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otid stenosi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42초

중풍환자에서 수족냉증과 적혈구변형능의 관련성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Coldness of Hands and Feet and the Erythrocyte Deformability in Stroke Patients)

  • 박주영;임정태;박수경;우수경;곽승혁;정우상;문상관;조기호;박성욱;고창남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78-585
    • /
    • 2010
  • Objectives : Coldness of hands and feet has been regarded to be associated with blood circul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erythrocyte deformability and coldness of hands and feet. Methods : 145 patients who had taken an erythrocyte deformability test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mong hospitalized patients within 4 weeks after their cerebral infarction at the Internal Medical Department at Kyunghee Oriental Medical Center from August 2008 to August 2009. We divided the selected patients into two groups, with and without of coldness of hands and feet groups.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on risk factors for atherosclerosis and examined for variables including erythrocyte deformability. Results : 1. On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patients, only body mass index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oldness of hands and feet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rate of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hyperlipidemia, ischemic heart disease, smoking, drinking and carotid artery stenosis between the two groups. 2. According to blood test, the coldness of hands and feet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erythrocyte deformability index than the control group. 3. Body mass index and erythrocyte deformability index showed a close relationship with coldness of hands and feet in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s :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rythrocyte deformability and coldness of hands and feet in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were decreased erythrocyte deformability participated in the mechanism of coldness of hands and feet.

특발성 과호산구 증후군에서 스테로이드 투약 중 진행한 폐침윤 1례 (Progressive Lung Involvement during Steroid Therapy in Idiopathic Hypereosinophilic Syndrome)

  • 박지영;최주영;정지민;심윤수;변건우;나윤주;강민정;강인숙;이시내;김유경;정지향;이진화;천은미;장중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1호
    • /
    • pp.97-103
    • /
    • 2005
  • 저자들은 골수와 간을 침범하여 스테로이드 치료 후 말초 호산구수가 감소하고 증상이 호전되었으나, 뇌경색이 발생하고 폐침윤이 진행하고 있는 특발성과 호산구증후군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경부식도암 및 하부인두암에서 근치적 전후두인두식도절제술 후 위를 이용한 재건술의 의의 (Use of the Stomach as an Esophageal Substitute after Total Pharyngolaryngoesophagectomy for Treating Cervical Esophageal Cancer or Hypopharyngeal Cancer)

  • 이상혁;이상훈;윤호영;김충배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4호
    • /
    • pp.200-205
    • /
    • 2007
  • 목적: 하부인두암 및 경부식도암 환자에서 근치적 전인두후두식도절제술시 위를 이용한 재건술 후 수술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1년부터 2006년까지 하인두암 및 경부식도암에서 전인두후두식도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재건술을 개흉술 없이, 경열공적으로 위를 이용하여 하인두위 문합술을 시행한 2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에 대해서는 신체검사소견과 수술 후 시행한 식도조영술의 결과에 따라 분류하였고, 퇴원 후 외래추적조사 시 환자의 증상 및 신체검사소견상 협착이나 재발의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서 시행한 흉부 X-선 검사, 식도내시경 및 식도조영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사망한 환자는 2예(8.8%)였으며, 4예(4.4%)에서 누출이 있었으나, 공장루를 통해 경장영양으로 해결되었으며, 협착은 없었다. 호흡기합병증은 폐렴 1예, 기흉 1예였다. 수술 후에 연하곤란은 없었으나, 2000년 이후 유분부성형술을 시행하지 않으므로, 일시적으로 정체증상을 호소한 환자가 1예 있었다. 결론: 하인두암이나 경부식도암에서 근치적 절제 후 위장관 재건술시 위를 이용하는 것은 충분한 길이를 얻을 수 있어, 원활한 혈액공급이 가능하여 조직괴사나 문합부 누출 및 협착 등의 합병증이 적으며, 술식의 시간이 빠르다. 또한 모든 문합이 경부에서 이루어지므로 문합부의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치료되어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이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 PDF

유리공장을 이용한 인두 및 경부식도 재건술 (The Free Jejunal Autograft for the Hypopharynx and Cervical Esophagus Reconstruction)

