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tilage defect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4초

피부이식과 흉쇄유돌근 피판을 이용한 기관 결손의 재건 1례 (Reconstruction of Tracheal Defect by Sternocleidomastoid Muscle Flap Covered with Skin Graft: A Case Report)

  • 장수경;서강현;최선;박석현;김진환;이동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3-66
    • /
    • 2021
  • Supracricoid partial laryngectomy (SCPL) with cricohyoidoepiglottopexy (CHEP) or cricohyoidopexy (CHP) involves the removal of the whole thyroid cartilage, both true and false vocal cords, the ventricles, and the paraglottic spaces, sparing the cricoid cartilage, hyoid bone, and at least one functional and mobile cricoarytenoid unit. Reconstruction is performed by suturing of the cricoid cartilage up tightly to the hyoid bone, so trachea-releasing procedures are needed to prevent leakage at anastomosis site. In case of advanced tranglottic cancer invading tracheal tracheal wall, we need to perform additional circumferentrial circumferential tracheal wall resection. However, when we perform SCPL, circumferential resection of tracheal wall is limited because SCPL procedure itself needs releasing of tracheal length. We report a case of advanced transglottic cancer involving tracheal wall treated with induction chemotherapy and SCPL including tracheal wall resection with reconstruction of tracheal defect by sternocleidomastoid muscle flap covered with skin graft.

근위 경골 절골술과 미세 골절술을 함께 시행 받은 환자 군에서 연골 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Factors for Cartilage Regeneration in Patients Who Underwent High Tibial Osteotomy Combined with Microfracture)

  • 이영민;송은규;오호석;김유석;선종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404-412
    • /
    • 2021
  • 목적: 슬관절 내측 구획 골관절염으로 근위 경골 절골술 및 미세 골절술을 함께 시행한 환자 군에서 이차적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여 연골 재생 정도를 평가하고 연골 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연골 재생의 정도와 기능적 결과가 연관성이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부터 2015년까지 근위 경골 절골술 및 미세 골절술을 함께 시행하였고, 최소 2년이 지나 금속판 제거술 및 이차 관절경 검사까지 시행 받은 8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 전 대퇴부 연골 손상의 정도는 ICRS (International Cartilage Research Society) 분류를 이용하였고, 모두 grade III, IV 였다. 이차적 관절경 검사 이후에는 연골 재생이 양호한 그룹(grade I, II)과 불량한 그룹(grade III, IV)으로 분류하였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기 분석을 통하여 연골 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요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두 그룹간의 수술 전후에 Knee Society score (KSS)와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 score (WOMAC)를 이용하여 기능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연령, 성별, 체질량 지수, 술 전후 방사선학적 요인, 술 전 관절의 상태는 연골 재생의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며, 큰 연골 병변 범위(≥2.0 cm2) (p=0.011)와 키스 병변(kissing lesion)의 존재(p=0.027)는 불량한 연골 재생과 연관성이 있었다. KSS와 WOMAC 점수상에서는 연골의 재생이 양호한 그룹과 불량한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큰 연골 병변과 키스 병변의 존재는 근위 경골 절골술 및 미세 골절술 후 불량한 연골 재생과 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재생된 연골의 상태는 기능적 결과와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늑골 Turnover 방법을 이용한 소이증 재건 시 흉벽 함몰 예방술 (Using Rib Bone Turnover Technique, Prevention of Chest Wall Depression after Microtia Reconstruction)

  • 박찬영;이윤호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2호
    • /
    • pp.214-218
    • /
    • 2008
  • Purpose: Reconstruction of microtia using costal cartilage graft is commonly used technique nowadays. The chest wall depression at the donor site after the graft, however, has been noticed in many articles. Prevention or correction technique for the depression at the donor site also has been reported and we also have been concerned about the problem. This article is a case report about a new technique preventing chest wall depression after costal cartilage graft. Methods: We selected total 15 microtia patients who visited our clinic, from December 2005 to July 2007. They were 10 male and 5 female patients and the mean age was 11.9 years.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9.2 months(2 to 15 months). We used 6, 7, and $8^{th}$ costal cartilage for microtia reconstruction. And then we turned over pivot of cartilage resection margin, after bihalving costal cartilage involving about 5-6 cm of $6^{th}$ and $7^{th}$ rib bone. After microtia reconstruction, chest donor sites were evaluated by physical examination and radiography. Results: Postoperative depression at the donor site was much less when the costal cartilage turnover technique was performed. Postoperative physical examination and three dimensional reconstruction CT showed that the rest part of rib bone was turned over and it supported the soft tissue defect during respiration. Conclusion: We expect that the turnover rib bone will not be absorbed after graft, as well as offering mechanical support, compared to the other reports.

