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stanopsis cuspidata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5초

생일도의 생물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getation of the Saeng-il Island)

  • Ho Joon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4권3_4호
    • /
    • pp.80-92
    • /
    • 1981
  • 1979년 7월부터 1981년 5월까지 4회에 걸쳐 생일도의 식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도의 식물을 총 89과, 203속, 211종, 28변종, 3품종이었으며 상록활엽수는 동백나무, 구실잣밤나무를 비롯해서 총 24종이었다. 본도의 동북사면보다는 남서사면의 식생이 양호하였으며 그외의 지역은 식물상이 빈약하였고 유촌리에서 금머리사이의 지역은 칡과 누리장나무가 우점종이었다. 굴전리, 용출리, 금머리지역에 동백나무, 참식나무, 구실잣밤나무를 비롯한 상록활엽수가 우점종이었던 것이 인위적인 간섭(신탄용, 건축용, 방목등)에 의해 현재와 같은 곰솔을 우점종으로 하는 인위적인 천이가 일어난 것이다. 금머리 후사면의 동백나무군락과 굴전리와 항도 동사이의 구실잣밤나무군락은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며 제주도와 돌산도에 분포하고 있는 호자나무(Damnacanthus indicus)가 본도에서도 발견된 것은 특기할만 하다.

  • PDF

한국산(韓國産) 참나무과(科) 수종(樹種) 도관구조(道管構造)에 관(關)한 연구(硏究)(II) -도관벽(導管壁)의 수식구조(修飾構造)- (A Study on the Vessel Structure of Fagaceae Species in Korea (II) -Micromorphology of Vessel Wall Sculpture-)

  • 이성재;이원용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8권1호
    • /
    • pp.51-66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icromorphology of vessel wall sculpture such as shape of perforation plate, perforation rim, steepness of perforation plate, occurrence of vestured pit, warty layer and ray-vessel pitting on 13 species of Fagaceae in Kore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In the species examined, all sample species except 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have simple perforation plate. But 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has simple and scalariform perforation plate (it was called to combination perforation plate) in a tree stem. 2. The shapes of perforation rim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Type A without tail, Type B with small tail on both sides, Type C with long tail on both sides, Type D with tail only one side and Type E with the very short interval between perforations. Among five types, Type Band C have higer frequency of distribution than the others. 3. The steepness of perforation plate measured was about 20 degree on pore zone and 43 degree on outside parts of pore zone. 4. Species with vestured pit were Q. aliena, Q, dentata, Q. variabilis, 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Q. acuta, Q. stenophylla, and Q. glauca. But the extent of vesturing was very slight and vestured pits were observed mainly in ray-vessel pit of some vessel elements. 5. Species with warty layer on the inner surface wall of all vessel elements were Q. acuta, Q. stenophylla, Q. glauca, 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and species with warty layer of some vessel elements were Q. aliena, Q, dentata, Q. variabilis,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6. Species with palisade ray-vessel pit were Q. acuta, Q. stenophylla, Q. glauca, Castanea crenata, Castanea bungeana, Q. aliena, Q. serrata, Q. mongolica, and species with scalariform ray-vessel pit was 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and species with oval ray-vessel pit were Q, dentat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 PDF

참나무과 수목 5종 수용성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n the Water Extracts of Five Fagaceae Plants)

  • 문상호;송창길;김태근;오동은;김현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95-310
    • /
    • 2017
  • 본 연구는 자생식물 참나무과(Fagaceae)인 붉가시나무, 참가시나무, 종가시나무, 개가시나무, 구실잣밤나무 5종을 이용하여 친환경 농자재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용성 추출액 농도에 따른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Diaporthe citri, Phytophthora capsici 등 5종의 작물 병원균에 하여 생장을 조사하였다. 공여체식물별에 따른 수용성 추출액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작물 병원균 균사의 생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공여체식물과 병원균의 종류에 따라 억제의 정도차이를 보였다. 구실잣밤나무의 수용성 추출액인 경우 Diaporthe citri, Phytophthora capsici, Pythium graminicola에 대하여 25% 처리구에서 약 84%의 균사 생장을 억제하였고 50% 이상 처리구에서는 87%의 균사 생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Diaporthe citri의 경우 붉가시나무 수용성 추출액에서는 균사의 생장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참가시나무, 종가시나무, 개가시나무는 15% 내외로 미비하게 균사생장을 억제 되었다. 항균활성을 보이는 수용체식물의 총 페놀 함량은 구실잣밤나무 22.32 mg/g, 참가시나무 8.32 mg/g, 종가시나무 6.83 mg/g, 개가시나무 5.95 mg/g, 붉가시나무 5.24 mg/g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참나무과 5종 중 구실잣밤나무의 수용성 추출액이 가장 항균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소나무림의 군락분류와 군락지리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s in Korea)

