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success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5초

진로지속학습과 직업적 사명감이 청년 교사의 진로성공에 미치는 영향: 진로개발압력의 조건부 직접효과 (Effect of career continuous learning and a sense of professional mission on career success of Chinese young teachers: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career development pressure)

  • 이가영;조혜화;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249-257
    • /
    • 2024
  • 본 연구는 중국 청년 교사를 대상으로 진로지속학습이 직업적 사명감을 경유하여 진로성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개발압력의 조건부 직접효과를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는 중국 광동지역의 한 대학교에서 유의표집한 청년 교사 3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조건부직접효과 분석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지속학습 및 직업적 사명감은 진로성공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진로개발압력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개발압력은 진로성공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진로지속학습이 직업적 사명감을 경유하여 진로성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개발압력의 조건부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지속학습 뿐만 아니라 직업적 사명감과 진로개발압력을 동시에 활용하여 진로성공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착근도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모형 (Structure equation modeling of job embeddedness in general hospital nurses)

  • 김경미;전소연;주현정;이연향;우경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4-21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a hypothetical model of testing for general hospital nurses' job embeddednes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0 to September 19, 2021,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swered by 428 general hospital nurses.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and AMOS. Results: Nine of the hypothetical model's 12 hypotheses were supported by the data collected from all participants. The test results indicate that ego resilience,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recovery experience from job stress directly affect participants' job embeddedness. Nurses' work environments were reported to affect ego resilienc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while at the same time ego resilienc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affected the participants' job embeddedness. Work-life balance was found to affect ego resilience and ego resilience affected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at the same time subjective career success directly affected participants' recovery experiences from job stress and job embeddedness. Of these variables, subjective career success had the strongest direct effect on participants' job embeddedness. Work-life balance affected the participants' recovery experiences from job stress, and their recovery experiences from job stress were found to directly affect job embeddednes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management strategies to enhance hospital nurses' job embeddedness should address nurses' ego resilience,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recovery experiences from job stress.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in Lifelong Learning Educators)

  • 유수란;배을규;이민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6호
    • /
    • pp.85-104
    • /
    • 2018
  • 이 연구는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작용하는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이들 간 관계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 및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Briscoe, Hall과 Demuth(2006)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측정도구, Houghton과 Neck(2002)의 셀프리더십 측정도구와 Greenhaus 외(1990)의 경력만족, Mobley 외(1994)의 직무만족, Johnson(2001)의 고용가능성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천지역 평생교육강사를 대상으로 총 450부를 배포하여 430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430부 중 불성실한 응답이라 판단되는 4부를 제외한 426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유효 자료율: 95.6%). 수집된 자료는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고, 연구의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셀프리더십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평생교육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셀프리더십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과 각 변인들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몇가지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프로티언경력지향성, 지속학습활동,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조직문화 불균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Cultural unbalance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 김나영;정승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77-489
    • /
    • 2021
  • 본 연구는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지속학습활동을 통해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과정에 대해서 조직문화 불균형성이 조절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기업 경력 5년 이상의 사무직 근로자 2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5와 Process Macro v3.5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지속학습활동이 매개하는 것은 확인되었지만, 조직문화 불균형성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의 하위변인인 '자기주도성'이 지속학습활동을 통해 주관적 경력성공 및 그 하위변인 '고용가능성',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과정에 대한 조직문화 불균형성의 조절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에 제한점, 후속연구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Effects of Job Crafting on Career Succes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Employees

  • YOON, Kyung-Hee;KIM, Bo-Young;EOM, Jae-Gu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4호
    • /
    • pp.213-225
    • /
    • 2019
  • As the recent tendency of career management has changed, companies have supported progressive career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their employees internally. And strengthening job crafting is an effective activity not only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s but also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and wellbeing of their employees. In these backgrounds,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job crafting for the multinational employees in order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job crafting and empirically analyz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in terms of career success through career commitment and career attitude.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job crafting was defined with three components; task crafting, relation crafting, and cognitive crafting. A total of 336 survey data were analyzed for a total of 27 multinational corporations. As the analysis result the task crafting and cognitive crafting of multinational employees were shown to have an influence on career attitude, but relation crafting did not have any impact on career.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employees have self-directed career attitude through a method of showing visible performance based on their given jobs rather than having individual career management attitude through relationships between departments, organizational members, and supervisors.