미세골절술 후 생체막 덮개가 연골 재생에 미치는 영향 : 고식적인 미세골절술과의 전향적 비교 연구 (The Effect of Placing Biomembrane cover following Microfracture on Cartilage Repair: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Microfracture Technique in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 손광현;김진호;곽규성;박장원;윤경호;민병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3-91
    • /
    • 2011
  • 목적: 슬관절의 연골 결손에 대한 미세골절술 후 병변을 덮는 생체막을 이용한 환자들의 치료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0년 1월까지 관절경 검사로 확인된 슬관절 연골의 국소적 전층 결손이 있으며, 골관절염을 보이지 않는 53명(총 59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무작위로 선정된 36명(42례)은 미세골절술 후 생체막으로 병변을 덮어주었고(실험군), 나머지 17명(17례)은 고식적인 미세골절술만을 시행받았다(대조군). 모든 환자는 수술 후 6개월째에 임상적 결과를 IKDC 설문지와 통증, 만족도에 대한 VAS 점수를 이용하여 비교하였고,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통해 골연골 병변의 회복 상태를 비교하였다. 결과: 임상 결과(IKDC, 통증 VAS, 만족도 VAS)에서 실험군이 대체로 더 우수하였으며 IKDC에서는 두 군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IKDC, p=0.047, 통증 VAS, p=0.074; 만족도 VAS, p=0.001). MRI 추시결과에서 실험군의 33명(78.6%)에서 우수한 결손 치유(67~100%)를 보이고, 5명(11.9%)만이 불량한 치유 소견을 보인 반면, 대조군에서는 4명(23.5%)의 환자에서 양호한 결손 치유가 관찰되고 9명(52.9%)의 환자들에서 결손 치유가 불량하였다(p=0.001). 실험군에서 35명(83.3%), 대조군 중 6명(35.3%)에서 변연부 결합부에서 간격이 관찰되지 않았다(p=0.001). 생체막 사용과 관련하여 심각한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슬관절의 연골 결손 병변에 대해 미세골절술 후 생체막으로 도포한 군에서 단기 추시 임상적 결과 및 MRI를 이용한 영상학적 결과에서 결손부의 연골재생이 잘 된 것을 확인하였고, 미세골절술 후 ArtiFilm$^{TM}$을 함께 사용했던 군에서 연골 치유가 더 잘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연골피막편 이식후 기관 결손부위의 재생에 관한 실험적 연구(제 1 보) (Tracheal Reconstruction with Perichondrial Graft - An Experimental Study in Rabbits -)

  • 이원상;서장수;이성은;홍원표;박찬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0.3-11
    • /
    • 1982
  • 근래에 기도 협착의 발생빈도는 수술요법의 괄목할만한 진전과 Low pressure cuff가 개발된 후 현저히 감소하고 있으나 호흡부전으로 Ventilator를 사용하는 경우와 심한 상기도 감염이나 손상이 있을 때 또는 장기간 삽관을 함으로서 발생하는 기관 협착증은 아직도 이비인후과 영역에 있어서 난제라고 하겠다. 이러한 기도 협착증의 치료로는 기계적으로 확장을 하거나 협착 부위를 수술적으로 제거하고 조직을 이식하는 여러 방법들이 있어서 그적응증에 따라 각각 사용되어 오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는 때가 많은 실정이다. 1959년 Lester가 우연히 늑골의 잔존 연골피막으로부터 신생 연골이 재생된 것을 발견한 이후 Skoog(1972), Sohn(1974), Ohlsen(1975)등은 동물 실험을 통하여 연골 피막으로 부터의 연골 재생에 관하여 다각적인 보고를 하였다. 임상적으로 이개, 비중격, 늑골 및 피부편등 여러 가지 다양한 조직들이 기관의 결손 또는 협착 부위의 재생에 사용되어 왔으나 기관의 정상적인 지지 조직의 연골이며 또한 연골피막이 연골의 재생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 입각하여 기관의 재건에 연골피막의 사용가능성을 알아 보고저 다음의 실험을 하였다, 가토의 이개연골에서 연골피막을 취한후 인위적으로 만든 가토의 기관 결손부위에 이식한 다음 2주부터 8주경과 할때 까지의 재생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결론) 1) 기관결손 부위의 재생은 대조군에서는 결손부위에 섬유질 및 혈관으로 구성되었으나 이식군에서는 비후된 연골피막과 섬유질로 구성되었다. 2) 점막의 재생은 대조군과 이식한군 모두에서 2주경과 표본부터 정상점막으로 완전히 재생 되었다. 3) 이식 부위의 변화를 보면 2주-모세혈관의 확장과 염증반응을 동반하며 섬유조직의 증식시작이 관찰되었다. 4주-점차 모세혈관의 확장이 감소하며 염증반응의 감소가 있으며 점막하층의 섬유조직의 증식이 있고 1개의 표본에서 연골피막내에 미숙연골 세포군이 존재. 6주-경도의 모세혈관의 확장과 만성염증반응이 존재하며 점막하층의 섬유조직화가 존재하였으며 2개의 표본에서 연골피막내에 연골 세포군 및 골화현상이 존재하였다. 8주-경미한 모세혈관의 확장이 존재하였으나 염증반응은 소실되었고 점막하층에 심한 섬유화를 동반하였다. 표본 2개에서 연골 피막내에 연골 세포군의 존재가 관찰되었다. 4 ) 이식방법을 달리한 경우에도 연골 및 점막의 재생에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5) 연골피막 이식부위에서 미숙연골 세포군과 endo-chondrial ossification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대조군에서는 결손부위의 섬유화만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때 연골피막은 기관결손부위의 재진에 적합한 조직이라할 수 있었다. 그러나 40 례의 표본중 5례의 표본에서만 연골의 세포군을 관찰할 수 있어 이로 미루어 볼때 연골피막으로 부터 신생 연골이 재생된다 확인하기는 불충분하다고 생각되며 앞으로의 추시가 요망된다 하겠다.