  • 전영문;이호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7-277
    • /
    • 2007
  • Z-M방법으로 한국 전역의 소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나무림은 크게 1군집, 3군락, 7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한국 소나무림의 분류체계는 다음과 같다. Rhododendro-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I : Lindero-Quercion mongolicae Kim 1990 em. Kim 1992 A : Quercus mongolica-Pinus densiflora community A-1 : Typical subcommunity A-2 : Vaccinium koreanum subcommunity A-3 : Rhododendron micranthum subcommunity B : Quercus serrate-Pinus densiflora community B-1 : Typical subcommunity B-2 : Juniperus rigida subcommunity B-3 : Styrax japonica subcommunity B-4 : Eurya japonica subcommunity C: Saso-Pinetum densiflorae Yim et al. 1990 Camellietalia japonicae Oda et Sumata 1966 II : Ardisio-Castanopsion Miyawaki et al. 1971 D :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Pinus densiflora community 소나무-신갈나무군락은 한반도 중북부지역의 산지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소나무-졸참나무군락은 한반도 중부와 남부의 저산지와 구릉지에 넓게 나타났다. 소나무-제주조릿대군집은 제주도의 소나무림에서 조사되었다. 그리고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은 남서해안과 도서를 포함하는 난 온대역에 분포하였다.

제주도 자생 참나무과 식물의 대기 중 CO2 흡수 능력의 비교분석 (Analysis of CO2 Fixation Capacity in Leaves of Ten Species in the Family Fagaceae)

  • 오순자;신창훈;김철수;강희석;강경민;양윤희;고석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9-96
    • /
    • 2012
  • The rate of photosynthesis (A) of leaves from 10 plant species (6 evergreen and 4 deciduous) of the family Fagaceae was measured using a portable photosynthesis analyzer, to examine which species take up $CO_2$ most efficiently. Of the evergreen species, the photosynthetic rate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was highest, and remained above 82.1~106.4 ${\mu}mol\;kg^{-1}s^{-1}$ from July to November. Of the deciduous species, the photosynthetic rate of Quercus acutissima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three species, and remained high at 83.5~116.6 ${\mu}mol\;kg^{-1}s^{-1}$ from September to November. The photosynthetic rate of the 10 speci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omatal conductance (gs) and transpiration rate (E).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hotosynthetic rate and intercellular $CO_2$ concentration ($C_i$), althoug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just in three species (Q. gilva, Q. acutissima and Q. glauc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_2$ fixation capacity of C. cuspidata var. sieboldii, an evergreen species, and Q. acutissima, a deciduous specie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pecies examined, and that photosynthesis is regulated by both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Therefore, C. cuspidata var. sieboldii and Q. acutissima may be valuable for the evaluation of carbon uptake in urban green spaces as well as in afforested areas.

남한의 기후와 지형적 특성에 근거한 주요 식물군락의 분포 (Distribution of Major Plant Communities Based on the Climatic Conditions and Topographic Features in South Korea)

  • 양금철;심재국
    • 환경생물
    • /
    • 제25권2호
    • /
    • pp.168-177
    • /
    • 2007
  • 남한 전 지역을 대상으로 구축된 위도, 고도, 경사, 사면방위, 온량지수, 한랭지수, 연평균기온과 수치 현존식생도에서 추출한 주요 17군락을 MG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첩분석을 통해 17군락의 지형적, 기후적 공간분포 특성과 분포역 및 특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온량지수(WI)는 수평적으로 위도 $1^{\circ}증가에 $5.27^{\circ}C{\cdot}month$, 수직적으로 표고 100 m 상승함에 따라서 $3.41^{\circ}C{\cdot}month$ 체감하고, WI와 CI사이의 관계는 선형 회귀식 $WI=116.01+0.96{\times}CI,\;R^2=0.996$으로 표현되었다. WI값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분포하는 식물 군락은 Abies nephrolepis, Taxus cuspidata, Abies koreana, Quercus mongolica, Carpinus laxifora, Q. dentata, C. tschonoskii, Q. serrata, Pinus densiflora, Q. aliena, Q. variabiiis, Q. acutissima, P. thunbergii, Q. acut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amellia japonica,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순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림은 건조한 남사면이나 남서사면보다 비교적 적습한 서북, 남동사면 등에 분포하며, WI가 $70{\sim}80^{\circ}C{\cdot}month$인 곳에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졸참나무림은 WI $90{\sim}100^{\circ}C{\cdot}month$의 범위를 갖는 대부분의 북서 사면과 서사면에 분포하였다. 굴참나무림과 상수리나무림은 WI $95{\sim}100^{\circ}C{\cdot}month$의 남동 사면에 높은 분포빈도를 보였다. 경사도에 따른 식물군락의 분포를 급경사에서 완경사순으로 1. Abies nephrolepis, Machilus thunbergii, 2. Taxus cuspidata, Abies koreana, Quercus mongolica, Q. dentate, Q. serrata, Q. variabilis,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3. Pinus densiflora, Q. aliena, Q. acutissima, P. thunbergii, Q. acuta 4. Carpinus laxiflora, Camellia japonicas. C. tschonoskii community의 5개 그룹으로 나타났다.

