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x humili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3초

금오산(金烏山)의 산화지(山火地)에서 벌목지(伐木地)와 비벌목지(非伐木地)의 식물(植物) 군집구조(群集構造) 비교(比較) (Comparison of Plant Community Structures in Cut and Uncut Areas at Burned Area of Mt. Gumo-san)

  • 제상훈;김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4호
    • /
    • pp.509-520
    • /
    • 1997
  • 1994년 4월에 산불이 일어나서, 소나무림과 임상식생이 완전히 전소된 경북 김천시 부상면 금오산(976m)의 일부 지점으로 사면방위가 S10W로, 산불이 발생한 지역을 벌목지와 비벌목지로 구분, 인접한 소나무림을 대조구로 선정하여, 산불이 일어난 후 1년째인 1995년 4월부터 1996년 10월에 걸쳐 식생구조, 종다양성지수, 우점도지수, 균등성지수, 천이도 및 토양의 이화학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지에 출현한 식물은 벌목지가 32종, 비벌목지가 36종, 비산화자가 34종으로 나타났으며, 출현된 식물의 생활형은 벌목지 $H(G)-D_1-R_5-e$ 비벌목지가 $H(M)-D_1-R_5-e$, 비산화지가 $M(N)-D_1-R_5-e$ 형으로 나타났다. 적산우점도는 산화지, 비산화지의 출현한 식물의 층상구조로 볼 때, 산화지 중 벌목지는 초본층만 출현하여, 억새(100.00), 산거울(52.27), 졸참나무(51.19), 큰까치수영(39.40)순이었고, 비벌목지의 교목층은 상수리나무(56.91), 소나무(26.83), 관목층은 졸참나무(50.43), 감태나무(40.51), 싸리(37.85), 초본층은 억새(72.27), 고사리(69.02), 산거울(63.63)순이고, 비산화지의 경우 교목층은 소나무(99.88), 감태나무(21.07), 관목층은 졸참나무(77.47), 소나무(60.03), 청미래덩굴(56.19), 초본층은 억새(82.74), 산거울(74.02), 졸참나무(49.43)순으로 나다났다. 종다양성지수는 벌목지 1.05, 비벌목지 1.32, 비산화지 0.22, 균등성지수는 벌목지 0.70, 비벌목지 0.85, 비산화시 0.63이며, 우점도지수는 벌목지 0.15, 비벌목지 0.06, 비산화지 0.96, 천이도는 벌목지 345.19, 비벌목지 747.47, 비산화지 674.34, 각 지소별 유사도지수는 벌목지와 비벌목지간 0.66, 비산화지와 벌목지간은 0.50, 비산화지와 비벌목지간은 0.61이었다. 토양성분은 pH, 치환성양이온인 $Ca^{2+}$, $Mg^{2+}$, $Na^{2+}$, $NH{_4}^+$-N, $NO{_3}^-$-N은 벌목지가 비벌목지 보다 높게 나타냈으며,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총질소함량, 총탄소함량, 치환성양이온인 $K^+$는 비벌목지가 벌목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산화지의 관리에 있어서 무조건 벌목보다는 산화지의 식생회복과 재생의 정도를 고려한 선택적인 벌목이 이루어져야 된다고 생각된다.

  • PDF

의성 금봉산일대 산림식생의 조성 및 구조 (Vegetation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Mt. - Kumbong, Uiseong-Gun, Korea)

  • 배관호;이중효;김동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03-310
    • /
    • 2005
  • 의성군 금봉산일대 산림식생의 조성 및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조사구 70개소$(10m{\times}10m)$를 설정하여 식생유형과 그에 대한 특성(상재도, 상대피도, 종다양도, 종간유사도)이 분석되었다. 식생유형은 큰기름새 등이 특징짓는 산지식생형과 고로쇠나무, 고추나무, 고광나무 등이 특징짓는 저지$\cdot$계곡식생형 등 2개의 식생형으로 대별되었다. 식생단위는 4개 군락(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 고로쇠나무군락)으로 구분되어 총 1때 식생그룹으로 나타났다. 상재도와 상대피도는 그룹별로 다소차이는 있지만, 상대피도는 평균적으로 교목성이 $50\~65\%$를 나타내었고, 종다양성은 저지$\cdot$계곡식생유형에서 $2.06\pm0.25\~2.31\pm0.26$으로 산지식생유형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층위별 주요 구성종의 종간유사성을 보면,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신갈나무와 소나무, 떡갈나무, 피나무 등이, 고로쇠나무와 층층나무, 당느릅나무 등이 유사성이 높았으며, 관목층과 초본층에서는 신갈나무와 생강나무, 쇠물푸레나무, 산거울, 대사초 등과 고로쇠나무와 고광나무, 등칡 등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줄댕강나무 자생지의 환경 및 생태 특성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bitats of Abelia tyaihyoni Nakai)

