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adaptability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7초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진로적응성에 따른 직업관, 진로선택, 전공미결정요인 비교 (Work Value, Career Choice, and Specialty Indecision Based on Career Adaptability of Medical College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 천경희;박영순;이영환
    • 의학교육논단
    • /
    • 제14권2호
    • /
    • pp.69-7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medical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with regard to the factors that shape career choice and specialty indecision. One hundred and thirty-three students from a medical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completed a survey, which collected information on career choice, specialty indecision, and career adaptabili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high and low career adaptability groups in factors that affected specialty choice and indecision. Students with high career adaptability were significantly more affected by 'intellectual content of specialty,' 'ages and characteristics of patients,''patient contact experience during the early years of medical school,' and 'greater opportunity for research.' Among the specialty indecision factors, students with high career adaptability were affected by 'several specialties equally appealing to me' and 'many interests,' while students with low career adaptability were affected by being 'unaware of my abilities,''unaware of my interests' and having 'learned my choice was not possible for me.' The factor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specialty indecision was 'need more information and support,'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factor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designed for medical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in terms of career adaptability and specialty indecision.

대학생의 소명과 진로적응성의 관계: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alling on Career Adaptability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earch for and Presence of Meaning)

  • 진현준;이기학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1호
    • /
    • pp.125-144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소명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소명과 진로적응성의 관계를 의미 추구와 의미 발견의 과정이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 재학생 245명(남학생 117명, 여학생 128명)을 대상으로 소명 척도, 의미 추구 척도, 의미 발견 척도, 진로적응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5.0과 SPSS Macro를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매개모형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 방식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적응성은 소명, 의미추구, 의미발견 모두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소명은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소명과 진로적응성의 관계를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순차적으로 부분매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상담 장면에서의 적용과 한계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여대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Investigating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Indecision of female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as the Mediator)

  • 조보람;이정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1-12
    • /
    • 2017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규명하고,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결정을 앞두고 있는 A대학교 4학년 여학생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스트레스는 진로미결정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여대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진로미결정을 예측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진로적응성이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결정간의 관계를 높이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대생의 진로미결정을 줄이기 위해서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적응성을 고려한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대학차원의 진로교육 및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 박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89-9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진로적응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 256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적응성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계획된 우연기술은 진로적응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획된 우연기술과 유연성을 제외한 계획된 우연기술의 모든 하위요인들이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강화를 위하여 진로준비행동과 계획된 우연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상업계 고등학생의 진로적응성, 진로스트레스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Career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ing of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 구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49-455
    • /
    • 2023
  • 이 연구는 학생들의 진로적응성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고,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적응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성화 고등학교들 중에서 경기 및 충청지역 상업계고등학교의 3학년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진로적응성, 진로스트레스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의 진로적응성이 높을수록 진로스트레스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적응성과 심리적안녕감과의 직접적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상업교육에서의 진로적응성에 대한 지도 및 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킬수록 진로스트레스는 감소하고 이로 인해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및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Stress for Nursing Students)

  • 박효미;이혜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304-312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및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실험 전 후 차이를 비교하는 단일군 전후 실험 설계로 95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4개 영역들(1) 진로 탐색, (2) 자기 이해, (3) 진로 계획 수립 (4) 진로 계획 실천으로 구성되었으며 상담, 전문가 특강, 모의면접 및 면접결과 분석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와 ANCOVA로 분석하였다. 진로교육 중재 후 간호학생들의 진로 자기효능감 점수(t=4.48, p<.011)와 진로응성 점수(t=3.02, p=.003)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진로스트레스 점수(t=-2.45, p=.015)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 증가시키고 진로스트레스를 개선시키는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과 진로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Relationship of Family Interaction to Korean High School Girls′ Career Attitude Maturity

  • Lee, Sang-Kil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4권2호
    • /
    • pp.1-14
    • /
    • 2003
  •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Korean high school girls' perceived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on maturity with regards to career attitude. In order to verify statistically the research questions, Cluster Sampling with Stratification was conducted among high school girls in Seoul; a total of 670 questionnaire sheets were administered to 10th graders;and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for data analysis. Subsequent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 high school girl's perceived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significantly influenced her maturity with regards to her career attitude. Particularly, the sub-variables such as democratism, participation, supportiveness, and unity of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had significant relevance to career attitude maturity. In general,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had an R square of 47.3% with regards to a female 10th grader's career attitude maturity.

농업계열 전공 대학생의 직업가치, 주관적 규범,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관계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Work Value, Subject Norm,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in Agricultural Science Fields)

  • 박혜진;유병민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4권3호
    • /
    • pp.211-22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griculture on the career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 by measuring the job value and the subjective norm of agriculture.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ubjective norm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career adaptability of agriculture major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e belief that one can plan and practice career goals and the affirmation of career plans and decisions in the vicinity are important factors in career adaptability. Second, Self-Realization and social recognition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griculture. In other words, it can be judged that social recognition such as honor and honor of others in a career choi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hich is self-esteem in career selection. Lastly, An important variable for the subjective norms of agricultural college students was social recognition. This can be said that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surrounding people is very important as the value of social recognition is more important.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유형과 유형별 특성 (Career decision profiles and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 정영미;정연이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0-169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areer decision profiles for nursing students and analyze their career barriers, preparation behaviors,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adaptability according to the career decision profile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used content analysis. A total of 219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two private Korean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in person and via email between December 8 and 31, 2020. Results: The decidedness and comfort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 clusters were identified: undecided-uncomfortable, decided-uncomfortable, decided-comfortable, and undecided-comfortable. Most participants were found to be decided-uncomfortable, followed by decided-comfortable, undecided-uncomfortable, and undecided-comfortable. The self efficacy scores were higher for the decision-comfortable profile than for the undecided-uncomfortable and decided-uncomfortable profiles. The mean adaptability scores were higher for the decision-comfortable profile than for the undecided-comfortable profile. Career barrie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paration behavio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adaptability, while preparative behavio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adaptability.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aptability. The mean career barriers, preparation behaviors,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adaptability scores differed significantly across profiles. The mean career barrier score was higher for the undecided-uncomfortable than for the decided-comfortable profile; preparation behaviors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Tailored career coaching and counseling programs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areas of interest are needed for freshmen and senior nursing students to reduce career barriers and to improve preparation behaviors,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adaptability.

중고령 근로자의 경력적응력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업무몰입과 중고령 근로자에 대한 인식의 역할 (The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on turnover intention among older workers: the role of work engagement and perception on older workers)

  • 김영형;김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203-213
    • /
    • 2022
  • 본 연구는 기업환경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환경에서는 경력적응력이 높은 종사자가 중요하다는 점과, 생산가능인구의 지속 감소로 중고령 근로자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중고령 근로자의 이직 의도를 줄이고 업무몰입을 통해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방안을 찾고자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중고령 근로자의 경력적응력 수준이 높을수록 이직 의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적응력과 이직 의도 간의 관계에서 업무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경력적응력이 업무몰입의 매개를 통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중고령 근로자에 대한 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근로자 경력적응력 및 업무몰입도 제고를 통한 이직 의도 감소방안과 더불어 중고령 근로자에 대한 고정관념 변화를 위한 기업의 노력 등에 관한 실용적 시사점 등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