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Research of Abies holophylla Forest at Wol-jong Temple(Mt. Odae, Kangwon-do)

오대산 월정사지역 전나무림의 생태학적 연구

  • 남성열 (오대산 국립공원 관리사무소) ;
  • 유석인 (강원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
  • 박완근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 한상섭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The vegetation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forest was analyz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for conservation of Abies holophylla forest at Wol-jong Temple in Mt. Odae national park, southern Korea. The layer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forest was consists of tree layer(2 species), subtree layer(20 species), shrub layer(46 species) and herb layer(87 species), The importance value of Abies holophylla was the highest one 34.09%, and those of Acer pseudo-sieboldianum. Acer barbinerve, Philadelphus schrenckii. Isodon excisus, Acer triflorum, Staphylea bumalda, Carex humilis, Isodon japonicus, Acer mono and Actinidia polygama were 23.07%, 14.44%, 10.72%, 8.49%, 7.80%, 7.65%, 6.79%, 5.76%, 5.47% and 5.41%, respectively, Especially, when predicting succession in Abies holophylla forest, such seedlings were not formed and succession was governed by competition of Acer species, Quercus species and Tilia species of subtree and shrub layer.

본 연구는 오대산 국립공원내 월정사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전나무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여 이 지역 전나무림의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전나무림의 층위구조는 교목층(2종류), 아교목층(20종류), 관목층(46종류) 그리고 초본층(87종류)으로 구성되어있었다. 조사지역에 출현한 전체식물의 중요치는 전나무가 34.0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당단풍(23.07%), 청시닥나무(14.44%), 고광나무(10.72%), 오리방풀(8.49%), 복자기 (7.80%), 고추나무(7.65%), 산거울(6.79%), 방아풀(5.76%), 고로쇠나무 (5.47%), 개다래(5.4%)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나무의 치수가 전혀 없어 앞으로 아교목층과 관목층을 형성하고 있는 단풍나무류, 참나무류, 피나무류 등의 경쟁에 의하여 천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