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Preparation Behavior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36초

중학생이 지각하는 모의 학습관여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희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aternal Learning Involv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 금경희;조영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69-281
    • /
    • 2017
  • 최근 들어 초기 청소년기인 중학생 시기부터 진로준비를 적극적으로 해나가야 환경적 요구가 증가하면서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는 환경적, 심리내적 변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모의 학습관여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희망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강원도 W시의 중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모의 학습관여, 진로준비행동, 희망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라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모의 학습관여의 학업정보제공/조언, 학습방법존중은 희망 및 진로준비행동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반면 모의 부정적 학습관여인 학습성과 압력은 진로준비행동, 희망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희망은 모의 긍정적 학습관여인 학업정보제공/조언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방법존중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희망은 모의 부정적 학습관여인 학습성과 압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적절한 학업정보와 조언을 제공하고, 학업정보제공/조언과 학습방법존중을 통해 희망을 고취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의 매개효과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Mediated by Career Decision Level)

  • 고영주;김남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01-30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3,4학년 10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β=.54, p<.001), 진로결정수준(β=.23, p=.009)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Z=2.49, p=.006).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위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을 향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이를 반영한 전략적 진로지도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자기결정성과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매개효과: 진로결정몰입 중심으로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at Vocational Training School : focusing o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 이수경;김연성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25-144
    • /
    • 2019
  • 본 연구는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몰입(진로탐색몰입과 진로대안배제경향)이 자기결정성(자율성, 유능감, 관계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함으로써 진로준비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전략마련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소재 A직업전문학교 258명이었으며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진로결정몰입(진로탐색몰입, 진로대안배제경향)은 자기결정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자기결정성(유능감, 자율성, 관계성)은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였고 이 중 관계성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진로준비 행동을 효과적으로 강화하기 위해서 자기결정성과 진로결정몰입을 높일 수 있는 학습 환경의 조성과 그에 상응하는 진로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Typ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 정영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709-172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J도 소재 3,4학년 간호대학생 198명으로, 2021년 6월 14일부터 6월 27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정체감 2.79점(범위 1~4), 합리적 유형 3.78점(범위 1~5), 직관적 유형 3.38점(범위 1~5), 의존적 유형 3.01점(범위 1~5), 진로준비행동 3.51점(범위 1~5)이었다. 진로준비행동은 진로정체감(r=.40, p<.001), 합리적 유형(r=.50, p<.001), 직관적 유형(r=.22, p=.002)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존적 유형(r=-.20, p=.004)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정체감(β=.23, p=.001), 합리적 유형(β=.31, p<.001), 직관적 유형(β=.27, p<.001), 의존적 유형(β=-.20, p=.002)으로 나타났다. 이 변수들은 진로준비행동을 24.6%p 설명하였다(F=11.93,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진로정체감 확립과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진로지도를 포함시킨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제안한다.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사회복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 정진희;원미순;이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28-237
    • /
    • 2013
  •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사회복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상담 및 진로지도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서 5개 대학의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502명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였으며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낮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사회복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과는 별다른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진로준비행동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복지 자기효능감의 세 하위변인 중 클라이언트 지지 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과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 자기효능감은 행동적인 측면인 진로준비행동과 관계가 깊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진로장벽탐색 집단상담이 여대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Career Barriers Exploration Counseling Program」 on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Women's College Students)

  • 김종운;박성실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209-230
    • /
    • 2010
  • 본 연구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장벽탐색 집단 상담을 실시하여 여대생들의 진로장벽인식을 완화하고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 진로장벽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국내에서 연구된 진로상담 프로그램들을 참고하고, 한국 여성개발원 및 직업능력 개발원의 진로자료를 참고하여 개발되었다. 또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련 변인들을 연구한 선행연구 및 진로상담 관련 문헌들을 참고하였는데, 무엇보다 Gottfredson(1981)의 진로발달이론을 참고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여대생 10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직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검사 점수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는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장벽 인식 전체에서 사후 검사 점수가 현저히 낮은 것을 볼 수 있었고, 진로준비행동은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 집단이 사후 검사 점수가 현저히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된 진로장벽탐색 집단상담은 여대생의 진로장벽수준을 완화하고, 진로준비행동 수준은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 문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62-473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광주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6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판적 사고성향은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은 간호대학생은 진로준비행동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완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키고,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들이 간호교육현장에서 필요함을 시사한다.

일부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by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on Job Preparation Behavior)

  • 배성숙;노희진;문소정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5-59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the influential 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by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on their job preparation beaviors. Methods: The total 714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juniors and seniors of health science college, and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IBM SPSS statistics 20.0. Result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job preparation behavior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and while seniors showed highly active job preparation behaviors, those who had high satisfaction level toward their major studies,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outgoing personality had highly active job preparation behaviors. 2. Students with high satisfaction level toward their major studies, high academic achievement, outgoing personality, and high expected salaries showed hi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vel. 3. Students with high satisfaction level toward their major studies,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highly outgoing personality showed high level of career identity. 4. Subsidiary 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collection of job information, goal setting, planning, and self-assessment, and all of them showed correlation with job preparation behaviors. 5. Among subsidiary 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job information showed correlation with job preparation behaviors. Conclusion: For improvemen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individual support, psychological support, educational support and other supports regarding job employment to provide wide paths and methods for job preparation behaviors are essential, and through various job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and graded counseling, job preparation behaviors shall be promoted as a great strategy.

  • PDF

대학생의 학과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다양성수용도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university students'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openness to diversity)

  • 이효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73-280
    • /
    • 2021
  •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과만족도, 다양성수용도, 진로준비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학과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다양성수용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대학생 대상의 진로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소재 4년제 대학의 항공계열과 보건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182부의 설문응답을 최종표본으로, SPSS 23.0, AMOS 23.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과만족도는 다양성수용도와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성수용도 역시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다양성수용도는 학과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영향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이 효과적인 진로준비를 하도록 하기위해서는 학생들의 학과만족도 증진과 함께 다양성수용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의 개설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승무원 준비생의 3세대 SNS 사용동기가 몰입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개인적 특성 조절변수 추가 (The effect of motivation of using instagram on flow of instagra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job seekers for cabin crew: inclusion of personal characteristic as a moderator)

  • 고민환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6-90
    • /
    • 2018
  • Despite the growing use of SNS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recruitment related to SNS,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between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and relationship with SN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purpose of using instagram, flow of instagra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y investigating the adjustment effect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 among them.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who want to be cabin cr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tivation of using instagram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flow of instagram, which in turn positively influenc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urthermore,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re was a adjustment moderating effect on personal characteristic between purpose of using instagram and flow of using insta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likelihood of recruitment for being cabin crew can be achieved by identifying mutual relationships among motivation of using instagram, flow of instagram,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personal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