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givers' Satisfaction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5초

배우자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이 부양부담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s on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 of Spousal Caregivers)

  • 홍주연;김민희;방희정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3호
    • /
    • pp.367-387
    • /
    • 2012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점점 증가하고 있는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우울에 미치는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인천에 거주하고 있고 50세 이상의 배우자 부양자 142명(여자 89명, 남자 52명)을 대상으로 피부양자의 객관적인 요인, 부양자의 인구학적인 요인, 그리고 심리적 요인으로 부양자의 외향성, 신경증적 성향, 부양 전 부부관계 만족, 사회적 지지가 부양부담과 부양자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부양부담과 우울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양부담에는 피부양자의 일상생활활동수준과 신경증적 성향이, 우울에는 부양자의 신경증적 성향과 부양 전 부부관계 만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피부양자의 객관적 요인이나 부양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비해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이 부양부담과 우울을 더 잘 예측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이 부양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했으며, 마지막으로 배우자 부양부담 완화를 위한 제언,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치매 환자의 가족 돌봄 제공자가 인식하는 사회적지지: 개념 분석 (Perceived Social Support of Family Caregivers for People with Dementia: Concept Analysis)

  • 김애리;김정연;우경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40-554
    • /
    • 2021
  • Purpose: Most of the currently used concepts and measurements of social support have been relevant for general popul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concept analysis of perceived social support(PSS) of family caregivers for people with dementia. Methods: This study adopted the Walker and Avant concept analysis methodology. Results: Findings from this concept analysis suggested four defining attributes of PSS of family caregivers for people with dementia: 1) PSS is help or assistance that family caregivers perceive as available when needed; 2) PSS is offered through socio-ecological structure; 3) PSS has a specific function to meet the needs of family caregivers; and 4) PSS includes quality aspects where family caregivers choose, use, or evaluate it. Borrowing from the socio-ecological model, this study proposed the structural aspects of PSS. This study also identified functional aspects of PSS, such as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ppraisal support, and practical support. Finally, this study assessed quality aspects of PSS, such as satisfaction, timeliness, usefulness, accessibility, and coordination. Conclusion: Focusing on family caregivers for people with dementia, we proposed a new model of PSS. The present study helped refine and clarify the concept of PSS of family caregivers for people with dementia.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also contribute to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instruments for the concept.

주 양육자의 삶 만족도와 학대 간 관계에서 아동의 삶 만족도 종단매개효과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Life Satisfaction and Abuse of the Primary Caregiver for Children in a Relationship)

  • 김혜금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5호
    • /
    • pp.435-446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primary caregivers' life satisfaction and abuse mediated by children's life satisfaction. We included term panel data for 3 years (2013-2015) from the 4th year to the 6th year of 2,067 children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of the Korean Youth and Youth Panel(KCYPS)(2015); in addition, three years' longitudinal panel data (2013-2015) were analyzed utilizing SPSS 18.0 and AMOS 22.0 to measure Latent Growth Model(LGM) term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rimary caregiver,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child, and abuse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fourth grade to the sixth grade. Second, the initial status of primary caregivers' life satisfaction influenced the initial status of the children's life satisfaction, and the initial status and change in the abuse rate. Third, the rate of change of life satisfaction of the primary caregive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in the abuse rate and the rate of change of life satisfaction of the child. The initial value of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child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rimary caregiver, initial value of the abuse, and abuse change rate. The results suggest that a program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동영상 기반 간호정보제공이 중환자실 입원 환자 가족의 환경적 스트레스, 불안과 간호요구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Video-based Admission Education on Environmental Stress, Anxiety and Nursing Needs Satisfaction among Family members with Patient in ICU)

  • 이문경;이윤미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1
    • /
    • 2012
  •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deo-centered information among family members intensive care unit (ICU). Methods: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n=86) were family members who were the main caregivers for the patient in ICU. An experimental group (n=43) watched a video while the control group (n=43) was provided a leaflet. Levels of environmental stress, anxiety and nursing need satisfaction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 Data were analyzed with ${\chi}^2$ test,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Fisher's exact test and ANCOVA.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stress (F=1.88, $p$=.065), and anxiety (t=0.37, $p$=.711) between 2 group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ing need satisfaction (t=3.01, $p$=.004). Conclusion: Providing video-centered information would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by improving nursing need satisfaction among family, the main caregivers members of patients in ICU.

