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pinus spp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2초

진해 제덕만 목재 유물의 수종식별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Relics Excavated in Jedeok Bay, Jinhae)

  • 정성호;박병수;구자운;정의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5호
    • /
    • pp.20-28
    • /
    • 2004
  • 경상남도 진해시 제덕동 제덕만 일대 해안에서 발굴된 목재유물 중 일부인 26점의 유물에 대한 수종을 식별한 결과, 소나무류(Pinus spp.) 7점, 상수리나무류(Quercus spp.) 15점, 가시나무류(Quercus spp.) 1 점, 합다리나무(Meliosma oldhami Miq.) 1점, 굴피나무(Platycarya strobilacea S. et Z.) 1점, 서어나무류(Carpinus spp.) 1점으로 판명되었다. 유물의 용도별로 구분하면, 연목(목책)의 경우 소나무류, 상수리나무류, 합다리나무, 서어나무류 등으로 다양한 수종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선박부재는 모두 상수리나무류이었고, 선체편은 소나무류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리고 용도미상의 나머지 유물은 소나무류, 상수리나무류, 가시나무류 및 굴피나무이었다.

조계산지역(曹溪山地域) 삼림군집(森林群集)의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연구(硏究)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Natural Forest Communities at Mt. Jokye Area)

  • 김태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4호
    • /
    • pp.418-424
    • /
    • 1987
  • 조계산지역(曹溪山地域) 해발(海拔) 200m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연속(連續)된 삼림군집내(森林群集內)에서 천이단계(遷移段階)를 고려하여 소나무림(林), 소나무-참나무류(類)-서어나무림(林), 참나무류(類)-서어나무림(林)을 대상(對象)으로 천이단계(遷移段階)에 따른 삼림군집(森林群集)의 구조(構造)와 속성(屬性)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천이단계(遷移段階)가 높아짐에 따라 교목층(喬木層)의 밀도(密度)가 감소(減少)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천이단계(遷移段階)가 높아짐에 따라 천이양도(遷移樣度)는 증가(增加)하는 반면(反面) 우점도(優占度)는 감소(減少)하였다. 출현종수(出現種數)는 교목상층(喬木上層)의 혼효도(混淆度)가 높을수록 많은 경향을 보였다. 3. 식생분포형(植生分布型)은 S형(型)에 가까운 분포형(分布型)을 보였다. 4. 본(本) 조사지(調査地)의 경우 교목류(喬木類)의 천이(遷移)는 소나무림(林), 소나무-참나무류(類)-서어나무림(林), 서어나무-참나무류림(類林)으로 진행(進行)되고 있었으며 서어나무가 극상림(極相林)을 이룰 것으로 추정(推定)했다. 5. 참나무류(類)가 양수(陽樹)의 활엽수림(闊葉樹林)으로서 순림(純林)을 일지 못하는 것은 천이(遷移)의 진행속도(進行速度)가 빠른 계곡부(溪谷部) 삼림군집(森林群集)의 특징이라고 사료된다.

  • PDF

부산 운수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식별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Elements Used for Daewungjeon Hall in the Woonsoosa Temple, Busan)

  • 김지영;이미옥;박원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244-250
    • /
    • 2014
  • 부산 운수사 대웅전에 쓰인 주요 목부재의 수종을 식별하기 위하여 기둥, 보, 장여, 도리, 주두, 소로, 포재, 대공, 반자 등 총 72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수종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속의 소나무류 67점, 서어나무속 4점, 참나무속의 상수리나무류 1점 등 3수종이 식별되었다. 기둥에서는 소나무류 14점, 서어나무속 4점, 도리에서는 소나무류 4점, 상수리나무류 1점이 식별되었다. 그 외의 부재는 모두 소나무류로 식별되었다. 기둥의 부재중 동바리에 사용된 서어나무속 3개는 수리 시에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불단의 조각재 1점은 오리나무속으로 식별되었다. 결론적으로 후대에 교체된 것으로 보이는 서어나무를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운수사 대웅전 건축 가구부재에 거의 대부분 소나무류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진도군 접도의 식생 특성 (Vegetation Characteristics in the Jeopdo(Island), Jindo-gun)

