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go recepto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The Golgi complex: a hub of the secretory pathway

  • Park, Kunyou;Ju, Sungeun;Kim, Nari;Park, Seung-Yeol
    • BMB Reports
    • /
    • 제54권5호
    • /
    • pp.246-252
    • /
    • 2021
  • The Golgi complex plays a central role in protein secretion by regulating cargo sorting and trafficking. As these processes are of functional importance to cell polarity, motility, growth, and division, there is considerable interest in achiev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Golgi complex biology. However, the unique stack structure of this organelle has been a major hurdle to our understanding of how proteins are secreted through the Golgi apparatus. Herein, we summarize available relevant research to gain an understanding of protein secretion via the Golgi complex. This includes the molecular mechanisms of intra-Golgi trafficking and cargo export in the trans-Golgi network. Moreover, we review recent insights on signaling pathways regulated by the Golgi complex and their physiological significance.

Structure biology of selective autophagy receptors

  • Kim, Byeong-Won;Kwon, Do Hoon;Song, Hyun Kyu
    • BMB Reports
    • /
    • 제49권2호
    • /
    • pp.73-80
    • /
    • 2016
  • Autophagy is a process tightly regulated by various autophagy-related proteins. It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non-selective and selective autophagy. Whereas non-selective autophagy is triggered when the cell is under starvation, selective autophagy is involved in eliminating dysfunctional organelles, misfolded and/or ubiquitylated proteins, and intracellular pathogens. These components are recognized by autophagy receptors and delivered to phagophores. Several selective autophagy receptors have been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They usually have some common domains, such as motif, a specific cargo interacting (ubiquitin-dependent or ubiquitin-independent) domain. Recently, structural data of these autophagy receptors has been described, which provides an insight of their function in the selective autophagic process. In this review, we summarize the most up-to-date findings about the structure-function of autophagy receptors that regulates selective autophagy.

Tmp21, a novel MHC-I interacting protein, preferentially binds to β2-microglobulin-free MHC-I heavy chains

  • Jun, Young-Soo;Ahn, Kwang-Seog
    • BMB Reports
    • /
    • 제44권6호
    • /
    • pp.369-374
    • /
    • 2011
  • MHC-I molecules play a critical role in immune surveillance against viruses by presenting peptides to cytotoxic T lymphocytes. Although the mechanisms by which MHC-I molecules assemble and acquire peptides in the ER are well characterized, how MHC-I molecules traffic to the cell surface remains poorly understood. To identify novel proteins that regulate the intracellular transport of MHC-I molecules, MHC-I-interacting proteins were isolated by affinity purification, and their identity was determined by mass spectrometry. Among the identified MHC-I-associated proteins was Tmp21, the human ortholog of yeast Emp24p, which mediates the ER-Golgi trafficking of a subset of proteins. Here, we show that Tmp21 binds to human classical and non-classical MHC-I molecules. The Tmp21-MHC-I complex lacks ${\beta}_2$-microglobulin, and the number of the complexes is increased when free MHC-I heavy chains are more abundant.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mp21 is a novel protein that preferentially binds to ${\beta}_2$-microglobulin-free MHC-I heavy chains.

γ-Secretase 활성억제단백질인 TMP21의 과발현이 신경세포주에서 NGF 수용체 신호전달과정에 미치는 영향 (Overexpression of TMP21 Could Induce not only Downregulation of TrkA/ERK Phosphorylation but also Upregulation of p75NTR/RhoA Expression on NGF Receptor Signaling Pathway)

  • 최선일;지승완;허윤경;김지은;남소희;황인식;이혜련;구준서;이영주;이언필;최해욱;김홍성;이재호;정영진;이수해;심선보;황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134-1141
    • /
    • 2011
  • TMP21은 AD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A${\beta}$-42 펩타이드 생성에 중요한 ${\gamma}$-secretase 활성을 억제하는 p24 family에 속하는 type I 막 단백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TMP21이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중요한 NGF 수용체 신호전달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인간의 TMP21 cDNA를 합성하고, CMV promoter 조절 하에 hTMP21를 클로닝하여, CMV/hTMP21 벡터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들 벡터를 B35 neuroblastoma에서 과발현시킨 후 ${\gamma}$-secretase 구성단백질과 NGF 수용체 연관 단백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4종류의 ${\gamma}$-secretase 구성단백질의 발현은 vehicle transfectants보다 CMV/hTMP21 transfectants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NGF low affinity 수용체인 $p75^{NTR}$과 downstream 단백질인 RhoA의 양은 NGF를 처리하지 않은 TMP21 transfectants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NGF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다. High affinity NGF 수용체인 TrkA의 인산화도 NGF 처리가 없는 경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NGF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다. 또한 downstream 신호전달 과정 중에서 ERK의 인산화는 TrkA와 유사한 발현변화를 나타내었으나 Akt 인산화는 NGF의 처리에 의해 더욱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TMP21이 neuroblastoma에서 NGF 수용체 신호전달과정를 조절하는 중요한 단백질로서 작용함을 제시하며, AD의 작용기전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Analysis of Clathrin-Associated Adaptor Protein 3-δ Subunit 2 (AP3S2) in Chicken