  • 김경아;장수길;천경식;서원복;유기억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35-144
    • /
    • 2010
  • 본 연구는 줄댕강나무 자생지의 환경과 생태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 결과 자생지는 해발 203-297 m의 범위에서 나타났고, 경사는 $9-17^{\circ}$, 그리고 낙엽층의 두께는 2-5 cm로 확인되었다. 식생조사 결과 4개 지역의 7개 방형구 내에 출현한 관속식물은 총 113종류였으며, 생활형은 H-$D_4$-$R_5$-e로 조사되었다. 관목층의 중요치는 줄댕강나무가 39.6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떡갈나무(6.27%), 산조팝나무와 조팝나무(4.04%), 느릅나무(3.84%) 등의 순으로 나타나 이 종류들이 줄댕강나무와 유사한 환경을 선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층 수목은 아교목층에 소나무(21.22%)와 떡갈나무(16.82%)가 우점하였고, 초본층은 가는잎그늘사초(18.95%)와 그늘사초(17.63%)가 높은 출현빈도와 피도를 보였다. 종다양도는 평균 1.42였고, 균등도와 우점도는 각각 0.07과 0.86으로 산출되었다. 토양분석 결과 자생지는 사양토, 점질양토, 양토로 조사되었으며, 포장용 수량은 평균 22.49%, 유기물함량은 9.39%로 나타났다. 또한 pH는 6.75 그리고 유효인산함량은 1.23 mg/g으로 조사되었다.

백두대간 마루금일대 침엽수림의 식생형과 식물상 조성 (Vegetation Types & Floristic Composition of Native Conifer Forests i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South Korea)

  • 박상곤;조현제;이창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4호
    • /
    • pp.464-471
    • /
    • 2009
  • 백두대간 마루금일대 침엽수 자연림의 식생형이 Braun-Blanquet방법과 TWINSPAN을 병용하여 분류되고 그 생태적 특성이 분석되었다. 식생형은 소나무-가는잎그늘사초형과 잣나무-관중형 등 2개의 상위단위와 7개의 하위단위로 유형화되었다. 단위면적당($/100m^2$) 평균종풍부도와 총피도율은 각각 $21.9{\pm}8.9$종류, $146.9{\pm}32.3$%이었다. 식물상 특성은 82과 217속 387종류이었으며, 국화과, 백합과, 장미과 등이 전체 구성종의 약 25.6%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단 1종만 출현하는 과도 7.8%에 달하였다. 총피도율에 의한 상대적 중요치는 소나무과가 19.2로 가장 높았으며 과별 종풍부도 경향과 다소 반대로 나타났다.

백두대간 마루금일대 소나무림의 식생형과 생활형 조성 (Vegetation Types and Life-form Composition of Pinus densiflora Forests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in South Korea)

  • 조현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4호
    • /
    • pp.472-478
    • /
    • 2009
  • 백두대간 마루금일대에 잔존하고 있는 소나무림 58개소를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조사와 TWINSPAN 집락 분석을 통하여 식생형 그 식물상 조성 및 생활형 특성 등이 분석되었다. 식생형은 크게 가는잎그늘사초형에 속하는 4개 그룹과 구상나무-조릿대형에 속하는 1개 그룹 등 모두 5개 그룹으로 유형화되었다. 종풍부도는 국화과(26종)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백합과(21종), 장미과(18종), 자작나무과(11종)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27개 과는 1종만 출현하였다. 속풍부도의 경우도 종풍부도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41개 과는 1속만 출현하였다. 총피도 기여율은 참나무과(19.0), 소나무과(16.7), 진달래과(15.1)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국화과, 백합과, 장미과, 자작나무과, 산형과 등은 종풍부도가 상대적으로 높음에도 불구하고 총피도 기여율이 아주 낮은 경향을 보였다. 종풍부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생활형은 생육형과 산포기관형으로 나타났으며, 각 생활형 분류군 사이의 상관관계는 종풍부도와 생활형 사이의 그것에 비해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오대산 월정사지역 전나무림의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Research of Abies holophylla Forest at Wol-jong Temple(Mt. Odae, Kangwon-do))

  • 남성열;유석인;박완근;한상섭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69-81
    • /
    • 2000
  • 본 연구는 오대산 국립공원내 월정사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전나무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여 이 지역 전나무림의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전나무림의 층위구조는 교목층(2종류), 아교목층(20종류), 관목층(46종류) 그리고 초본층(87종류)으로 구성되어있었다. 조사지역에 출현한 전체식물의 중요치는 전나무가 34.0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당단풍(23.07%), 청시닥나무(14.44%), 고광나무(10.72%), 오리방풀(8.49%), 복자기 (7.80%), 고추나무(7.65%), 산거울(6.79%), 방아풀(5.76%), 고로쇠나무 (5.47%), 개다래(5.4%)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나무의 치수가 전혀 없어 앞으로 아교목층과 관목층을 형성하고 있는 단풍나무류, 참나무류, 피나무류 등의 경쟁에 의하여 천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hibitory Effect of Benzofuran Compound on Cyclooxygenase