  • 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7-41
    • /
    • 2020
  • 본 연구는 식물학적 가치가 높으나 식물과 관련된 연구가 전무한 접도를 대상으로 식생 특성을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구축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식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 크기의 조사구 52개소를 설치하여 조사·분석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곰솔-소나무군락, 소나무-졸참나무군락, 소사나무-굴참나무군락, 소사나무-상수리나무군락, 굴참나무-소사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군락, 육박나무-동백나무군락 총 7개 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접도의 식생은 크게 상록침엽수군락(군락 I, II), 소사나무-낙엽성 참나무류혼효군락(군락 III, IV, V), 상록활엽수군락(군락 VI, VII)로 구분할 수 있다. 상록침엽수군락은 현재 소나무, 곰솔이 졸참나무와 경쟁 상태에 있으며, 천이 중간단계 및 극상단계의 구실잣밤나무, 육박나무 등의 세력이 미비하여 현재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소사나무-낙엽성 참나무류혼효군락은 토양조건의 영향으로 식생발달 속도가 늦어 현재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며, 상록활엽수군락은 소나무, 곰솔 등의 천이 초기단계에서 졸참나무를 거쳐 구실잣밤나무, 육박나무 등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다. 표본목의 연령은 대체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가장 오래된 수목은 구실잣밤나무로 예측연령이 약 59년이었다. 주요 수종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곰솔과 사스레피나무, 소나무와 쇠물푸레나무, 육박나무와 동백나무 등이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소나무와 소사나무, 소사나무와 사스레피나무가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대산국립공원 소금강 계곡부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Soguemgang Valley in Odaesan National Park)

  • 강성칠;한봉호;박석철;최진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44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and ecological succession sere of forest ecosystem in Soguemgang Valley, Odaesan National Park. Fifteenth plots(size is $20m{\times}20m$) were set up and the results analyzed by DCA which is one of the ordination technique showed that the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which area community I(Quercus variabilis-Pinus densiflora community), II(Pinus densiflora community), III(Pinus densiflor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V(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V(Quercus serrata community), VI(Pinus densiflora-Deciduous broad-leaved plant community), VII(Cornus controversa-Carpinus laxiflora community). Shannon diversity index per $400m^2$ was to 0.7777 to 1.1440 and the age of Pinus densiflora 86 years old, Quercus variabilis was ranged from 66 to 87 years old, Quercus serrata was ranged from 51 to 62 years old, Carpinus laxiflora was 94 years old. In 2013, the succession trend was predicted Pinus densiflora${\rightarrow}$Quercus variabilis, Quercus serrata ${\rightarrow}$Cornus controversa, Carpinus laxiflora. The ecological sucession progress has declined power of the Pinus densiflora and the increased power of the deciduous broad-leaved and Quercus spp. in Soguemgang Valley, Odaesan National Park. Quercus serrata and Quercus variabilis communities that judged Pinus densiflora were progressing by direction of landform. The southern slopes vegetation were progressing for Quercus variabilis, the northern slopes vegetation were progressing for Quercus serrata. In flat Valley, mainly native species of Cornus controversa, Carpinus laxiflora are predicted ecological succession for deciduous broad-leaved tree community.

전주시 산성자연공원의 식생구조 및 관리대책 (Vegetation Structure arid Management Planning of the Sansung Nature Park, Cheonju)

  • 최만봉;이규완;오구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1-51
    • /
    • 1990
  • This study was executed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o propose the vegetation management proposals of the Sansung Nature Park at Cheonju City and the results were as fellows. 1. A damage of vegetation and soil surface around the Namgosa was taken place up to 100m by picnic 2. Pinus rigida forest covered 36.1% of the total area(152.6ha) and total afforested vegetation covered 43.5%, respectively. P. denstflora comm. covered 28.4% arid Carpinus laxiflora Comm. as a climax vegetation in temerate zone covered 0.3%, respectively. 3. 6, 7 and 8 of the degree of human disturbance of vegetation covered 45.3%, 26.6% and 21.4%, respectively and resulted in low quality of naturalness. 4.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were pour at high elevation and were poor severely in and around the Namgosa due to human disturbance. 5. Plant community were under rapid succession and had unvalanced structure and heterogeneous composition of species. Rapid vegetational succession from Pinus densiflora and Pf. rigida to Carpinus laxifora, Quercus spp. and Robinina pseudo-acacia were taken place.6. The speeies of Raunkiaer's frequency class I as of high frequency class were Pinus dunsiflora, Carpinus alxiflora, Quercus mmongolica, Sorbus alnifolia, Prunrs sargintii, Rhododendron yedoense, Stephanandra incisa and Lespedeza maxinowiczii. 7. Vegetational management proposals were made for three vegetation zones ; Historic landscape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zone, Afforested vegetation zone, Native vegetation conservation zone and recommanded native species for landcape planting.

