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preparation program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학생 핵심역량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의 차이 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s Among Core Competency of Collegiat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Barriers)

  • 하정윤;김정민;강지연;차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80-89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핵심역량에 따른 진로 변인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대학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운영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K-CESA 진단도구를 통해 대학생 핵심역량을 확인하였고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 등의 검사 결과를 수집하여 대학 유형에 따른 변인들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학생 핵심역량의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 의사소통역량은 4년제 대학생들보다 지방 전문대 학생들이, 자원 정보 기술활용역량과 글로벌역량은 4년제 대학생들이 더 높은 역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 변인들은 대학 간 차이가 분명히 나타나지 않았지만, 진로장벽 변인은 수도권 4년제 대학생들이 지방소재 4년제 및 전문대 학생들에 비해 더 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역량 상위집단 학생들이 하위집단 학생들보다 높은 수준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을 보였고, 낮은 진로장벽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에서 일률적이고 단편적인 진로 프로그램보다는 학생들의 핵심역량과 진로발달 수준을 고려하여한 진로 프로그램을 설계 운영하는 것이 대학생들의 진로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The Effects of College Life Adaptabi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 Il-Hyun, 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245-254
    • /
    • 2022
  • This study is a study to empirical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ulti-mediated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For this study, 216 university students were enrolled. For the collected data,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and multiple serial mediating effects on major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between college life adapt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the path of simple mediation and double media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earch, the necessity of revitalizing the program for revitalization of teaching activities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activities in the major field and improvemen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ability and follow-up research were suggested.

일부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by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on Job Preparation Behavior)

  • 배성숙;노희진;문소정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5-59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the influential 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by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on their job preparation beaviors. Methods: The total 714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juniors and seniors of health science college, and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IBM SPSS statistics 20.0. Result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job preparation behavior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and while seniors showed highly active job preparation behaviors, those who had high satisfaction level toward their major studies,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outgoing personality had highly active job preparation behaviors. 2. Students with high satisfaction level toward their major studies, high academic achievement, outgoing personality, and high expected salaries showed hi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vel. 3. Students with high satisfaction level toward their major studies,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highly outgoing personality showed high level of career identity. 4. Subsidiary 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collection of job information, goal setting, planning, and self-assessment, and all of them showed correlation with job preparation behaviors. 5. Among subsidiary 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job information showed correlation with job preparation behaviors. Conclusion: For improvemen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individual support, psychological support, educational support and other supports regarding job employment to provide wide paths and methods for job preparation behaviors are essential, and through various job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and graded counseling, job preparation behaviors shall be promoted as a great strategy.

  • PDF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 장태정;문미경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4-35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satisfaction with major,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studen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August 31, 2014. Participants were 400 students who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cover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ursing professionalism, satisfaction with major and self-leadership. The SPSS/WIN/PC 21.0 program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al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scores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ursing professionalism, satisfaction with major, and self-leadership were 2.51, 3.80, 3,89, and 3.51 respective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ursing professionalism, satisfaction with major, and self-leadership. Age, academic year, nursing professionalism, self-leadership, general satisfaction in satisfaction with major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career educational programs considering according to the academic year of nursing students an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진로능력강화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진로성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areer Empowerment Program on Career Matur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ment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817-828
    • /
    • 2013
  • 본 연구는 취업캠프와 실무자 실전면접 활용 진로능력강화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진로성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진로능력강화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파악하고자 하는 단일군 전후설계의 원시실험연구였다. 대상자는 간호과 3학년 졸업반 247명이었다. 연구결과로, 진로성숙도는 평균 2.59점에서 2.57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평균 3.44점에서 3.65점으로 증가하였으며(t=8.67, p<.001), 취업스트레스는 평균 2.94점에서 2.83점으로 감소하였다(t=-3.46, p<.001). 진로능력강화프로그램 전후에 따른 특성별에서, 진로성숙도는 취업률이 높아서 지원한 학생(F=3.15, p=.025), 현재 취업준비도가 높은 학생(F=2.69, p=.032)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현재 취업준비도가 높은 학생(F=1.22, p=.031)에서, 취업스트레스는 현재 취업준비도가 낮은 학생(F=2.52, p=.03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Typ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 정영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709-172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J도 소재 3,4학년 간호대학생 198명으로, 2021년 6월 14일부터 6월 27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정체감 2.79점(범위 1~4), 합리적 유형 3.78점(범위 1~5), 직관적 유형 3.38점(범위 1~5), 의존적 유형 3.01점(범위 1~5), 진로준비행동 3.51점(범위 1~5)이었다. 진로준비행동은 진로정체감(r=.40, p<.001), 합리적 유형(r=.50, p<.001), 직관적 유형(r=.22, p=.002)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존적 유형(r=-.20, p=.004)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정체감(β=.23, p=.001), 합리적 유형(β=.31, p<.001), 직관적 유형(β=.27, p<.001), 의존적 유형(β=-.20, p=.002)으로 나타났다. 이 변수들은 진로준비행동을 24.6%p 설명하였다(F=11.93,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진로정체감 확립과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진로지도를 포함시킨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제안한다.

