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stanopsis cuspidata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7초

난대지역 주요 4개 수종의 탄소배출계수 개발 및 적용 (A Practical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Carbon Emission Factors for 4 Major Species of Warm Temperate Forest in Korea)

  • 손영모;김래현;강진택;이광수;김소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593-598
    • /
    • 2014
  • 본 연구는 주요 4개 난대수종에 대한 탄소배출계수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탄소저장/흡수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수종은 구실잣밤나무, 동백나무, 붉가시나무 및 종가시나무였으며, 이들에 대한 탄소배출계수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탄소배출계수 중 하나인 목재기본밀도는 구실잣밤나무 0.583, 동백나무 0.657, 붉가시나무 0.833, 종가시나무 0.763이었으며, 이들 계수에 대한 불확도는 5.3~17.9%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구실잣밤나무 1.386, 동백나무 2.621, 붉가시나무 1.701, 종가시나무 2.123이었으며, 이들에 대한 불확도는 14.7~30.5%의 범위에 있었다. 또한 뿌리 함량비는 구실잣밤나무 0.454, 동백나무 0.356, 붉가시나무 0.191, 종가시나무 0.299이었으며, 이들에 대한 불확도는 19.8~35.7%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재기본밀도 등 3개의 탄소배출계수는 모두 FAO에서 권장하는 40% 이하의 불확도를 갖고 있으므로 국가고유계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난대지역에 분포하는 주요 4개 수종에 대한 탄소저장량을 산정한 결과, 구실잣밤나무 $186.10tCO_2/ha$, 동백나무 $280.63tCO_2/ha$, 붉가시나무 $344.04tCO_2/ha$, 종가시나무 $278.91tCO_2/ha$으로 나타났으며, 연간 탄소흡수량은 $6.65tCO_2/ha/yr$, $6.25tCO_2/ha/yr$, $11.70tCO_2/ha/yr$, $12.29tCO_2/ha/yr$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러한 정보는 난대지역 상록활엽수림 경영관리에 있어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며, 기후변화에 의한 산림 식생대 변화를 대비하는 정책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 상록활엽수의 수분상태와 광합성능 (Water Status and Photosynthetic Activities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 Ihm, Byung-Sun;Gae-Hong Suh;Jeom-Sook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3호
    • /
    • pp.353-364
    • /
    • 1993
  • To elucidate ecophysiological factors affecting nutural distribution of evergreen broad-leabed trees in Danohad National Marine Park, water potential, relative water content and photosynthetic activities of 4 species, Cammellia japonica, Machilus thunbergii, Castanopsis cuspidata var.sieboldii and Quercus acuta, were potential began to decrease from 07:00h to its minimum value at 13:00h for C. cuspidata var. sieboldii (-14.3bar) and Q. acuta (-19.4bar) at 16:00 h for M. thunbergii(-17.0bar) and at 19:00 h for C. japonica (-14.5bar), and these showed similar trends to relative water content. Photosynthetic activities of 4 species began to increase from 7:00 h and reached maximum values before their minimum values of water potential occureed. Optimum temperature renges of photosynthetic activities was $18~20^{\circ}C$ for C. japonica - M. thunbergii and $14~16^{\circ}C$ for C. cuspidata var. sieboldii Quercus acuta.Q.acuta had the highest light saturation point of $0.4mM/m^2/s$ and C. japonica the lowest of $0.15mM/m^2/s$. Water potential of 4 species subjected to water stress, began to decrease after 1st day of drought and after 21th day of drought, those of C. japonica, M. thunbergii, C. cuspidata var. sieboldii and Q. acuta decreased to species began to decrease after 7th day of drought and after 21th day, those of M. thunbergii, C. cuspidata var. sieboldii and Q. acuta were dropped to about 50% and C. japonica 83.5%. Photosynthetic activity of 4 specie began to decline in the order of C. cuspidata var. sieboldii, Q.acuta, C. japonica and M. thunbergii after 10th day of drough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gregated disributions of C. japonica - M. thunbergii on vally positions and C. cuspidata var. sieboldii - Q. acuta on slopes were associated with different responses of water status and photosyntheties to their environment.