  • PDF

치악산 국립공원의 삼림군집 구조 -구룡사-비로봉지역을 중심으로-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 Case Study of Guryong Temple - Birobong Area -)

  • 박인협;이경재;조재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
    • /
    • 1988
  • 치악산국립공원내 주 이용대상지인 구룡사-비로봉 일대 삼림군집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간 간섭의 정도 및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4개 조사지를 선정하고 총 45개 조사구를 설치하였다. 인간의 간섭이 심한 저지대 계곡부의 경우 비교적 천이단계가 낮은 소나무가 우점종이었으며(조사지 I ), 비교적 인간의 간섭이 심한 고지대 계곡부(조사지 II)와 근래에 입산금지가 된 계곡부(조사지 III )에서는 층층나무. 주등산로가 있는 고지대 능선부(조사지 IV)에서는 신갈나무가 우점종이었다. 종다양성은 조사지 III, II, I, IV의 순으로 높았는데, 이것은 능선부인 조사지 IV를 제외할 때, 인간 간섭의 정도와 역의 관계였다. 종상관성 분석결과 소나무는 타수종과 유의적인 부의 상관을 가지는 경우는 비교적 많았으나 정의 상관을 인정할 수 있는 경우는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대체로 순림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치악산 구룡사 계곡의 DCA에 의한 ordination분석결과 표고 및 환경인자에 의해 3개의 군집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stand ordination에 따라 소나무군집, 소나무-신갈나무, 소나무-갈참나무, 갈참나무-서어나무, 층층나무-까치박달나무, 층층나무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천이과정은 능선 및 중복부에서는 소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 및 참나무류, 팥배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로, 계곡저지대에서는 소나무$\longrightarrow$참나무류$\longrightarrow$층층나무, 까치박달나무로 진행되는 과정이었다.

  • PDF

선운산도립공원의 능선부 식생 특성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Ridge in the Seonunsan Provincial Park)

  • 강현미;박석곤;김지석;이상철;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5-85
    • /
    • 2019
  • 본 연구는 선운산도립공원의 능선부(경수산~선운산~개이빨산) 식생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도립공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수행하였다. 식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m^2$ 크기의 조사구 62개소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떡갈나무-낙엽활엽수혼효군락, 굴참나무-곰솔-졸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낙엽활엽수혼효군락-I, 개서어나무-밤나무-갈참나무군락, 낙엽활엽수혼효군락-II, 개서어나무-서어나무군락 총7개 군락으로 분리되었다. 선운산도립공원의 식생은 곰솔과 소나무 등의 침엽수는 점점 세력을 잃어가고 있는 반면, 굴참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등의 낙엽성 참나무류와 개서어나무와 서어나무의 세력이 왕성해지고 있어 낙엽활엽수군락으로의 생태적 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다. 또한 서해와 접하고 있는 지리적 특성을 반영한 식생으로 소사나무, 예덕나무 등이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임령은 30~60년으로 추정되었으며, 추정연령이 가장 오래된 나무는 소나무로 약 63년생으로 조사되었다. 종다양도지수($100m^2$)는 0.7942(개서어나무-서어나무군락) ${\rightarrow}$ 0.8406(개서어나무-밤나무-갈참나무군락) ${\rightarrow}$ 0.8543(떡갈나무-낙엽활엽수혼효군락) ${\rightarrow}$ 0.9434(굴참나무-곰솔-졸참나무군락) ${\rightarrow}$ 0.9520(낙엽활엽수혼효군락-I) 0.9633(소나무군락) ${\rightarrow}$ 1.0340(낙엽활엽수혼효군락-II) 순으로 높았다.