항구대학교 환경교육과 학생들의 진로전망인식과 진로준비 고찰 (Perception of Undergraduat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Students of Hangu University on Their Career Prospect and Career Preparation)

  • 안선영;이용환;양안나;금지헌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1호
    • /
    • pp.82-96
    • /
    • 2008
  • 이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환경교육과 학생의 진로 발달을 고찰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그들의 진로 전망 인식, 진로 준비 과정, 대학의 진로발달지원을 이해하는데 있다. 대부분의 대학생에게 학교를 다니는 주요한 목적은 진로를 준비하는 것이지만 대학의 교육은 그들이 원하는 직업을 얻기에 충분하지가 않다. 전공이 특정한 진로경로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또는 전공이 특정한 진로경로를 가지고 있지만 흡족하고 질 높은 직업을 제공하지 않을 때 진로 준비는 더 복잡해진다. 학부 환경교육과 프로그램이 최근의 전형적인 예이다. 학부 환경교육과 학생들과 그들을 둘러싼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 2007년 8월 17일부터 8월 20일까지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항구대학교(가칭) 환경교육과 학부, 졸업생 6명에 대하여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는 연구 참여자 한 사람 당 $1{\sim}2$회, 1회 2시간 정도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들은 진로 전망, 진로 결정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지만 잘 발견되지는 않았다. 두 번째, 진로 탐색, 진로준비는 개인적으로 수행되며, 학교는 많은 체계적인 진로 지원을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세 번째, 프로그램의 교과과정과 그들의 미래진로는 관련을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대학에서 진로 발달과 관련된 몇 가지 주요한 함의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환경교육과 프로그램의 학부 학생들은 전공과 관련된 직업 기회의 탐색으로부터 직업 탐색 스킬의 개발에 이르기까지의 종합적인 진로 발달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경험적인 진로 탐색이 환경교육이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적합한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이들 학생들을 위한 진로 발달 지원은 대학교 저학년부터 실시해야 한다. 세 번째, 이들 학생들은 다른 학문적 영역뿐만 아니라 그들의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기회를 탐색하는 데 있어서 도움을 필요로 할 것이다.

  • PDF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 임상실습만족도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on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 채민정;정효주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3-222
    • /
    • 2016
  • Objectives : This study ident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on the rel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thods : Study participants were 454 nursing students with a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who were enrolled as members of two university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analyzed with SPSS 19.0 program. Results : Satisfaction with maj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wa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preparation. A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was found in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clusions :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should provide much effort and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curriculum and hands-on training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students' level and interests so that their outcomes can be connected to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임파워먼트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the Effect of the social capital discovery program on empowerment and career preparation activ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 허정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219-228
    • /
    • 2016
  • 본 연구는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임파워먼트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 연구이다. K시 소재 4년제 여자대학에 재학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0명과 통제집단 30명을 선정하여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Pre test-Post test Group Design)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임파워먼트 하위 영역가운데 개인내적, 정치 사회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인관계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준비행동 하위 영역 가운데 정보수집활동, 실천행동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임파워먼트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앞으로 여대생의 임파워먼트와 진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해 더욱더 활발한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 김경남;임수민;장여영;전다혜;정민주;정지희;조민희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50-1461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egree of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major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thod: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ust 03 to 30, 2020 for 4 weeks. The surve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220 students in grades 3-4 who were enrolled in 6 nursing departments located in P metropolitan city and G province, and hav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0.0 program. Resul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r=.455, p<.001) and self-leadership(r=.539, p<.001), and major satisfaction(r=-.337, p<.001)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r=-.380, p<.001)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lf-leadership(β=.424, p<.001)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study subj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β=.170, p=.010),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β=.127, p=.047), employment information(β=.122, p=.023), major satisfaction(β=.137, p=.042) in the order, these variables were found in the order of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40.2%. Conclusion: Therefore, in order to help nursing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 strategy to provide a variety of employment information and a strategy for nursing intervention that can improve self-leadership,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i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