  • 오경균;심윤상;이용식;박혁동;김기환;심영목;조재일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0-128
    • /
    • 1991
  • Reconstruction of the pharynx and cervical esophagus presents a tremendous surgical challenge to the Head and Neck Surgeon. Because life expectancy of patients with advanced carcinoma of the hypopharynx, and cervical esophagus is limited, treatment must be aimed at palliation. A variety of techiques have been proposed over the years with none proving entirely satisfactory. These techiques include prosthesis; skin graft; cervical flaps; tubed cutaneous and myocutaneous chest flaps; visceral reconstruction with stomach, colon. and jejunum; and jejunal free autografts. Many factors dictate the best method of reconstruction in any given clinical situation. The goal of the surgery is a one-stage reconstruction of swallowing function with minimal morbidity to allow as short a hospital stay as posible. Nine patients underwent the free jejunal autograft reconstruction of the pharyngoesophagus after the ablative surgery for the advanced hypopharyngeal canc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ed one perioperative death, two abdominal wound dehiscences, two neck hematomas, one carotid rupture, one funtional dysphagia, one late strictures. There were no graft failure, no immediate stenosis and no fistula. An oral diet was started between days 8 and 16, with an average of 9 days and median of 8 days. Patients left the hospital between days 9 and days 38, with an average of 23.4 days and median of 23 days. This method of reconstruction is advocated as reliable palliative procedure with short-term follow-up. In conclusion, we at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are of the opinion that the free jejunal autograft offers an excellent, safe and relative easy method of the pharyngeal and cervical esophageal reconstruction with significant advantages over other techiques.

  • PDF

모야모야병에서 EDAS 수술효과의 평가를 위한 수술전후 $^{99m}Tc$-HMPAO SPECT의 유용성 (Serial $^{99m}Tc$-HMPAO Brain SPECT for Assessing Perfusion Improvement after EDAS in Moyamoya Patients)

  • 이경한;이상형;여정석;곽철은;정준기;이명철;조병규;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2-30
    • /
    • 1994
  • Encephalo-duro-arterio-synangiosis (EDAS) is a relatively new surgical procedure for treatment of childhood moyamoya disease. We assessed regional cerebral perfusion in moyamoya patients before (1.3 mo) and after (6.8 mo) EDAS with $^{99m}Tc$-HMPAO brain SPECT. A total of 21 EDAS operations in 17 moyamoya patients was included. Preoperative CT or MRI showed cerebral infarction in 14 patients and carotid angiography showed Suzuki grade I to V stenosis in 6%, 9%, 62%, 12% and 12% of the hemispheres respectively. Preoperative SPECT showed regional hypoperfusion in all patients, bilateral frontal and temporal lobes being the most frequently involved site. $4{\times}4$ pixel sized ROIs were applied on the frontotemporal cortex in 3 slice averaged transverse tomographic images. An index of regional perfusion was measured as: PI (%)=average F-T activity/average cerebellar activity${\times}100$ Pre-EDAS ipsilateral PI ranged from 23.7 to 98.4% (mean: $74.3{\pm}17%$) and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operation ($81.4{\pm}17%$, p<0.001). Individual post-EDAS PI improved in 15/21 cas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5 and was slightly aggravated in 1. The amount of clinical improvement (${\Delta}CI$) was graded with a scale of 0 to 4 based on frequency and severity of TIA attacks. When patie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pre-EDAS PI, group II (PI 70-89)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Delta}CI$ (3.3) compared to group I (PI< 70, 1.57) or group III (PI >90, 0.5) (P< 0.001). The amount of perfusion improvement (${\Delta}PI$)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elta}CI$ (r=0.42, p=0.04). ${\Delta}PI$ did not, however, correlate with the amount of neovascularization assessed angiographically in 8 patients. Serial HMPAO SPECT is an useful noninvasive study for assessing perfusion improvement after EDAS in childhood moyamoya patients.

  • PDF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 환자의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 증례보고 (DENTAL MANAGEMENT OF A PATIENT WITH MOYAMOYA DISEASE UNDER GENERAL ANESTHESIA: CASE REPORT)

  • 채종균;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영재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0-44
    • /
    • 2019
  • 본 증례는 다수의 치아우식증을 주소로 내원한 모야모야병 환자의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에 대한 보고이다. 모야모야병은 치과치료 동안 상당히 주의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전신질환과 관련이 있다. 여러 과의 의사들과 협진이 필요하고, 치과 예방치료에 초점을 맞추면서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야모야 환자에서 울음과 과호흡은 저칼륨혈증을 일으킬 수 있고, 대뇌 혈관 수축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치과치료 시 뇌졸중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 통증과 불안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비협조적이거나 매우 어린 모야모야병 환자에게 치과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전신마취가 필요할 수 있다.

죽상경화성 뇌혈관질환 환자에서 성공적인 EC/IC 우회술 후 혈류역학적 변화: 기저/아세타졸아미드 SPECT를 이용한 연구 (Hemodynamic Outcome of Successful Bypass Surgery in Patients with Atherosclerotic Cerebrovascular Disease: A study with Acetazolamide and $^{99m}Tc-ECD$ SPECT)

