopersicum esculentum)를 파종하여 1년간 성장시키면서 성장기간에 따른 잎과 뿌리의 catalase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뿌리에 있어서의 catalase 활성은 잎의 경우에 비해 전반적으로 매우 미약하였다. 반면에 잎의 catalase 활성은 매우 현저한 변화 양상을 나타냈는데 주로 peroxisomal 분획에 존재하였고 특히 발아 후 2주 이내의 발아초기에 76 ${\mu}mol$/ml/min의 최고 활성은 기점으로 하여 급격히 감소했다가 성장기 4 ∼ 5 개월에 즈음하여 상당히 증가된 활성을 보였으며 11 ∼ 12개월째 노화기에 가장 저조한 활성을 보였다. 이와 같이 성장시기에 따라서 변화하는 catalase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첫째 발아기에는 glyoxylate cycle과 $\beta$-oxidation이 일어나는 glyoxisomal 반응 그리고 둘째 발아기 이후에는 광합성 반응이 각각 해당시기에 $H_2O_2$를 발생시키는 반응으로 작용할 것으로 간주된다. 이 외에도 NADPH는 불활성화된 catalase(compound II)를 다시 활성화시켜 해로운 기질인 $H_2O_2$로부터 catalase 보호제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토마토의 생장기간 전체에 걸쳐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녹두의 발아과정 중 $GA_3$ 및 ABA의 처리가 Peroxidase, Catalase 활성변화와 Isoperoxidase Pattern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_3$ and ABA on Peroxidase and Catalase Activities and Isoperoxidase Patterns in Mung Bean Seedling)

  • 이상갑;박우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2호
    • /
    • pp.205-210
    • /
    • 1988
  • 식물은 생장조절제에 의한 녹두의 부위별 peroxidase, catalase활성과 전기영동상 peroxidase 동위효소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녹두의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하배축을 제외하고는 peroxidase 활성도는 증가하였으나 catalase 활성도는 감소하여 서로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암발아시킨 녹두에 $GA_3$와 ABA를 각각 처리하면 peroxidase 활성도의 증가에 대하여 자엽에서만 $GA_3$가 ABA 보다 더 큰 영향 을 끼쳤으나 catalase 활성도 변화는 ABA가 $GA_3$ 보다 더 큰 영향을 끼쳐 모든 부위에서 활성도를 증가시켰다. $GA_3$와 ABA를 혼합하여 처리하면 효소활성도의 변화 경향은 $GA_3$보다 ABA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Peroxidase 동위효소의 수는 발아,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모든 부위에서 계속 증가하여 활성도와는 무관하게 발아 후 6일째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호르몬의 처리에 따른 동위효소의 변화는 동위효소의 수에 대해서 보다는 intensity에 대하여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홍삼 투여가 방사선에 조사된 생쥐 신장의 Superoxide Dismutase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the Kidney of Gamma-ray Irradiated Mice)

  • 박영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15권1호
    • /
    • pp.123-130
    • /
    • 1992
  • 감마선에 조사된 흰쥐의 신장 내의 효소활성에 홍삼 추출물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생후 5주령의 생쥐를 4군으로 분류하여 감마선 조사 및 홍삼 추출물 투여 혹은 생리적 식염수를 투여하고 그로부터 1일, 2일, 3일, 4일 및 5일 등 5회에 걸쳐 도살하여 신장을 취하고 신장조직 내의 SOD, peroxidase 및 catalase 등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홍삼 추출물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SOD나 catalase 및 peroxidase의 활성이 유의성있게 증가하다가 회복하였으며 감마선 조사 후 생리적 식염수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SOD, peroxidase 및 catalase의 활성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감마선 조사후 홍삼 추출물 투여군은 SOD, peroxidase 및 catalase의 활성도가 감마선 조사 후 생리적 식염수 투여군에 비하여 보다 빠르게 회복되는 경향이었다. 그러므로 홍삼 추출물이 이온화 방사선 조사 후 장해로 일어나는 SOD, peroxidase 및 catalase 활성도의 변화에 회복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 PDF

