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stor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9초

해동피 추출물이 냉면육수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ickly Castor-Oil Tree (Kalopanax pictus) Extract on Naengmyeon Broth during Storage)

  • 김양희;박정은;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25-13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냉면육수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천연 첨가제로서의 해동피 추출물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해동피 추출물을 냉면육수에 0, 0.1, 0.2, 0.3, 0.4%를 첨가하여 $4^{\circ}C$에서 5일간 저장하는 동안 냉면육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해동피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pH를 유지하였으며, 0.3%와 0.4% 첨가구가 다른 첨가구에 비해 높은 pH를 유지하였고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총산도는 0.3%와 0.4% 첨가구가 완만하게 증가하면서 낮은 총산도를 유지하였다. 탁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0%와 0.1% 첨가구는 급격하게 탁도가 증가하였고, 반면 0.3%와 0.4% 첨가구는 완만하게 증가하여 저장 5일에는 첨가구간에 차이가 줄어들었다. 명도의 경우 0%와 0.1% 첨가구는 다른 첨가구 보다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0.3%와 0.4% 첨가구는 저장기간 동안 완만하게 감소하여 저장 0일과 저장 5일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황색도와 적색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여 색이 진하였고, 해동피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완만하게 증가하여 색의 변화가 많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0.3%와 0.4% 첨가구는 다른 첨가구와 비교하여 낮은 총균수를 나타내어 해동피 추출물을 0.3% 이상 첨가할 경우 냉면육수의 총균수를 억제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동피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휘발성 염기 질소 함량은 적었으며, 증가하는 폭도 적어 부패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0.3%와 0.4% 첨가구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해동피 추출물을 첨가한 첨가구를 좋아하였고, 특히 0.3% 첨가구를 가장 좋아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인 실험 결과에서 해동피 추출물을 0.3%와 0.4% 첨가할 경우 냉면육수의 저장성을 연장시켜 주었으며, 관능검사 결과 0.3%를 가장 좋아하였다. 따라서 냉면육수 저장시 해동피 추출물을 0.3% 수준으로 첨가할 경우 냉면육수의 맛과 저장성을 향상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

서해안 신간척지에서 유채-피마자 작부체계시 토양염농도 및 침수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Salinity and Flooding on Plant Growth and Yield of Rape-Castor Bean Cropping System in the Newly Reclaimed Tidal Land of Western Seaside of Korea)

  • 손용만;전건영;송재도;이재황;박무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355-363
    • /
    • 2009
  • 간척조성지 밭작물 재배기술개발의 일환으로서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한 피마자와 유채를 공시작물로 하는 작부체계로 유지작물의 재배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피마자의 생존개체율은 토양염농도 $4dS\;m^{-1}$에서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초장이 50% 정도 단축되는 토양염농도는 $4dS\;m^{-1}$으로 추정되었다. 유채의 초장생육이나 수량은 토양염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초장은 $6dS\;m^{-1}$일 때, 수량은 $2{\sim}2.5dS\;m^{-1}$의 범위에서 50%가 감소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강우가 많은 계절에 재배되는 피마자는 염농도 뿐만 아니라 습해에도 약하여 배수가 불량한 영상강과 화옹 간척지에서 각각 0.8과 $6.5kg\;10a^{-1}$로 적었으나 배수가 좋은 이원 간척지는 $42kg\;10a^{-1}$로서 비교적 높은 경향이었다. 겨울작물인 유채는 비강우기간의 재염화가 심하였던 화옹 간척지에서 전혀 수량을 얻지 못하였으나 출현불량과 염농도의 변이가 심하였던 이원 간척지는 종실수량이 평균 $9kg\;10a^{-1}$로서 매우 낮았고, 염농도가 낮게 유지된 영산강간척지는 $332kg\;10a^{-1}$로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서해안 간척지에서 피마자와 유채의 생육 및 수량성을 고려해 볼 때 토양염농도가 피마자 $4dS\;m^{-1}$, 유채 $3dS\;m^{-1}$ 이하로 관리되고, 침수피해가 없도록 배수관리가 된다면 유지작물재배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L-Menthol 수용액의 가용화에 미치는 에탄올의 영향 (Effects of Ethanol on Solubilization of L-Menthol Solution)

  • 지현;최형철;정노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65-369
    • /
    • 2012
  • 본 연구에서 L-menthol 용액의 가용화에 미치는 에탄올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L-menthol 용액은 1 mM L-menthol 수용액에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과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을 가한 후, 에탄올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제조한 용액의 입자크기와 표면장력을 측정하여 가용화에 미치는 에탄올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에탄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입자크기와 표면장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경화온도에 따른 Castor Oil/epoxy의 강인성 (The Toughness of Castor Oil Modified Epoxy Resins by Various Cure Temperatures)

  • 김종석;홍석표
    • 공업화학
    • /
    • 제8권6호
    • /
    • pp.973-978
    • /
    • 1997
  •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DGEBA)수지에 castor oil(CO)로 혼합한 후 경화촉매인 tris(dimethylaminomethyl) phenol (DMP-30)로 반응시킨 에폭시의 강인성과 모폴로지를 관찰하였다. 개질제인 CO와 에폭시수지의 혼합물은 기존의 에폭시 개질제인 carboxyl terminated butadiene acrylonitrile(CTBN)보다 상용성이 좋았다. 경화온도와 CO의 양이 증가할수록 유리전이온도가 감소하였는데, CO/에폭시 경화물은 경화온도가 증가할수록 가교밀도가 감소하면서 연성구조를 갖게 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CO/에폭시 경화물은 경화온도 $40^{\circ}C$에서 CO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강인성이 약간 증가하였다. 경화온도가 증가와 CO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강인성이 증가하였다.

