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Stress

검색결과 364건 처리시간 0.032초

항공관련학과 전공자의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Recognized Career Barriers on Career Decision Level among Students of Majoring in Avia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Stress-)

  • 배신영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9-101
    • /
    • 2015
  • In this study, it examined whether recognized career barriers among students of majoring in aviation affected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stress moderated the impact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decision level. For this purpose, it conducted a survey of aviation-related college students in C university from Sep. 21th. 2015 to Oct. 8th. 2015. A total of 22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Findings indicated that career barriers partly influenced the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 level. Also, career stress had an nega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Lastly, career stress moderated the impact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decision level. The implication of this paper would be used as a fundamental material to guide for career direction to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여대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Investigating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Indecision of female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as the Mediator)

  • 조보람;이정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1-12
    • /
    • 2017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규명하고,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결정을 앞두고 있는 A대학교 4학년 여학생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스트레스는 진로미결정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여대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진로미결정을 예측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진로적응성이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결정간의 관계를 높이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대생의 진로미결정을 줄이기 위해서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적응성을 고려한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대학차원의 진로교육 및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성화 고등학생들의 진로불안,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 구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387-393
    • /
    • 2024
  •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중에서 상업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불안, 진로스트레스, 진로정체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학생들의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로를 준비하고 있는 상업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진로불안이 높아질수록 학생들의 진로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불안은 진로정체감과 진로준비행동에는 직접적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스트레스는 진로정체감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스트레스는 진로정체감을 통하여 진로준비를 위한 행동이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학생의 진로유형별 진로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진로결정몰입의 차이 (Differences of Career Stress Coping Strategy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mong the Career Types for College Students)

  • 황지영;고미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1041-105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group differences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Career stress coping strategy by the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anted to look for discriminatory implications for the counseling intervention. The data of 720 college students were collected for the study. The distinction of four types was revealed by the results from Crosstabs and One-way ANOVA. The frequency of upper grades indicated ideal type. But the immature type was fourth gra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two-dimensional typology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Career stress coping strategy by One-way ANOVA. Discussion focused on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in career counseling based on group differences by the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간호대학생의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Emotion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on Career Stress)

  • 박의정;정경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5-72
    • /
    • 2016
  • Purpos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intelligence, learning flow and career stress of nursing students and influence factors for career stress. Methods : This study targeted 197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freshman-senior year attending College of Nursing located in P Metropolitan City. For collected data, real numbers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sing PASW 21.0 program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 intelligence, learning flow and career stress was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 Emotional self-awareness(M=3.80, SD =.71), clear goals(M=3.39, SD=.90) and school environment stress(M=2.97, SD=.96) were found to be high in the degree of emotion intelligence, learning flow and career stress of the subj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r=.489, p<.01) in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 intelligence, learning flow, career stress and emotion intellige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stress(r=-.204, p<.01). Emotion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show that career stress is predicted significantly (${\beta}$ =-.15, p < .01) and explained a career stress variate as 18%(F = 24.5, p < .01). Conclusion : Emotion intelligence of nursing students was found to be very influential on the degree of learning flow or career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plication studies on emotion intelligence and career stress are needed and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to increase emotion intelligence is needed.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Child Care Teachers' Burnout: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Calling)

  • 서솔;여종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69-188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call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as well as the association among job stress, career calling, and burnout. Methods: A sample of three-hundred and seven child care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completed questionnaires on job stress, career calling, and burnout. Result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lack of directors' leadership and administrative support, work overload, and career calling significantly predicted child care teachers' burnout. Moreover, the association of lack of directors' leadership and administrative support of burnout was mediated by career calling.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directors' leadership and seamless administrative support need to be emphasized in order to reduce burnout and mitigate work-related stress among child care teachers. The findings also highlight the important role of career calling in reducing burnout among child care teachers and suggest the consideration of career calling as a target in interven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교육서비스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진로성숙과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eaching self-efficacy and self-service resilient impact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stress)

  • 이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040-7050
    • /
    • 2014
  • 본 연구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 진로성숙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취업스트레스 관계에서 진로성숙도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대학생의 진로성숙도는 5점 척도에서 중간점수인 3점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분석되었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는 유의미하게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그 자체가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역시 취업스트레스를 낮추어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진로성숙도와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가 단일차원의 직접적 영향력만 다루었던 점과는 차별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진로성숙도의 차이와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among College Students'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and the Influence on Career Stress)

  • 유은영;양유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557-568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과만족도와 진로성숙도,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 학과만족도와 진로성숙도가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824명을 대상으로 학과만족도, 진로성숙도, 진로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과만족도, 진로성숙도, 진로스트레스는 학년, 연령, 학교성적, 입학동기, 교우관계, 건강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학과 만족도 하위요인 교과만족도, 관계만족도, 일반만족도, 인식만족도는 연령, 성별, 학교성적, 입학동기, 교우관계, 건강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결정성, 참여도, 독립성, 성향, 타협성은 학년,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진로성숙도와 학과만족도는 진로스트레스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과만족도와 진로성숙도가 낮을수록 진로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과만족도와 진로성숙도가 진로스트레스와 상관관계임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과만족과 진로성숙이 낮은 상태로 유지하는 대학생을 위한 적극적인 지도와 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예비보육교사의 핵심역량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로포부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reservice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Competency on Career Stress : Career Aspiration as a Mediator)

  • 오대연;이병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9-179
    • /
    • 2017
  •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의 보육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핵심역량과 진로스트레스 그리고 진로포부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과 진로포부 그리고 진로스트레스의 상관관계는 핵심역량이 높을수록 진로포부는 높아지고 진로스트레스는 낮아졌다. 둘째, 핵심역량과 진로포부가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핵심역량의 하위요인인 자질과 태도 및 능력역할과 진로포부는 진로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역량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로포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핵심역량이 진로스트레스에 직접적인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진로포부를 매개로한 간접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핵심역량은 진로포부를 매개로 하여 진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부분에서는 연구에 대한 논의 및 제한 그리고 추후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및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Stress for Nursing Students)

  • 박효미;이혜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304-312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및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실험 전 후 차이를 비교하는 단일군 전후 실험 설계로 95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4개 영역들(1) 진로 탐색, (2) 자기 이해, (3) 진로 계획 수립 (4) 진로 계획 실천으로 구성되었으며 상담, 전문가 특강, 모의면접 및 면접결과 분석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와 ANCOVA로 분석하였다. 진로교육 중재 후 간호학생들의 진로 자기효능감 점수(t=4.48, p<.011)와 진로응성 점수(t=3.02, p=.003)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진로스트레스 점수(t=-2.45, p=.015)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 증가시키고 진로스트레스를 개선시키는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과 진로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