비진도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특성 (Plant Community Structure Characteristic of the Evergreen Forest, Bijindo)

  • 이수동;김지석;김미정;강현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28-242
    • /
    • 2016
  • 본 연구는 모밀잣밤나무 등이 분포하여 식생학적 가치가 높은 비진도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TWINSPAN과 DCA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모밀잣밤나무군락, 모밀잣밤나무-곰솔군락, 참식나무-동백나무군락, 굴피나무군락, 졸참나무-낙엽활엽수군락, 사방오리나무군락, 곰솔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상록활엽수림은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모밀잣밤나무, 참식나무, 동백나무의 세력이 우세하여 인위적인 간섭에 의한 교란이 없다면 당분간 현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굴피나무군락은 상록활엽수인 참식나무에 의해, 졸참나무-낙엽활엽수군락은 상호경쟁에 의해 식생의 변화가 예상되었다. 난대림의 일반적인 천이경향은 곰솔, 낙엽활엽수를 거쳐 후박나무, 구실잣밤나무, 참식나무 등 상록활엽수림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측하고 있는 바, 비진도의 곰솔, 낙엽활엽수 우점지역도 장기적으로 이들 수종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이다. 종다양도는 곰솔자연림군락(1.2739), 졸참나무-낙엽활엽수군락(1.2325), 낙엽활엽수군락(1.1807), 사방오리나무군락(1.0854)이 높은 반면에, 상록활엽수가 우점하는 모밀잣밤나무군락, 참식나무-동백나무군락, 곰솔 산불피해지 군락은 0.7380~0.8416으로 낮았다. 토양산도(pH)는 4.72~6.33, 전기전도도는 34.5~127.9uS/cm, 유기물함량은 3.4~17.4%이었다.

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연구 (A Study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Dongbaekdongsan(Mt.) in Jeju-do, Korea)

  • 곽정인;이경재;한봉호;송지호;장종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41-25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m{\times}20m$ 조사구 20개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과 DCA ordination, 평균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종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감탕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동백나무-곰솔군집, 곰솔-종가시나무군집 등 총 5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동백동산 암괴기반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림 지역은 교목층에서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우점하고 하층에 동백나무가 우점하는 식생구조이었고 일정 토심을 유지하는 지역은 교목층에서 곰솔이 우점하였다. 곰솔군집은 동백동산이 제주도기념물로 지정되기 이전 훼손된 지역 중 일부 토심이 유지되는 지역에 식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동백동산은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우점하는 식생과 곰솔이 우점하는 식생 모두 향후 종가시나무-동백나무 군집으로의 천이가 예상되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는 상록활엽수군집에서는 1.0268~1.0717이었고 곰솔군집이 1.2102로 가장 높았다. 상록활엽수 10종의 상재도가 80% 이상이었으나 향후 교목층을 형성할 수 있는 구실잣밤나무와 생달나무는 출현빈도와 우점도가 낮았다. 고령의 동백나무가 모든 조사구에서 출현했는데 과거 숲이 훼손될 시에도 신성시 여겨져 보호되어 왔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동백동산은 기존의 제주도 상록활엽수림과는 다른 식생구조를 보여 천이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태이었고 과거 훼손 영향으로 다른 상록활엽수림과 다른 식생구조와 천이경향을 일부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동백동산은 지속적 관찰이 요구되며, 식생이 안정될 수 있는 기간이 흐른 뒤에 천이방향과 군집특성을 규명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