  • PDF

황칠나무군락의 식생구조와 입지환경 분석을 통한 생육가능지역 추정 (Estimation of Possible Growing Area by Analysi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Habitat Environment of Dendropanax morifera Community)

  • 전영문;이은혜;이재석
    • 환경생물
    • /
    • 제28권1호
    • /
    • pp.30-39
    • /
    • 2010
  • 남해안 고흥, 해남, 완도, 보길도지역에 분포하는 황칠나무개체군 생육지의 군락구조와 종조성, 그리고 입지환경 등을 조사하였으며, 자생지의 기상요인을 분석하여 생육가능지역을 추정하였다. 황칠나무군락은 종조성의 차이에 의해 구실잣밤나무군과 서어나무군으로 구분되었다. 상대기여도에 의한 우점도값은 전체적으로 동백나무(100.0), 붉가시나무(88.6), 구실잣밤나무(55.8), 황칠나무(41.4), 마삭줄(23.8), 사스레피나무 (19.9), 광나무(11.5) 등 상록활엽수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개체군 분포는 서어나무군이 흉고직경 5 cm 미만의 개체가 전체의 94.2%로 구실잣밤나무군(54.2%)에 비하여 대부분 소경목과 유목의 개체로 구성되어 있었다. 생육지의 토양환경은 약산성의 토양산도, 유기물과 토양함수량이 양호하며 배수성이 좋은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육지의 분포 범위는 대체로 연평균기온이 $13^{\circ}C$ 이상, 일 최저기온이 $7.4^{\circ}C$ 이상, 온량지수(WI) $100^{\circ}C{\cdot}month$ 이상, 그리고 연강수량은 1,344 mm 내외로서 우리나라 서남부 도서와 해안에 인접한 상록활엽수림대 지역들이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황칠나무의 자연생육지에서 확인된 연평균기온 $13^{\circ}C$를 토대로 한 생육가능 등치선은 군산-정읍-광주-진주-포항-영덕을 잇는 선으로 나타났다.

珍島의 植生 (Study on the Vegetation of Jindo County)

  • Kim, Jong-H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1호
    • /
    • pp.33-50
    • /
    • 1990
  • The flora and vegetation of Jindo Archipelago were investigated from 1985 to 1989. In the area, 1089 species, 3 subspecies, 133 varieties, and 22 forma of vascular plants were recovered. From the data,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 value 1.39 in Pte-Q and Ch-$D_1-R_3$-e in biological type were recognized. Vegetation of the area is classified into 8 communities: Pinus thunbergii-, Quercus serrata-, Q. variabilis-, Carpinus coreana-, Prunus sargentii-, Camellia japonic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and Q. acuta-community.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conducted with the materials obtained by the investigation of the vegetation in 103 area.

  • PDF

多島海 海上國立公園內의 常綠闊葉樹林에 對한 植物社會學的 硏究 ( II ) - 金鰲列島의 植生을 中心으로 -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The vegetation of Kumo Archipelago-)

  • Kim, Chul-Soo;Oh, Jang-Ge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4호
    • /
    • pp.343-359
    • /
    • 1990
  •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forest vegeation was carried out in Kumo archipelago at the period of May 21th 1990 to May 29th 1990 by Braun-Blanquet's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Camellia japonic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Machilus thunbergii, Camellia japonica-Pinus thunbergii, Camellia japonica-Torreya nucifera, Carpinus coreana and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the actual vegetation maps were drawn in 1 : 50,000 scale.