  • Oh, Jae-Don;Bigirwa, Godfrey;Lee, Seokhyun;Song, Ki-Duk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1-37
    • /
    • 2019
  • 닭의 clathrin-associated adaptor protein $3-{\delta}$ subunit 2(AP3S2)는 clathrin-coated vesicle를 가진 표적 세포막으로 암 배양 단백질 수송에 관여한다. AP3S2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으로 간 섬유화를 매개하고, 2형 당뇨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AP3S2는 clathrin-dependent endocytosis를 통해 숙주 세포로의 바이러스 유입에 관련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닭 신장조직에서 차별 발현 유전자로 발굴된 닭 AP3S2 유전자의 분자유전학적 특성을 구명하고, 닭의 조직에서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조사하며, 톨-유사수용체 3 (Toll-like receptor 3; TLR3) 자극에 의한 전사 조절을 연구하였다. 닭 AP3S2 유전자가 코딩하는 단백질의 구조는 다른 종과 매우 보존적이고 진화적으로 제브라 피쉬와 가장 가깝고, 포유류와 가장 먼 것으로 추정되었다. 닭의 다양한 조직에서 닭 AP3S2 유전자의 전사 수준을 조사한 결과, 폐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었으며, 그 다음은 비장 순이었다. 닭의 배아 섬유아세포 주인 DF-1세포에서 조사한 결과, AP3S2 유전자의 발현은 TLR3 신호자극에 의해 감소하였다. 전사조절인자인 $NF{\kappa}B$나 AP-1의 억제제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NF{\kappa}B$나 AP-1의 억제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 결과는 DF-1 세포에서 닭 AP3S2 유전자의 발현은 적어도 이 두 전사조절인자와는 독립적인 경로에 의해 조절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닭 AP3S2가 바이러스 감염에 역할을 하고, TLR3 신호에 관여함을 제시한다. 추가연구를 통해 닭 AP3S2의 전사 조절과 바이러스 침입 메커니즘을 구명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JSAP1과 Kinesin Light Chain 1의 결합 및 결합부위 규명 (JSAP1 Interacts with Kinesin Light Chain 1 through Conserved Binding Segments)

  • 김진상;이철희;박혜영;예성수;장원희;이상경;박영홍;차옥수;문일수;석대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889-895
    • /
    • 2007
  • KIF5는 2분자의 kinesin heavy chain (KHC)과 2분자의 kinesin light cham (KLC)으로 구성되며 미세소관과 직접 결합한다. KIF5는 여러가지 세포 내 소기관을 이동시키나 KIF5가 이동시키는 운반체가 어떻게 특이적으로 결합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 효모 two-hybrid system을 사용하여 KLC1의 tetratricopeptide repeats (TRP) 부위와 결합하는 세포 내의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결과 KLC1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JNK/stress-activated protein kinase-associated protein 1 (JSAP1/JIP3)을 분리하였다. 이러한 결합은 KLC1의 TRP1, 2 영역과 JSAP1의 leucine zipper 영역이 결합에 관여하며, 또한 효모 two-hybrid assay에서 JSAP1은 KLC2와 결합하지만 신경세포에서 발현하는 KIF5A, KIF5C 그리고 모든 세포에서 발현하는 KIF5B와는 결합하지 않았다. 단백질간의 결합을 pull-down assay로 확인한 결과 KLC1은 glutathione S-transferase (GST)와는 결합하지 않으나 GST결한 JSAP1과는 결합하였다. 또한 생쥐의 뇌 파쇄 액으로부터 JSAP1 항체로 면역침강을 행한 결과 KLC1은 JSAP1과 같이 침강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KLC1은 JSAP1과 결합하며, JSAP1은 KLC1의 수용체로세포 내 KIF5의 수송의 매개 단백질로 작용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