Pickle 제조과정, $H_2O_2$, 저장기간에 따른 refrigerated dill pickle과 brine중의 lipoxygenase, peroxidase, catalase 활성의 변화 (Effects of Dill Pickling Process, $H_2O_2$ and Storage Duration on Lipoxygenase, Peroxidase and Catalase Activities in Cucumber and Brine)

  • 장미진;조일영;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3호
    • /
    • pp.222-226
    • /
    • 1996
  • 제조과정, 과산화물 및 저장기간에 따른 냉장 Dill 피클과 brine에 함유된 lipoxygenase, peroxidase, catalase 효소의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오이를 Dill 피클용 brine에 1일 저장시의 lipoxygenase는 거의 비활성화 되었으나, 1일 이후에는 lipoxygenase의 활성은 서서히 감소하였다. 반면, 오이 tissue에 존재하는 peroxidase의 활성은 피클 제조후 4일 저장기간 동안 서서히 감소 현상을 나타내었다. 신선한 오이 tissue에서 추출된 catalase는 높은 활성을 가지나, 오이를 피클용 brine에 담갔을 경우에는 소량의 catalase 활성만 보였다. Brine에 과산화물을 첨가시, tissue에서 추출된 lipoxygenase, peroxidase, catalase 활성은 저장 기간과 과산화물 농도에 따라 지속적인 감소를 보였다.

  • PDF

Glycation propagator에 의한 DNA damage 증가 (Increased DNA Damage Induced by Glycation Propagator)

  • 손태건;곽이섭;진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06-410
    • /
    • 2004
  • Glycation 반응은 glucose와 amino group 간에 일어나는 비효소적 축합 반응인 maillard 반응의 초기 반응으로 non enzymatic glycation 이라고도 한다. 생체내 glycation 반응을 통해 다수의 dicarbonyl화합물이 생성되고, 이들 dicarbonyl들 중에서 매우 반응성이 큰 것으로 확인된 glyoxal과 methylglyoxal과 catalase를 반응 시켜 glycation catalase의 활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Non-glycated catalase에 비해 glycation catalase에서 구조적 인 modification과 degradation이 일어났으며, glycation반응 시간에 따라 활성이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glycation 반응 시간 20일 경과 이후 glycation catalase 경우 활성이 거의 상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Glyoxal과 methylglyoxal의 농도를 달리 해서 DNA와 반응 시켜 glycation propagator에 의한 직접적인 DNA damage를 확인 한 결과 Glyoxal과 methylglyoxal의 농도와 반응 시간에 따라 DNA mobility sit의 차이를 나타냈다. Fenton reaction 조건에 glyoxal과 methylglyoxal에 의해 활성이 저하된 catalase를 첨가 시켜 8-OH-dG의 생성을 확인한 결과 두 glycation propagator와의 반응 시간 의존적으로 8-OH-dG의 생성이 증가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glyoxal과 methylglyoxal의 antioxidant의 glycation은 oxidative stress의 증사를 유발해 생체내 활성 산소로부터 방어 기작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상추에서 수분 스트레스에 의한 항산화(抗酸化) 효소(酵素)의 활성도(活性度) 변화(變化) (Changes in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during Water Stress in Lettuce(Lactuca sativa L.))

  • 강상재;박우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5권
    • /
    • pp.93-100
    • /
    • 1997
  • 4종(種)의 상치를 공시작물(供試作物)로 하여 수분(水分) 스트레스에 노출(露出)을 시켰을 때 총(總) 단백질(蛋白質)의 함량(含量)은 Flooding 처리시 그 감소율(減少率)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감소율(減少率)은 JCM이 가장 컸고, DCM이 가장 작았으며 품종간(品種間) 각 처리별(處理別) 차이(差異)가 크게나타났다. 총(總) 지질(脂質)의 함량(含量)은 감소율(減少率)이 CCM이 가장 컸고 JCM, DCM, DJM순(順)으로 감소(減少)하였다. 항산화효소(抗酸化酵素)인 Superoxide Dismutase(SOD)는 Catalase, Ascorbate Peroxidase의 활성도(活性度)는 전체적으로 감소(減少)하였으며 그 감소율(減少率)은 Catalase의 경우 처리별 JCM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DCM, DJM에서는 Flooding 처리시 효소의 활성도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Calatase의 활성도(活性度) 변화(變化)가 Ascorbate peroxidase의 활성도(活性度) 보다 감소율(減少率)이 더 크게 나타나 이는 Catalase가 Ascorbate peroxidase 보다 과산화수소(過酸化水素)와 더 직접적(直接的)으로 반응(反應)을 함을 나타낸다. Drought 처리기간별(處理期間別) 효소(酵素)의 활성도(活性度)는 생육시간(生育時間)이 길어질수록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Catalase의 활성도(活性度)가 4일째 이후 가장 급격하게 감소(減少)하였다.