  • PDF

배양연골막이 피복된 고효능 인공연골의 생체내 효과 (The Effect of Cultured Perichondrial Cell Sheet Covered Highly Active Engineered Cartilage: in vivo Comparative Assessment)

  • 박세일;문영미;정재호;장광호;안면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86-496
    • /
    • 2011
  • 조직공학적 인공연골재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나 임상적인 적용의 한계를 극복하기위한 고효능을 보유한 양질의 연골조직생산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인공연골은 자연연골과는 달리 '연골막(perichondrium)'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생체 내에 삽입된 후에 서서히 흡수 또는 변형으로 임상적 활용에 한계가 있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양질의 연골조직생산을 목적으로, 세포판 제작기법(cell sheet engineering technique) 을 기반으로 한 인체유래의 배양 연골막(cultured perichondrium)을 이용하여 만든 인공연골막 세포판(cultured perichondrial cell sheet)의 생체 내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배양된 연골막을 피복하여 고효능화를 유도한 인공연골복합체의 생체내 재생효능 및 조직특성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thymic nude mouse의 피하이식모델(study 1, n = 12)을 이용하여 담체로 hydrogel을 이용한 배양연골막 복합체의 생체내 효능을 분석하였고, 중대형동물의 대량연골 결손시의 재생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개의 무릎연골에 $1{\times}2cm$의 대량연골 결손모델(study 2, n = 12)을 통하여 인공배양세포판을 이식하였다. 이식12주 후 이식편을 회수하여 생화학, 분자생물학 및 면역조직학 분석을 시행한 결과, 배양연골막 복합체의 생체내 효능이 단독이식군에 비해 변형이나 과증식 없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토대로 배양연골막을 피복한 인공연골막의 관절내 효과를 규명하여 실제 임상적용을 조기화하는 기반을 제공하고 인공연골의 문제점이었던 변형과 흡수를 줄인 고효능 인공연골 제작기법을 제공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슬관절 부분결손에 대한 혈관부착 비골근위 관절면을 이용한 재건술 (Partial Knee Joint Defect Reconstruction with Vascularized Proximal Fibular Articular Surface)

  • 정덕환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7권2호
    • /
    • pp.157-164
    • /
    • 1998
  • It has been very difficult to managing partial joint defect in any etiologies, especially in children. Unicondylar defect of the tibial condyle in children reconstructed with proximal fibular head with articular cartilage from 1995. Two kinds of transfering methods were used, peroneal artery pedicled ipsilateral fibula head transposition to defective lateral tibial condyle defect that revealed poor prognosis with gradual absorption of transposed fibular epiphysis. Free vascularized fibular head transplantation with microvascular anastomosis underwent in the case with medial condyle defect of tibia which revealed very satisfactory results. Author can conclude with these clinical experiences: 1. Tranposition without epiphyseal vesssels intact is not sufficient in fibular head osteochondral transplantation in reconstruction of tibial condyle defect. That means peroneal arterial vascular pedicle is not enough for transplanted proximal epiphysis maintains its function on articular surface and growth activity in children. 2. The anterior recurrent tibial arter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easy to utilizing vessel in proximal fibular epiphyseal transplantation. 3. Free vascularized fibular head transplantation is hopeful method in reconstruction of the knee joint in the patient with partial joint defect which has no effective solution in conventional methods.