대기오염 및 산성비가 서울지역 식물군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the Plant Community Decline by the Air Pollutant & Acid Rain in the Metropolitan Area)

  • 유창희;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0-94
    • /
    • 1992
  • To inspect the changing of the forest soil and plants community structrure by air plooutand & acid rain during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1990, the smapling sites were selected in the Piwon, Namsan and Kwangnung forest. In sites, plots were set up in Q. aliena forest at Piwon,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forest at Namsan and Q.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forest at Kwangnung. To obtain the individual number of trees, number of species, importance values and species diversity, using the Curtis & McIntosh methods. The results are following that; 1) In Pinus densiflora community, it was almost dominated by Q. spp. in the canopy layer and P. densiflora and Carpinus laxiflora through the subtree to shrub layer at Kwangnung. It wassaid that C. laxiflora is the climax species in moddle temperature zone. On the contrary, in Namsan forest, there is no appearance thesamplings of P. densiflora & C. laxiflora, but Styrax japonica and Stephanandra incisa that are acid-tolerance species are dominant ones. On the other hand, in Q. spp. community, Q. spp. and C. laxiflora are dominant ones. On the other hand, in Q. spp. community, Q. spp. and C. laxiflora are dominant species through all layer, and in addition C. cordata somewhat appear at Kwangnung. But at Namsan and Piwon forest, Q. mongolica & Q. aliena that were dominant species in canopy layer disappeared in the subtreeand shrub layer, and C. laxiflora and Corunus cordata absolutely disappeared. It were similarly dominated by Robinia pseudo-acacia, Styrax japonica, Sorbus alnifolia, Acer pseudo-sieboldianum, Rhododendrn mucronulatum and so on at Namsn and Piwon forest. In the light of these facts, it found out that disclimax was similar between Namsan and Piwon forest. 2) Species diversity and maximum species diversity were decreased in Kwangnumg, Namsan, Piwon in order. It was xpected that vegetational community was affected by environmental pollutant. 3) As the vegetational community structure analyses, using DCA technique among the ordination, ecological successional series are stopped to Q. spp. from P. densiflora at Namsan and Piwon, but that of Kwangnung is on the way that P. densiflora, Q. alena, C. laxiflora. It was obvi ously different from Namsan and Piwon. 4) In Q. spp. & P. densiflora community, the number of woody plants inNamsan & Piwon is much less than that of Kwangnung through all Layer. Especially, Piwon shown very severe difference. Through all community,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Piwon and Namsan are less than that of Kwangnung. Specially, that of the shrub layer is obvious. 5) In the growth rate of trees, it found out that all sites showed the growth decline phenomena. Especially, since in 1975, there have been the micro disclimax phenomena in Q. community of Kwangnung. 6) In the Q. community, soil acidity of Namsan & Piwon measured 4.57, 4.40 respectively. It was very strong acidity and far lower than that of Kwangnung. Also the content amount of Mg++ in Namsan & Piwon forest were still lower than Kwangnung.

  • PDF

중부지방 비목나무 자생림의 식물군집구조 분석(I) (Plants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of Lindera erythrocarpa Native Forest in the Central Korea(I))

  • 이동철;심경구;최송현;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3-157
    • /
    • 1994
  • This study was executed to find out the succession stage and the ecological niche of Lindera erythrocarpa Markino. Four sites were selected by field investigation. They are Jeondungsa and Jeongsusa of Kanghwa Island, Mt. Suri of Anyang and Mt. Gaya of Chungcheongnamdo. They located in the region which have the similar temperature with Seoul region or lower average temperature for winter than that of adjacent Seoul. In the four sites, L, erythrocarpa was appeard in canopy layer at L. erythrocarpa community in Jeondungsa, L. erythrocarpa-Q. serrata, Z. serrata-L. erythrocarpa community in Jeongsusa, Castanea crenata-L, erythrocarpa community, L. erythrocarpa-Q. serrata community in Mt. Gaya and in the rest of the sites, it lives in subtree and shrub layer. And in the four sites but Jeongsusa area, it correspond with Chang(1991)'s study that L. erythrocarpa is dominant species in the site impacted by human. L. erythrocarpa lives with Quercus spp. such as Q. serrata, Q. variabilis, Q. mongolica and Carpinus laxiflora but it's presumably a passing phenomen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