  • Min, Kyung-Rak;Ahn, Ki-Young;Chung, Eun-Yong;Lee, Yong-Rok;Kim, Yeong-Shik;Kim, Young-So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0권6호
    • /
    • pp.315-320
    • /
    • 2004
  • Alpha-viniferin was previously isolated as a cyclooxygenase (COX)-2 inhibitor from Carex humilis (Cyperaceae) and is an oligomeric stilbene compound with benzofuran (BF) moieties in its chemical structure. In the present study, a chemically synthetic BF compound, named as 3,3-dimethyl-2,3,4,6,7,8,9,10,11,12,13,14,15,16,17,18-hexadecahydro-1H-benzo[b] cyclopentadeca[d]furan-1-one, was discovered to inhibit bacterial lipo polysaccharide (LPS)-induced prostaglandin $E_2$ $(PGE_2)$ production in macrophages RAW 264.7. The BF compound exhibited a selectively preferred inhibitory effect on COX-2 activity over COX-1 activity. Furthermore, BF compound inhibited LPS-induced COX-2 expression at transcription level. As a down-regulatory mechanism of COX-2 expression shown by BF compound, suppression of nuclear factor $(NF)-{\kappa}B$ activation has been demonstrated. BF compound inhibited LPS-induced $NF-{\kappa}B$ transcriptional activity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NF-{\kappa}B$ p65, in parallel, but did not affect LPS-induced degradation of inhibitory ${\kappa}B{\alpha}$ protein $(I{\kappa}B{\alpha})$. Taken together, anti-inflammatory effect of BF compound on $PGE_2$ production was ascribed by its down-regulatory action on LPS-induced COX-2 synthesis in addition to inhibitory action on enzyme activity of COX-2.

중국 장백산(長白山) 일대의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 산진달래(R. dauricum), 철쭉(R. schlippenbachii)의 분포 및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 R. dauricum, R. schlippenbachii on Mt. Changbai in China)

  • 강귀옥;현영남;안영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27-540
    • /
    • 2011
  • The investigation was made about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 R. dauricum and R. schlippenbachii on Mt. Changbai in China. The Ericaceae plants are known to be highly ornamental and easy to cultivate. The results of investigations are like followings. The plant species diversity was the highest in habitats of R.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 followed by those of R. schlippenbachii and R. dauricum. R.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 community was found in the northwest exposure areas of 300m in altitude. Corylus heterophylla, Carex humilis var. nana, Atractylodes japonica species also grew in the R.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 community. R. dauricum communities were widely distributed in the west exposure areas of 1226-1860m above sea level. R. schlippenbachii populations were found in areas of under 300m above sea level, which has dry soil. But humidity of air was relatively high in the place. Artemisia japonica, Lespedeza bicolor and Dactylis glomerata were found around the habitats of R. schlippenbachii. Phalanx type of plants were dominant near the habitats of Ericaceae plants as 61%. Further, there appeared higher plant life totalling to 72 taxa comprising 54 species, 16 varieties and 2 forma with 31 families and 59 genuses at the whole survey area. Among these, Compositae plants excellent in resistance to environment was surveyed the most, accounting for 30.0%.

우리나라 소나무 주요유형지별 식생구조와 환경요인 (Community Structure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Major Type of Pinus densiflora Populations in Korea)

  • 윤정원;김용식;김기송;성정원;박기환;이창현;신현탁;이명훈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167-178
    • /
    • 2014
  • The populations of Pinus densiflora in South Korea were grouped into 4 types; Community of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of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of Pinus densiflora-Fraxinus sieboldiana & Rhus javanica & Quercus mongolica and Community of Pinus densiflora-Prunus sargentii & Rhododendron mucronulatum. The Shannon diversity index was varied between 0.9171 and 1.5016, while the Similarity index was varied between 43.18 and 72.16. The species of Pinus densiflora are correlated positively significant with Carex humilis var. nana, Quercus serrata and Atractylodes ovata and negatively significant with Aster scaber and Sorbus alnifolia in order.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populations and the environment factor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character of forest soil. Thus types for Pinus densiflora are differed. pH, Ex. K and Ex. Ca of Pinus densiflora populations effect No. of species and H'(shannon index). Canopy open effects No. of Individuals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수종의 화장품용 천연물과 화합물의 In Vitro 광독성 대체 시험 (In Vitro Alternative Phototoxicity Test for Various Cosmetic Natural Extracts and Chemicals)

  • 조완구;박지은;박문억;이상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93-20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in vivo 광독성 시험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체 유래의 섬유아세포를 활용하여 광독성 물질(promethazine, chlorpromazine chlortetracycline, 8-methoxypsoralen, neutral red, bithionol)과 비광독성 물질(cinnamic aldehyde, p-aminobenzoic acid, sodium lauryl sulfate, L-cysteine)을 평가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neutral red uptake (NRU)로 평가하였다. NRU 광독성 시험 결과 bithionol를 제외한 화합물에서 모두 in vivo 실험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같은 방법으로 화장품 성분인 $Medimin^{(R)}$ A, $Medimin^{(R)}$ D, $LG^{(R)}$ 106W, $Phytoclear^{(R)}$ EL-1, 단삼동 추출물, 미인초 추출물, 산거울 추출물, $Parsol^{(R)}$ MCX와 $Parsol^{(R)}$ 1789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단삼동 추출물을 제외한 원료에서 광독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