  • 어재선;오창완;김유경;박은경;이원우;김상은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6호
    • /
    • pp.293-301
    • /
    • 2006
  • 목적: 폐색성 뇌혈관질환에서 EC/IC 뇌혈관 우회술은 해당 뇌조직의 혈류 증가를 기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99m}Tc-ECD$ 뇌혈류 스펙트를 이용하여 폐색성뇌질환 환자에서 성공적인 우회로 시술 후 단기, 장기간의 혈류역학적 변화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뇌경색 또는 뇌허혈 증상을 가진 죽상경화성 뇌폐색성 혈관질환으로 성공적 STA-MCA 문합술을 시행한 14명의 환자(남:여=8:6, 평균연령: $60{\pm}9$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전과 술후 10일, 6개월에 시행한 $^{99m}Tc-ECD$ 기저/아세타졸아미드 부하 뇌 혈류 SPECT에서 기저 뇌혈류 및 뇌혈류예비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우회술 전 원인 내경동맥 측의 비경색뇌부위의 기저 혈류 및 뇌혈류예비능은$52.4{\pm}3.5$$-7.9{\pm}4.7%$이었다. 수술 후 초기 및 후기의 내경동맥 공급 뇌부위의 혈류는 각각 $53.7{\pm}2.7,\;53.3{\pm}2.5$로 술전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p<0.05). 술후 10일과 6개월 사이의 기저뇌혈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뇌혈류예비능은 술전과 비교하여 초기 및 후기에 유의한 호전(초기, $-3.7{\pm}2.6%$, 후기: $-1.6{\pm}2.3%$)을 보였으며, 수술 후기에서 수술 초기와 비교하여서도 유의미한 추가의 뇌혈류예 비능 증가가 관찰되었다 (p<0.05). 반면,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쪽의 내경동맥 공급 뇌부위에서는 수술 후 추적검사에서 기저혈류 및 뇌혈류예비능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성공적 뇌혈관 우회술 후의 초기 뇌혈류 SPECT에서의 단기적 혈류변화는 뇌혈류의 재개통에 의한 즉각적인 변화를 반영하고, 반면에 수술 후기 SPECT에 관찰되는 장기적인 혈류변화는 우회술 후에 신생혈관에 의한 측부순환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변화가 EC/IC 우회술 후 뇌졸중의 발병빈도의 감소와 상관되리라 여겨진다.

무심폐기 관상동맥 우회술에 있어서 이식편의 대동맥부 근위부 문합 방법에 따른 수술 후 신경학적 합병증 발생의 비교: 하트스트링을 이용한 방법 대 고식적인 수기 문합술 (Comparison of the Neurologic Outcome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ximal Graft Anastomosis at the Aortic Side during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The Heartstring Sealing System versus Conventional Manual Anastomosis)

  • 조원철;김준범;김희중;김환욱;김윤석;정재승;주석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4호
    • /
    • pp.441-446
    • /
    • 2009
  • 배경: 관상동맥 우회술의 대동맥부 근위부 문합을 위한 상행 대동맥 부분 겸자는 대동맥 내벽에 존재하는 죽상반의 색전에 의한 뇌경색의 위험성을 높일 뿐 아니라, 겸자에 따른 직접적 대동맥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Heartstring proximal sealing system (Guidant Corporation, Santa Clara, Calif)을 이용한 근위부 문합은 대동맥 부분 겸자를 피할 수 있어, 이러한 잠재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되어 왔다. 이 연구는 무심폐기 관상동맥 우회술의 근위부 문합에 있어서 대동맥 부분 겸자를 통한 수기 문합과 Heartstring system을 이용한 문합간의 수술 후 신경학적 합병증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499명의 환자가 무심폐기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받았다. 그 중 182명의 환자가 Heartstring system을 이용한 이식편 대동맥 근위부 문합술을 시행받았고(I군), 317명의 환자가 고식적 수기 문합술을 시행 받았다(II군). 이 두 군간의 수술 후 신경 손상을 비롯한 주요 합병증 및 사망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나이, 성별, 좌심실 구출율, 신장 기능, 당뇨, 고혈압, 흡연력 등의 수술 전 인자들에 있어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술 전 뇌허혈의 과거력은 환자는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I군 31.3%, II군 34.4%, p=0.48), 뇌혈관 MRI상에서의 내경동맥의 협착이 75%가 넘는 환자는 I군이 81명(44.5%), II군이 95명으로(30.0%)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3). 수술 후 새로 발생한 신경 이상의 경우 I군에서 3명, II군에서 2명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258), I군의 경우 모두 일과성 허혈이었던 것에 반해 II군의 경우 모두 색전에 의한 다발성 뇌경색으로 나타났다. 그 외 수술 후 발생한 주요 합병증(p=0.47)및 사망(p=0.40)에 있어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I군에서 한 명의 환자에서 수술 중 근위부 분합에 따른 대동맥 박리증이 발생하여 상행대동맥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비록 수술 후 신경학적 합병증의 빈도가 낮아 통계학적 유의성에 다다르진 못했으나, Heartstring system을 이용한 근위부 문합술은 고식적 문합에 비해 색전에 의한 수술 후 뇌졸중의 합병 및 대동맥 손상의 위험도를 낮출 것으로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