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go

검색결과 1,757건 처리시간 0.038초

해상적하보험증권의 유가증권성의 인정문제에 관한 실무적 고찰 (A Practical Study on the Issue of Recognition of Securitization in Marine Cargo Insurance Policy)

  • 한낙현
    • 무역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91-209
    • /
    • 2022
  • Whether or not insurance policies are securities has been debated for nearly a century. The position of claiming that an insurance policy has securities properties is premised on the concomitant nature of the maritime cargo insurance policy to the bill of lading. However, in reality today, marine cargo insurance policies are transferred between parties involved in international trade as an integral part of the bill of lading, and the two securities go through the same distribution process. The issue of recognizing the securities properties of an insurance policy is particularly debated when the insurance policy is issued in a order or bearer form. In a normal insurance policy, the name of the right holder, such as the claimant, is written on the insurance policy, and it is not usually transferred by endorsement. In principle, insurance policies are interpreted as neither securities nor negotiable securities. Sometimes, research is being done on legal reform to respond to digitalization of securities, and bills of lading are the subject of research. If marine cargo insurance policies, which are sometimes premised on distribution, have securities properties, the status of the regulations on digitization of bills of lading currently being studied may be helpful for digitization of marine cargo insurance polici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securities of marine cargo insurance policies are reviewed based on recent practices.

LNG선 하역작업 교육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Cargo Working Education System for LNG Carrier)

  • 김대희;예병덕;송재욱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5년도 전기학술대회논문집
    • /
    • pp.1041-1046
    • /
    • 2005
  • This paper describes a system for LNG carrier's loading and discharging work education. This system consists of three modules(cargo work simulation, ballast work simulation and loading calculation module), and could be a useful to train mariners boarding on LNG carrier so as to take a suitable action while their ship maneuvering and cargo handling.

  • PDF

ARIMA와 VAR·VEC 모형에 의한 부산항 물동량 예측과 관련성연구 (Study on the Forecasting and Relationship of Busan Cargo by ARIMA and VAR·VEC)

  • 이성윤;안기명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4-52
    • /
    • 2020
  • 세계적인 장기경기침체 속에서 보다 정확한 물동량 예측은 항만정책 수행에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수출입화물과 환적화물)을 단변량 모형인 ARIMA 뿐만 아니라 인과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제규모(한국, 중국, 미국의 국내총생산), 금리수준 그리고 경기변동을 고려한 벡터자기회귀모형과 벡터오차수정모형을 활용하여 추정하고 비교하였다. 측정자료는 2014년 1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월별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이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수출입물동량 시계열은 비교적 안정적(stationary)이어서 VAR에 의해 추정하였고 환적화물은 불안정적(non-stationary)하지만, 경제규모, 금리 및 경기변동과 공적분(장기적인 균형관계)를 띠고 있어 VEC모형으로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안정적인 수출입화물 추정에서는 단변량 모형인 ARIMA가 우수하고 추세가 있는 환적화물은 다변량모형인 VEC모형이 보다 예측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수출입화물은 우리나라 경제규모와 관련이 있고, 환적화물은 중국과 미국 경제규모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중국 경제규모가 미국에 비하여 더 밀접하게 나타나고 있어 환적화물 증대전략에 시사점을 주고 있다.

화물과 여객의 상대적 가치를 기준으로 하는 새로운 공항 처리량단위(WLU) 개발 연구 (Developing the New Work Load Unit of Airport Based on the Relative Value of Cargo and Passenger)

  • 백소라;박용화;임철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34-446
    • /
    • 2017
  • 본 연구는 공항에서 활용되는 새로운 지표를 제시하고자 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공항에서는 여객과 화물을 처리하게 되며, 공항은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공항들 모두가 여객과 화물처리실적이 동일한 분포를 보일 수는 없는 것이다. 여러 공항들을 상호비교 분석할 경우, 통일된 공항처리량 지표가 적용되어야만 공정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여객과 화물을 하나로 통합하여 적용하는 지표로는 '공항처리량단위(Work Load Unit)'가 있으며, 이는 여객 1명의 가치가 화물 100Kg의 화물량과 동등하다는 가정을 한 것이다. 기존의 WLU는 타당한 근거나 분석을 통해 설정되었다기보다는 공항에서 수행된 업무부하 정도에 관한 경험들을 바탕으로 설정된 것이므로 논란의 여지가 많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지표를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여러 가지 접근방법을 적용할 수 있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화물과 여객이 공항수익에 기여하는 상대적 가치가 어떻게 되는지를 비교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화물가치와 여객가치를 분석하기 위해서 공항수익을 크게 항공기 운항관련 수익, 여객처리 관련 수익, 상업수익 등으로 구분하였다. 상대가치 분석을 위해 아시아 14개 공항, 유럽 18개 공항, 북미 지역 18개 공항 등 총 50개 공항이 선정되었다. 최종분석 결과에 따르면, 여객 1명의 수익기여를 기준으로 할 때 화물 280Kg과 동등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는 기존에 적용되던 여객 1명당 화물의 가치를 100Kg으로 설정한 것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화물 운송 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argo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 최용길;임용민;오지연;박수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7-159
    • /
    • 2015
  • 대부분의 중소기업 화물 트럭운전사들은 운송 관련 정보가 담긴 종이로 된 문서를 사용하여 작업을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문서는 경로를 계획하거나 화물 내역을 확인함에 있어 분실과 훼손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불편함을 있다. 또한 종이가 아닌 기기를 사용하여 관리하기에는 중소기업으로써는 예산이 부족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관리자 프로그램을 통한 화물 운송 관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데스크 탑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자에게 쉬운 인터페이스를 통한 운송 정보 관리와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화물트럭 운전사가 할당받은 화물 운송 정보, 길 찾기, 전화걸기, 운송할 물품의 수량 관리 등을 제공하여 화물 운송에 효율을 높이기 위해 구현하였다.