  • PDF

Paraquat중독에 의한 폐독성에 미치는 Aminotriazole의 영향 (Effects of Aminotriazole on Lung Toxicity of Paraquat Intoxicated Mice)

  • 이승일;안기완;정춘해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3호
    • /
    • pp.222-230
    • /
    • 1994
  • 연구배경 : Paraquat는 광범위 제초제로서 널리 사용하고 있으나, 중독시 치명적인 중독 증상을 일으킨다. 특히 폐에서는 진행성 불가역성 폐섬유종을 일으키는데, 이의 기전으로 산소유리기와 관계가 있으나 아직은 생화학적 기전이 명확하지 않다. paraquat에 의한 산소유리기가 생기면 glutathione의 변화와 G6PDH, SOD, catal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등의 효소 활성의 변화가 생길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catalase가 많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방법 : Catalase 억제제인 aminotriazole을 사용하여 paraquat만 쓰는 것과 paraquat와 aminotriazole을 같이 투여할때 생쥐의 생존율을 알아보고, 실험군을 정상대조군, Group A(aminotriazole투여군), Group B(paraquat 투여군), Group C(paraquat와 amino-triazole 병합투여군) 4군으로 나누어 폐조직에서 glutathione량, G6PDH, SOD, catal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활성도를 측정하여 비교했다. 결과 : Paraquat와 aminotriazole 병합 투여군의 생존율이 paraquat투여군보다 현저히 감소하였고, paraquat 투여로 인하여 폐 glutathione량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20%정도 감소 되었으나, aminotriazole의 투여로 인한 폐 glutathione량의 변화는 없었다. Paraquat투여로 폐 SOD, catal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활성이 모두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는데, 특히 catalase가 가장 큰 효소활성 감소를 나타냈으며, paraquat와 aminotriazole병합투여군에서는 catalase와 glutathione peroxidase활성이 paraquat단독투여군에 비하여 유의한 효소활성감소를 나타냈고, SOD는 효소활성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았다. 결론 : Paraquat투여시 catalase활성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점으로 보아 paraquat독성이 catalase활성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paraquat의 독성이 aminotriazole의 병합 투여로 더욱 증가되어 나타나는데, 이러한 결과는 aminotriazole투여로 catalase활성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나 glutathione량의 변화는 없는 점으로 보아 aminotriazole투여에 의한 paraquat독성의 증가는 총 폐 glutathione량의 변화에 의한 영향보다는 catalase활성감소에 의한 결과로 생각된다. Paraquat와 aminotriazole를 병합 투여하여 catalase활성이 억제되면 증가된 과산화수소로 hydroxyl radicals이 생성되고, 이에 의한 폐 세포손상이 유발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기내배양 담배 식물에서 p-coumaric acid, benzoic acid 및 salicylic acid에 의해 유도되는 생장 및 glutathione reductase와 catalase의 활성 (Effect of p-Coumaric Acid, Benzoic Acid, and Salicylic Acid on the Activity of Glutathione Reductase and Catalase in in vitro Grown Tobacco Plants)