직장인의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areer Planning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Organization Employees: Mediating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Fit and Person-Job Fit)

  • 김동윤;진성미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1호
    • /
    • pp.31-53
    • /
    • 2018
  • 글로벌화와 고용시장 변화에 따른 경력 환경의 불확실성은 노동시장을 경쟁적으로 변화시키며 근로자의 고용불안을 더욱 확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제기되는 개인 주도의 새로운 경력 패러다임은 경력 주체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내재적 관점의 경력성공을 중요한 경력 성과임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개인의 경력 계획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그리고 경력성공을 위해서는 개인의 경력계획뿐만 아니라 경력계획을 통해 개인이 인지하는 조직 및 직무적합성 또한 중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개인의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개인-조직적합성 및 개인-직무적합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직장인 220명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경력계획은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 모두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쟁적인 고용사회에서 경력만족 및 고용가능성과 같은 주관적 경력성공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의 주도적인 경력계획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경력계획을 통해 현재의 조직과 직무에 좀 더 만족하며 주관적 경력성공을 충족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직차원에서도 조직구성원들의 주관적 경력성공을 위해서는 개인차원의 역할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이 조직 및 직무적합성을 더욱 높게 인식할 수 있도록 개인의 경력계획을 반영한 경력개발프로그램과 직무순환제도가 개발될 수 있도록 전략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가족친화적 기업환경이 여성관리자의 자아효능감과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amily-friendly Corporate Environment on Women Managers' Self-efficacy and Career Success)

  • 김필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4호
    • /
    • pp.49-57
    • /
    • 2012
  • This study aims examining a few elements representing a family-friendly corporate environment such as the attitude of CEOs, corporate culture, the support from direct supervisors and their influence on the sense of self-efficacy and career success of women managers. The summary and conclusion of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attitude of CEOs as one of the representing elements for family-friendly corporate environment was found to affect the sense of self-efficacy and the career success of married women managers with positive effects. Second, the support of superior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of women managers. Finally, the sense of women's self-efficacy turned out to affect career success of women managers. For the use of female resources as a growth power, the attitude of CEOs who promote gender equality, and the support of supervisors will play a very important part, and in order to build a corporate culture with gender equality, promotion and policy-making on corporate as well as government level are required.

직장남성의 패션행동 및 인상관리행동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The Effects of Fashion Behaviors and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s on Career Success of Male Office Workers -Applying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류은숙;류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31-147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behavior,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and career success. A conceptual model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oretical linkages between the constructs. Thereafter,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t of questionnaires. For this reason, the sample was taken from 720 office workers' who worked at 14's Korea Enterprise, 697 of which was used for an empirical analysis (sample: men over 30 years of age and more than three years continuous service). This study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validity test. Cronbach's alpha test is used for the reliability test. Moreover,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employed to test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conceptual model (SPSS 20.0 window/Smart PLS 3.0). This study shows that the proposed model is reasonably fit to the actual dat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analyses. First, fashion behavior and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is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success. The result shows that economics of the fashion behaviors sub-types were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to influence career success. The self-focused of the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sub-types were more than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influence career success. This finding has great implications to understand self-management behavior and the career success of male office workers.

지속경력학습의 선행 및 결과변인과 매개효과 (Antecedents and Outcome Variable and Mediating Effects of Continuous-Related Career Learning)

  • 지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64-578
    • /
    • 2015
  • 본 연구는 지속경력학습 선행변인(개인-직무적합성, 인적자본투자)과 결과변인(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인과관계 규명과 개인-직무적합성, 인적자본투자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지속경력학습 매개효과를 규명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는 울산지역 자동차 및 제주지역 공기업 종사자 241명으로부터 수집되었으며, 동일방법편의 대안으로 측정환경 분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개인-직무적합성과 인적자본투자가 지속경력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둘째, 지속경력학습인 주관적 경력성공을 촉진하는 주요원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셋째, 지속경력학습은 개인-직무적합성 및 인적자본투자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를 각각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직무 및 조직차원변인을 활용하여 지속경력학습의 선행변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지속경력학습의 연구범위 확대에 기여하고 있으며, 주관적 경력성공 연구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을 촉발하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지속 경력학습의 매개효과 규명을 통해 개인의 경력개선 과정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있다.

호텔종사원의 비공식적 인간관계가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Informal Networking on the Career Success in Hotel Employee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최우성;김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445-456
    • /
    • 2010
  • 인적자본 변수들은 경력성공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들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2가지 목적을 가지고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비공식적 인간관계와 경력성공의 관계, 둘째, 이들 관계에 있어 성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먼저 비공식적 인간관계는 경력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구성원들 간의 관계에 있어 비공식적 인간관계가 형성된다면 조직 내 구성원들 간에 신뢰 및 지지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직시민행동 등과 같은 긍정적인 조직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비공식적 인간관계는 경력성공에 있어 중요한 변수이다. 둘째, 성별은 이들 관계에 있어 부분적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공식적 인간관계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남성이 여성보다 중요하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