  • PDF

Effect of 360-degree Hospitalization Guide Video Content for ICU Caregivers on Anxiety, Satisfaction and Safety Perception

  • Park, Jung-Ha;Lee, Yun-Bo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4호
    • /
    • pp.233-24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360-degree video on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guidance to family member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and then to identify anxiety, safet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This study was a single-group pre-post design,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October 1, 2020 to August 30, 2021.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people who applied 360 degree hospitalization guide video. For data analysis, SPSS WIN 24.0 program was used, and real number,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minimum value, maximum value,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ere used. The subjects' anxiety before intervention was an average score of 6.21±2.30 and the anxiety after intervention was an average score of 3.95±2.46,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z=4.13, p<.001). The safety consciousness of the subjects before the intervention was an average of 4.08±0.39 and the safety consciousness after the intervention was an average of 4.54±0.48,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z=5.00, p=.001).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360-degree hospitalization guidance image of the subjects was 4.58±0.51 and the lowest was 4.16±0.96. In this study, when 360-degree hospitalization guide video was applied, there was a difference in anxiety and safet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as hig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various programs for guardian education can be developed and utilized in the future.

가족수발자가 인지하는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질과 만족도, 활용도 간의 관계분석 (An Analysis of Relationships among Quality,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Perceived by Family Caregivers in Standard LTC Utilization Plan)

  • 이정석;한은정;권진희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871-884
    • /
    • 2011
  •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자와 가족의 급여이용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된 일종의 케어플랜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족수발자가 인지하는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질과 만족도, 활용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료는 2008년 11월~12월 현재 노인장기요양보험 1~3등급 판정을 받고 재가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수급자의 가족수발자를 대상으로 가정방문면접조사를 통해 수집하였고, 총 944명의 가족수발자 가운데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를 읽어본 경험이 있으며 설문을 완성한 351명이 최종분석대상이 되었다. 조사도구는 가족수발자와 수급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장기요양특성, 질 측정항목(9개), 전반적 만족도 측정항목(1개), 활용도 측정항목(2개) 등을 포함하였고, 질, 만족도 및 활용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질은 장기요양 욕구평가 영역, 장기요양 이용계획 영역, 월 한도액 관리지원 영역 등 세 개 영역으로 구분되었고, 모든 영역이 만족도 및 활용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경로분석 결과,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장기요양 욕구평가 영역의 질(간접효과, 경로계수=0.077)과 전반적 만족도(전체효과, 경로계수=0.324)가 활용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역할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뇌졸중 기능손상 노인의 가족수발자에 대한 사회복지실천 개입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ork Intervention for the Family Caregivers of Older Persons with Stroke)

  • 이인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3권
    • /
    • pp.231-255
    • /
    • 2003
  • 본 연구는 뇌졸중 노인의 가족 수발자들을 대상으로 집단 프로그램과 개별상담을 제공하고 이러한 사회복지실천에 입각한 개입이 간병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지 검증하였다. 12명의 가족 수발자들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하고 사전 검사 후 실험집단에 대해서만 8회에 걸쳐 개입을 실시하고 다시 두 집단에 대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개입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3개월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개입 효과의 지속 여부를 검증하였다. 통계분석은 비모수통계방법인 Mann Whitney test, Wilcoxon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개입은 수발자의 간병 부담, 소외감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있었다. 간병자의 자존감과 간병에 대안 자진감, 노인과의 관계, 정서적 지지도 향상되었다. 그러나 간병자의 우울, 전반적인 삶의 만족, 공적 서비스의 사용은 변화가 없었다. 둘째, 추후검사를 통해 개입 효과의 추이를 확인한 결과 간병부담, 자존감, 간병에 대한 자신감, 정서적 지지에 대한 개입효과는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인과의 관계는 악화되었으며 소외감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회복지실천 개입에 대한 참여자들의 만족도, 유용하다고 느끼는 정도는 매우 높았다. 참여자들은 특히 지지적 세션에 의해 많은 도움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 개입의 확대, 자조집단의 조성, 지지적 세션을 잘 이끌어갈 것, 간병 받는 노인의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배려, 수발자들의 내재된 분노나 죄의식을 다루어 줄 것 등의 실천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 PDF

치매노인과 주부양자의 성별 관계에 따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 피로 및 생활만족도 비교 (Comparison in Care Burden, Fatigue, and Life Contentment of Caregivers by Gender Relationship with Demented Elders)