  • PDF

System dynamics를 이용한 중국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Forecasting of Container Cargo Volumes of China using System Dynamics)

  • 김형호;전준우;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157-163
    • /
    • 2017
  • 항만 물동량 예측은 항만관리 기관의 투자계획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더불어 최근 항만은 물동량 유치를 위한 치열한 경쟁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에 항만 정책수립에 있어 국내외 주요국의 물동량 예측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항만 물동량 예측이 항만의 개발정책에 매우 중요하지만 최적의 물동량 예측 모델 개발에는 아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중국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모델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중국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은 Clarkson's Shipping Intelligence Network를 통해 수집한 2004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12년간의 월간 데이터를 System Dynamics를 사용하여 2004년부터 2020년까지 변화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실제 중국 컨테이너 물동량 데이터와 Stock-flow 다이어그램을 통해 도출된 예측값을 비교하여 모델의 정확도를 검증했다. 검증결과 수 출입 컨테이너 예측모델은 MAPE값이 각각 6.21 %, 7.68 %로 나타나 정확한 예측모델로 확인되었다.

항해중 선박 적재화물의 동적 안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On the Evaluation of the dynamic Safety of the Ship's Cargo at Sea)

  • 김철승;김순갑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3-49
    • /
    • 1997
  • One of the most important missons that are imposed on merchant ship at sea is to accomplish the safe transportation of cargo loaded. Recently, a study on the seakeeping performance has been carried out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related to the synthetic safety of a ship at sea. The seakeeping performance is the ship's ability sailing at, and executing its misson against adverse environmental factors successfully and safely. Until now,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y method of quantitative evaluation on the dynamic safety of the ship's cargo loaded. In this regards, this paper has introduced the evaluation method of dynamic safety of the ship's cargo. In order to evaluate the dynamic safety of cargo, the vertical and lateral acceleration which causes the collapse, racking and local structure failure of cargo was adopted as the evaluation factors in the ship's motions. The response amplitude of ship's motions in regular waves is manipulated by NSM (New Strip Method) on a given 2,700 TEU full container vessel under the wind forces of 7, 8 and 9 Beaufort scale. Each response of ship's motions induced by NSM was applied to short-crested irregular waves for stochastic process on evaluation factors and then vertical and lateral acceleration of each cargo was compared with significant amplitude of each acceleration. A representative dangerous factor was determined by comparing permissible values of stacking and racking forces occurred typically to the vertical and transverse directions with the container strength required on ISO 1496 at the positions of forecastle, poop and ship's midship respectively. Through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the determined factor by Rayleigh's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the dangerousness which limits loads on container's side wall as an evaluation was applied in judging of the danger of the ship's cargo loaded.

  • PDF

컨테이너 화물의 내륙철도이용 확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ansion of Inland Railway Use For Container Cargo)

  • 최경숙;하동수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97-108
    • /
    • 2016
  • 국내 화물운송의 80% 이상을 분담하고 있는 공로중심의 내륙운송체계는 환경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적 비용을 야기시키고 있어 다른 운송수단으로의 화물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변화하는 국제 물류환경을 고려해볼 때, 철도는 지속가능한 대안적 운송수단임에 분명하며, 도로화물을 철도로 전환시키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여 내륙철도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일은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한 필수적 선행과제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내륙철도 이용 확대를 위하여 컨테이너화주를 대상으로 컨테이너 화물을 철도로 유인하기 위한 핵심 요인을 밝히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martPLS구조방정식모델링 분석기법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Customer Satisfaction with Less than Container Load Cargo Services in HoChiMinh City, Vietnam

  • GIAO, Ha Nam Khanh;THY, Nguyen Thi Anh;VUONG, Bui Nhat;TU, Tran Ngoc;VINH, Pham Quang;LIEN, Le Thi Phuo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8호
    • /
    • pp.333-344
    • /
    • 2020
  • This research has four specific objectives: (1) identifying factors tha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with less than container load (LCL) cargo services of logistics companies in HoChiMinh City (HCMC), (2) measuring the level of impact of the factors, (3) testing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among groups of customer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ype of business and time of using LCL cargo services, and (4) proposing some management implica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CL cargo services. Researchers interviewed 210 customers who enjoyed the LCL cargo service in HCMC for at least the last six months, using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SPSS 20 was used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through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e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identified the six factors that influence positively customer satisfaction of LCL cargo services of logistics companies in HCMC, by decreasing importance: service process, image, resource, price, management, and outcome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customer satisfaction with LCL cargo services by types of business as well as time of using services. The research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logistics companies in HCMC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항공물류에 적용한 u-4PL 시스템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u-4PL Based Air Cargo Logistics System)

  • 이광수;나형석;이두용;이종석;이창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81-187
    • /
    • 2008
  • The market of air cargo in Korea grows very quickly and diversifies. It is an essential factor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Northeast-Asia as a hub for Air Cargo logistics. But the process of air cargo in Korea is complex as compared with other north-east asia nations and it has many problems and causes inconvenience to owners of freight. We emphasize that 4PL(Fourth party Logistics) is the excellent solution from among many alternatives. The wave of 4PL added to strategic consulting based on new IT techniques, for example RFID, with logistics outsourcing through existing 3PL service is a great issue. It is also worthy of notice that EPCglobal network strengthen the role of 4PL. In conclusion, the 4PL system based on EPCglobal network will result in a good success, so it will raise a prestige of air cargo in Korea to a higher position. This study deals with the new logistics system, air cargo logistics system based on u-4PL system, RFID and EPCglobal network, that will bring many advantages. At the end, we verify the u-4PL air cargo logistics system by simulation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