  • 김상아;노광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7-23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담배식물의 생장과 glutathione reductase와 catalase의 활성에 미치는 p-CA, BA 및 SA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담배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p-CA, BA 및 SA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0^{-5}$ mM p-CA, BA 및 SA가 각각 함유된 MS배지에서 배양한 후 20일부터 5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담배의 생장을 비교하였다. 3가지 물질 모두에 의해 50일에서 생장이 가장 잘 되였다. Glutathione reductase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 BA의 활성은 대조구보다 감소하였으며, p-CA 역시 활성이 감소하였고, SA의 활성은 증가하였다. 또한 모두 40일에서 가장 활성이 높았다. Catalase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 SA의 활성은 증가하였으며, BA와 p-CA의 활성은 감소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구에서 40일에 활성이 가장 양호하였다. 결론적으로 p-CA와 BA는 담배식물의 생장을 촉진시켰으며, 50일에서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으나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SA는 담배식물의 생장을 억제시켰으나 항산화 효소의 활성은 촉진시켰으며, 40일에서 가장 활성이 양호하였다.

산소 라디칼 관련 효소의 폐흡충 발육 단계별 활성도 변화 (Activities of scavenging enzymes of oxygen radicals in early maturation stages of Paragonimus westermani)

  • 정영배;이희성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355-358
    • /
    • 1992
  • Oxygen radical은 생물체의 산소대사 과정의 부산물로 생성되어 세포내 여러 성분을 불환성화시키거나 미생물에 대한 방어기전으로 작용한다. 기생충에 존재하는 antioxidant enzyme은 숙주의 방어기전에서 유리하는 oxygen radical의 독성을 제거하므로 이 효소의 활성도는 기생충의 생존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다. 폐흡충은 피낭유충이 종숙주에 침입한 다음 숙주내 조직이행 시기를 거쳐서 폐에 도달하여 성충이 되므로 이 과정에서 각 시기별 산소독성과 이에 대항하는 효소의 환성이 다를 것으로 추정하였다. 폐흡충의 피낭유충과 감염후 4주, 8주, 12주에 얻은 충체의 추출물을 조효소(조효소)로 하여 SOD, catalase, peroxidase,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각 효소의 비환성도(specific activity) 중 catalase는 피낭유충에서 최고치였으며, SOD 와 peroxidase는 4주 충체에서 가장 높았고, glutathione peroxidase는 8주 충체에서 높았다. 이들 4가지 antioxidant효소의 비환성도는 감염 12주인 성충에서 모두 낮게 측정되어 조직 이행시기의 충체에서 더 높은 효 소 활성도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빛과 카드뮴이 벼 catalase 활성과 동위효소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and Cadmium on the Activity and Isozyme Pattern of Catalase from Ric(Oryza sativa L.))

  • 김윤경;이미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4호
    • /
    • pp.287-292
    • /
    • 2006
  • 명조건과 암조건에서 카드뮴이 벼 유묘 뿌리와 줄기의 카탈라제 총 활성과 동위효소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카드뮴을 처리하면 명조건과 암조건의 뿌리와 줄기에서 과산화수소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뿌리의 카탈라제 동위효소는 잎과는 서로 다른 조직 특이적 발현양상을 보여주었다. 또한 카드뮴을 처리하게 되면 명조건 뿌리는 암조건 뿌리와 카탈라제 동위효소의 발현 패턴에 차이를 보였다. 1 mM 카드뮴 처리에 의하여 명조건 뿌리의 카탈라제 총 활성은 약 16배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활성증가는 동위효소 CAT1l과 CAT2의 증가에 의한 것이었다. 반면 암조건 뿌리의 카탈라제는 0.1mM 카드뮴에 의하여 약 3배 증가하였느나, 0.5와 1mM카드뮴에 의하여 오히려 효소활성이 감소하였다. 0.1mM카드뮴에 의한 효소활성 증가는 CAT1, CAT3, CAT4 동위효소의 활성 증가에 기인하였으나 카드뮴 농도를 더 높였을때 CAT2와 CAT4가 감소하였다. 대조군 잎에는 양극 동위효소인 CATc, 중성 동위효소인 CATn와 음극 동위효소인 CAT1가 존재하였다. 잎에서는 명조건과 암조건 모두에서 카드뮴을 처리하여도 카탈라제 활성과 동위효소 발현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카드뮴에 의한 뿌리 카탈라제 효소의 발현변화는 빛에 의하여 조절되지만 잎 카탈라제의 발현은 빛에 의하여 조절되지 않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