  • PDF

Repair of Recurrent Pectus Excavatum with a Huge Chest Wall Defect in a Patient with a Previous Ravitch and Pectus Bar Repair: A Case Report

  • Rim, Gongmin;Park, Hyung Jo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5권3호
    • /
    • pp.246-249
    • /
    • 2022
  • Recurrent pectus excavatum (PE) after a Ravitch operation is not uncommon. Extensive costal cartilage resection from the previous Ravitch procedure can lead to an irregular, unstable chest wall depressions with a varying degree of deformity. The optimal approach to cover the chest wall defect and remodel the deformity, remains unknown. We report the case of a 27-year-old woman seeking surgery for the third time for recurrent PE. The patient presented with 2-time recurrent pectus excavatum following a failed Ravitch procedure and subsequent pectus bar repair. The entire chest wall reconstruction and remodeling entailed covering the chest wall defect with 2 titanium plates across both sides of the rib cage, and lifting and fixing the depressed chest wall with 2 parallel pectus bars.

거골 골연골 병변의 수술적 치료 후 이차 관절경술 -자가 골연골 이식술과 미세 골절술의 결과 비교- (Second-look Arthroscopy after Surgical Treatment for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 Comparison of Mosaicplasty with Microfracture -)

  • 최진;이근배;조성범;정성택;박기헌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3-139
    • /
    • 2006
  •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mosaicplasty and microfracture after surgical treatments for symptomatic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by second-look arthroscopy. Materials and Methods: 7 cases of mosaicplasty and 7 cases of microfracture were reviewed who undertook second-look arthroscopy at 6 months or one year after undertaking mosaicplasty or microfracture for OLT between December 2004 and October 2005. The mean age at first operation was 43.6 years (Range, 20-59) (Mosaicplasty; 43.9 years, Microfracture; 43.4 years). The mean size of cartilage defect was $15.0{\times}7.7\;mm$ in mosaicplasty and $7.1{\times}6.6\;mm$ in microfracture.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by Freiburg ankle score. Cartilage healing state was evaluated by Insall's classification for chondromalasia during second-look arthroscopy. Results: By the Freiburg ankle score, 9 ankles (6 in mosaicplasty, 3 in microfracture) had excellent and 5 (1 in mosaicplasty, 4 in microfracture) had good results at the times of second-look arthroscopy. By Insall's classification, consistency of the osteochondral grafts and congruity between grafts and native cartilage (Grade I) were shown in 9 (6 ankles in mosaicplasty, 3 ankles in microfracture), a fissuring (Grade II) in one ankle of mosaicplasty, a fasciculation (Grade III) in one ankle of microfracture, and partial exposure of subchondral bone (Grade IV) in 3 ankles of microfractures. Conclusion: Mosaicplasty was more excellent in consistency and hardness of cartilage than microfracture. In some cases of microfracture, cartilage healing was incomplete at 6 months postoperatively, so second-look arthroscopy is necessary to identify. If incomplete cartilage healing was shown, additional procedure such as microfracture or mosaicplasty was needed.

  • PDF

흰쥐 퇴행성 관절염모델을 이용한 봉독약침의 치료효과 (Effect of Bee Venom Herb-acupuncture on the Repair of Articular Full-thickness Defect in Rat)

  • 조미애;함대현;이승기;최선미;김건호;심인섭;강성길;이혜정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618-622
    • /
    • 2005
  • Articular cartilage is an important target for studying the arthritic diseases. To verify the therapeutic effects of bee venom herb-acupuncture in vivo, 3${\mu}$l of diluted solution of bee venom for herb-acupuncture were injected into articular cavity once a day during 3 months after making full-thickness defects in rat articular cartilage. Histological examination and immunohistochemistry indicated that the chondrocyte-like tissue was formed during the repair process of cartilage injury, and the expression of a cartilage-specific protein, collagen type II, were significantly activated. It means that the expression of the gene encoding type I collagen was down-regulated, whereas those of collagen type II were up-regulated. Histological examination by hematoxylin-eosin staining indicated that the cells regained their original round morphology. In addition, a homogeneous distribution of articular cartilage extracellular matrices was detected around the cel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ee venom herb-acupuncture was very effective on the recovery of articular chondrocyte pheno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