  • PDF

多島海 海上國立公園內의 常錄闊葉樹林에 對한 植物社會學的 硏究 ( 4 ) - 外羅老島의 植生을 中心으로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IV) -The Vegetation of Oinarodo Island-)

  • Kim, Chul-Soo;Jang-Geun Oh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1호
    • /
    • pp.49-61
    • /
    • 1991
  • Phytosociological invesstigation of the forest vegetation was carried out in Oinrodo island at the period from June 5th 1990 to June 10th 1990 by Braun-Blanquet's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0 communities,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Machilus thunsbergii, Neolitsea sericea, Quercus glauca-Actinodaphne lancifolia, Pinus thunbergii, Chamaecyparis obtusa, Cryptomeria japonica, Quercus acutissima, Quercus variabilis, and Carpinus coreana communit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drawn in 1 : 50,000 scale.

  • PDF

Protective Activity against Ionizing Radiation of Antioxidative Plants Indigenous to Korea

  • Jung, Myung-Sun;Kang, Kyoung-Ah;Zhang, Rui;Chae, Sung-Wook;Yoo, Byoung-Sam;Yang, Young-Taek;Lee, Nam-Ho;Park, Jae-Woo;Hyun, Jin-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2권1호
    • /
    • pp.1-7
    • /
    • 2006
  • We have screened the cytoprotective effect on ${\gamma}-ray$ radiation induced oxidative stress from forty one Korean plant extracts. Carpinus laxiflora (caulis), Quercus salicina (caulis), and Castanopsis cuspidata (caulis) were found to scaveng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an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s a result, extracts of three plants reduced cell death of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 (V79-4) cells induced by $H_2O_2$ treatment. In addition, these extracts protected cell death of V79-4 cells damaged by ${\gamma}-ray$ radiation. In addition, these extracts scavenged ROS generated by radiation. Taken toge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Carpinus laxiflora, Quercus salicina, and Castanopsis cuspidata protect V79-4 cells against oxidative damage by radiation through scavenging ROS.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I) - 식생구조 -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II) - Vegetational Structure -)

  • 오구균;김용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7-102
    • /
    • 1996
  • 한반도 난대기후대의 식생구조를 연구하기 위하여 남해안 도서지방의 상록활엽수림 지역에 52개 조사구를 설치하였다. 난대상록활엽수림은 지리적 격리와 인위적 교란에 의해 지역간 식생구조가 매우 상이하였다. 조사지의 식생들은 대체적으로 자연적 식생천이가 이루어진 상록활엽수림 집단, 장기간 훼손되었거나 관리되어온 상록활엽수림 집단, 그리고 상록활엽수종으로 천이되고 있는 조림식생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52개 조사구에서 80% 이상의 상재도를 보인 수종은 후박나무, 사스레피나무, 마삭줄, 생달나무, 광나무 등이었다. 난대기후대의 극상군락이라고 추정되는 육박나무군락은 주도와 애도에 잔존하고 있었다. 과거 교란이 있었던 해안지역에서는 구실잣밤나무로 이차천이가 예상된다.

  • PDF

제주도 선흘곶 초지지역의 천이경향을 고려한 상록활엽수림 복원 연구 (Restoration for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by Successional Trends of Pasture-grassland in the Seonheulgot, Jeju-do)