  • PDF

Leaf blight of Castor Bean Plants caused by 2 Species of Phytophthora(oral)

  • Kim, B.S.;Y.S. Lim;Kim, J.H.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28.3-129
    • /
    • 2003
  • A leaf blight disease caused by a species of Phytophthora has been observed on castor bean plants growing near dwelling houses in Manchon-dong, Daegu since 1993. The first isolate that we have kept was producing papillate, ovoid-obpyriform to obpyriform sporangia with on a simple sympodial sporangiophore from diseased tissue placed on water agar plates. The pure isolate, however, did not sporulate on agar media, and rarely even in water, but produced mycelial swellings and chlamydospores in water. Sporangia measured 26.1-77.4 ${\times}$ 23.2-44.0$\mu\textrm{m}$. Chlamydospores were either terminal or intercalary, and measured 24-29.4$\mu\textrm{m}$ in diameter. Sex organs were not formed in a single culture. In 2003, another pure isolate was isolated from castor bean plants with similar symptoms at the same place. The second isolate was distinct from the first one in that the second isolate was readily and abundantly sporulating on V8 juice agar plates. Sporangia of the second isolate were papillate, ovoid and caduceus with a pedicel. Sporangia measured 19.5-48.8 x 17.6-34.3$\mu\textrm{m}$ with 3.7$\mu\textrm{m}$ high papilla and 4.1$\mu\textrm{m}$ long pedicel. No sex organs were formed in a single isolate culture. Both isolates were pathogenic on castor bean plants. Results of the efforts to identify the two species of Phytophthora will be discussed.

  • PDF

돈분과 피마자박의 혼합비율에 따른 퇴비화 연구 (Composting of the Mixtures with Pig Manure and Castor Meal)

  • 장기운;이종진;홍주화;김남천;김완주;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4권2호
    • /
    • pp.181-188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humificating grade according to experiment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phyto-toxicity during composting of using with pig manure and castor meal. The material ratios of the compost which was mixed with pig manure(P), castor meal(C), and saw dust(S) were 5 : 1 : 4(PCS-I), 5 : 2.5 : 2.5(PCS-II) and 5 : 4 : 1(PCS-III) by volume to volume, and they were decomposed for 60 days. In the result, the changes of temperature in all treatments during composting were rapidly increased more than $68^{\circ}C$ at the incipient stage, and gradually decreased within $39^{\circ}C$ at 60 days the after treatment. pH was slowly increased from 7.5 to 7.7, and the C/N ratio was 13~14 at the final composting stage. The low C/N ratio value in this compost was caused by the castor meal contented high nitrogen level(T-N 5.7 %). G.I.(germination index) was showed 73 to 78 range in all treatments at the $60^{th}$ day. Among all treatments PCS-I was appeared to be the best condition for composting.

  • PDF

산화-환원 전처리에 따른 Ni/SiO2 촉매의 캐스터오일 수소화 (Effect of Oxidation-reduction Pretreatment for the Hydrogenation of Caster Oil over Ni/SiO2 Catalyst)

  • 최이선;김수영;고형림
    • 공업화학
    • /
    • 제28권3호
    • /
    • pp.326-331
    • /
    • 2017
  • 캐스터오일은 수소화반응을 통해 계면활성제의 중간체 등 유용한 화학산업의 원료로 활용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캐스터오일의 수소화용 니켈촉매의 제조조건과 전처리 조건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니켈촉매는 침전제와 pH를 다르게 하여 실리카 담체상에 침전법으로 담지되었고, 다시 산화와 환원의 반복된 전처리를 행하였다. 니켈촉매의 활성은 캐스터오일의 요오드 가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니켈촉매의 분산도는 XRD, BET, TEM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니켈촉매의 활성을 CO산화반응실험을 통하여도 비교하였다. 산화와 환원 사이클의 반복에 의해 니켈의 재분산이 실리카 상에서 발생하였고, 이것이 캐스터오일 수소화반응 활성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하였다.

Lamb Leather용 Caster Oil 기반 수분산 바이오 폴리우레탄필름의 제조 (Analysis of Properties of Water-Dispersed Bio-Polyurethane Based on Caster Oil for Lamb Leather Surface)

  • 이주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1-168
    • /
    • 2022
  • 피마자 기반 수성 폴리우레탄(CPUD)을 얻기 위해 무 변성 피마자유 (CO) 와 투명 필름을 얻기 위해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를 사용했다.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의 혼합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사슬연장제로 에틸렌다이아민(EDA)을 사용했다. 각각 피마자유 함유에 따른 변화와 사슬연장제 변화에 따른 인장강도, 연신율 내마모성을 측정했다. 피마자유 함유가 많은 시료의 인장강도가 1.112kgf/㎟, 연신율 88%로 나타났으며, 사슬연장제 함유가 많은 시료의 인장강도가 3.33kgf/㎟, 연신율 99%로 측정되었다. 표면강도는 SEM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Thermal Stability and Fracture Toughness of Epoxy Resins Modified with Epoxidized Castor Oil and Al2O3 Nanoparticles

  • Zhu, Lin;Jin, Fan-Long;Park, Soo-J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8호
    • /
    • pp.2513-2516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epoxidized castor oil (ECO) and $Al_2O_3$ content on the thermal stability and fracture toughness of the diglycidylether of bisphenol-A (DGEBA)/ECO/$Al_2O_3$ ternary composites using a range of techniques.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composites was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ECO and $Al_2O_3$ nanoparticles. The fracture toughness of the composites was improved significantly by the addition of ECO and $Al_2O_3$ nanoparticles. The composite containing 3 wt % $Al_2O_3$ nanoparticles showed the maximum flexural streng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revealed tortuous cracks in the DGEBA/ECO/$Al_2O_3$ composites, which prevented deformation and crack propa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