  • 이영휘;조인숙;김화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6-204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gender respect to care burden, fatigue, and life contentment of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The setting of the study was a community-based dementia care center providing daycare services. One hundred ninety four caregivers were recruited for the surve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which included demographic information, care burden, fatigue, and general contentment scales. Caregiver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by gender relationship with care recipients. Results: The majority of the caregivers were middle-aged and elderly. More than twice as many were female rather than male caregivers. The results showed that women caregivers expressed more fatigue than men overall (p < .05). In the gender relationships, a different combination of man-woman appeared to have more burdens than that of a woman-woman group (p < .05). For fatigue, the man caregiver-woman elderly group showed a higher fatigue score than a woman-man group (p < .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contentment among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egiver's gender and gender relationship with elders could be considerable factors when the nurses make a plan in the community for dementia nursing management services.

  • PDF

노인요양병원 간병인의 돌봄서비스 질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국동포 간병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Quality of the Care Service of the Caregivers in a Nursing Hospital for the Elderly in the Intent of Reuse: Focusing on Chinese-Korean Caregivers)

  • 송인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56-467
    • /
    • 2019
  • 우리나라의 급속한 고령화 현상은 노인요양병원의 확충으로 인한 인력수급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노인요양보호 서비스의 인력충원을 위해 외국 인력의 고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병원의 외국인 간병인의 돌봄서비스 질이 기관에 대한 신뢰, 만족,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 6개의 노인요양병원에서 중국동포 간병인의 돌봄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 249명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요양병원 간병인의 돌봄서비스 질인 신뢰성, 대응성, 공감성, 유형성, 전문성은 기관에 대한 신뢰와 만족, 재이용의도와의 관계에서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요양병원의 중국동포 간병인의 돌봄서비스 질이 간병인의 신뢰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응성, 유형성, 전문성이며, 만족에 미치는 요인으로 돌봄서비스의 신뢰성, 유형성, 전문성 요인이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관의 신뢰와 만족은 모두 재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요양병원의 중국동포 간병인의 돌봄서비스의 질과 만족도의 관계에서 신뢰에 대한 간접효과는 돌봄서비스의 질 중 대응성을 제외하고 모든 독립변수에서 나타났으며, 신뢰와 재이용의도의 관계에서 만족도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요양병원의 중국동포 간병인 돌봄서비스 질이 이용자의 재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 양질의 돌봄서비스 질을 통해 신뢰와 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여야 할 것을 시사한다.

재가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배회관리 지침 개발 (Development of a Wandering Management Guideline for Family Caregivers of Community-dwelling Elders with Dementia)

  • 천홍진;송준아
    • 한국노년학
    • /
    • 제36권4호
    • /
    • pp.1089-110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 치매노인 가족이 치매노인의 배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지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데 있다. 연구의 절차는 총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째, 배회관리 지침 개발 준비 단계에서는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 10인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및 개별 인터뷰를 시행하여 치매노인의 배회 관련 경험을 분석하였다. 둘째, 지침 개발 단계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해 예비 항목을 작성하고 전문가 8인의 내용타당도 검증과정을 거쳐 최종안을 완성하였다. 셋째, 지침의 평가 단계에서는 치매노인 가족 13인을 대상으로 지침에 대해 교육하고 제공된 배회관리 지침 소책자를 이용하여 일주일 간 적용하도록 한 후 배회 관련 지식, 지침 적용정도, 사용자 만족도를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개발된 지침은 '배회의 정의', '배회의 원인', '배회 가능성이 높은 경우', '배회 예방', '실종 예방', '배회 발생 시 대처 방법', '실종 발생 시 대처 방법'의 7가지 주제, 총 86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배회관리 지침 사용 교육 전 후 가족의 배회 관련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하였고(p=0.014), 지침 적용 정도 9문항의 평균은 2.69~3.46(range: 1~4)점이었으며 사용자 만족도의 7개 항목 평균은 2.85~3.38(range: 1~4)점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배회관리 지침은 국내 지역사회거주 치매노인의 배회 특성과 가족의 요구를 반영하여 개발되었으며, 개발된 지침을 가족들에게 시범 적용하고 평가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배회관리 지침은 가족들이 치매노인의 배회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하고 대처하며 배회로 인한 부정적 결과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