  • 한봉호;김정호;배정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9-381
    • /
    • 2004
  • 본 연구는 장기간의 이용과 간섭으로 훼손된 선흘곶 방목초지를 원식생인 상록활엽수림으로 복원하기 위하여 식생유형에 따른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천이경향을 예측하고 적합한 복원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총 26개 조사지를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우점종의 평균상대우점치에 따라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교목층 우점종의 경급을 고려하여 6개 군집으로 분류하였으며 군집 I은 덩굴성관목림, 군집 II는 상록활엽수 관목림, 군집 III은 소경목의 상록활엽수림, 군집 IV, V는 중경목의 상록활엽수림, 군집 Ⅵ은 대경목의 상록활엽수림이었다. 관목림의 출현종은 각각 24, 28종이었고 소경목 상록활엽수림은 16종, 중경목 상록활엽수림은 29, 30종이었으며 대경목 상록활엽수림은 27종이었다. 전체 종다양도지수는 0.8763∼1.2630이었으며 중경목과 대경목 상록활엽수림간 유사도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군집 I, II, III은 방목초지에서 상록활엽수로 천이가 진행된 유형이었고 군집 IV, V, Ⅵ은 방목지내 잔존림으로서 난대 상록확엽수림과 식생구조가 유사하였다. 선흘곶 방목초지지역을 상록활엽수림으로 복원하기 위해 구실잣밤나무, 종가시나무군집을 목표로 하여 선흘곶 내 상록활엽수림을 모델림으로 제시하였으며 복원모델군집의 생육밀도는 교목층에 구실잣밤나무, 종가시나무가 100$m^2$당 10주, 아교목층에는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종가시나무가 100$m^2$당 14주이었다.

한국과 일본의 동해안 지역에 분포하는 산림군락의 종조성과 분포에 관한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Forest Community in Korea and Japan around the East Sea)

  • 윤종학;허크시마 터카사;김문홍;요시카와 마사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7-357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에 분포하는 산림군락의 분포와 종조성에 관한 비교연구이다. 식생조사 자료 1844를 이용하여 79개 산림군락을 식별하였으며, 54개 종군으로 구분되어 조사지역 간의 종조성의 유사성과 이질성을 나타냈다. 또한, 산림군락의 상관을 나타내는 구성종의 특징에 따라 14개 산림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조사지역의 수직적 식생대는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고 있지만 지역 간 서로 다른 우점종과 종조성 차이를 나타냈다. 저지대에 구실잣밤나무 또는 메밀잣밤 나무를 우점종으로 하는 모밀잣밤나무속-산림형(Castanopsis-Type)은 한반도 북부와 울릉도를 제외한 조사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후박나무-산림형(Persea thunbergii-Type)은 조사지역의 전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구릉대에 분포하는 일본젓나무-산림형(Abies firma-Type)의 상록수림은 큐슈북부와 쓰시마섬에 분포하고 있다. 산지대에 참나무속(활)-산림형(Quercus(D)-Type)과 너도밤나무속-산림형(Fagus-Type)으로 구성된 낙엽활엽수림은 조사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지만, 신갈나무와 너도밤나무가 우점하는 산림군락은 한국에 분포하며, 물참나무, Fagus crenata(일명: 부나), Fagus japonica(일명: 이누부나)가 우점하는 산림군락은 일본에 분포하고 있다. 아고산대에서는 전나무속-참나무속(활)-산림형(Abies-Quercus(D)-Type), 구상나무-산림형(Abies koreana-Type), 눈잣나무-산림형(Pinus pumila-Type)이 한반도와 제주도에 분포하고, 주목-산림형(Taxus cuspidata var. nana-Type), Abies mariesii-Type(일명: 아오모리토도마츠-산림형), 눈잣나무-산림형(Pinus pumila-Type)은 일본 중부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DCA 분석결과, 제1축에 대하여 낮은 수치에서부터 상록활엽수림, 낙엽활엽수림, 상록침엽수림이 배치되었다. 또한, 지역적으로는 제1축의 낮은 수치에서 부터 일본 산림형, 제주도 산림형, 한반도 산림형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었다. 기후요인 중 온량지수와 연교차는 제1축에 대하여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해양성 기후에서 대륙성 기후를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가깝고 온난한 저해발, 저위도 지역에 분포하는 산림형일수록 산림군락간의 종조성적 유사성이 크며, 이에 반하여 지리적으로 격리되어 있으며, 고위도, 고해발지역에 분포하는 산림형일수록 산림군락간의 종조성의 차이가 뚜렷하고 산림군락의 종조성적 독립성이 강하였다. 이러한 형성요인은 오랫동안의 각 지역의 지사적(地史的)인 식물상의 구성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