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Mobility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해외과학자 유치방안에 관한 연구: 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for Brain Gain: A Case of Vietnam)

  • 이창근;정선양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95-415
    • /
    • 2016
  • 고급 두뇌의 국제적 유동성이 증가함에 따라 우수한 해외 과학기술 인력의 유치는 국가 혁신역량을 좌우하는 주요한 요소가 되었다. 본 연구는 역두뇌유출에 관한 여러 이론들을 정리하여 해외우수인력을 유치하기 위한 요인들을 파악하였고, 이 요인들을 베트남 출신 해외과학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컨조인트 분석방법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1)높은 급여수준, (2)적합한 연구여건, (3)자녀교육 여건 순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과학자 예우문화, 능력경력 발전기회는 중요도가 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한 급여수준에 대해서는 현 베트남 과학기술자들의 급여수준에 비해 파격적인 대우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어, 베트남 정부의 정책적 결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술실 간호사의 경력개발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Operating Room Nurses)

  • 김희영;장금성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01-314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a methodological research conducted to develop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operating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20 OR nurses, working in C Hospital, who had a mean tenure of 6 years and 10 months.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4 focus group interviews during May and June 2009. The content analysis method of Kim and Lee (1986)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wo clinical expert groups consisting of 16 nurses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eliminary system from September 16 to 26, 2009 using Kim's tool (1999). Results: The final clinical ladder system consisted of goals, core values, and 4 domains of practice related to core values, which were defined as professional value, perioperative nursing practice, education/research, and collaboration/leadership. Eleven nursing competencies and 44 behavior indicators were included in accordance with the 4-step ladder. The 4 operation systems for the clinical ladder system were the promotion system, continuous learning system, reward system, and support system.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nursing manager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developing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nurses.

성별에 따른 이공계 전공교육만족이 일자리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Major Satisfact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 윤지영;임정연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32-42
    • /
    • 2019
  • This study is aim to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the major satisfact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and also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future outlook of job and major relevance in career choice. To do th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multi-group SEM were applied to data from 2016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jor satisfaction, future outlook of job and major relevance were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future outlook of job and major relevance were verified. And results of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 the coefficient of woman was smaller than man. Among majo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fell for women who value their relevance to the major when choosing a job. Based on such results, universities need to further strengthen their role in helping them enhance their expertise through skills and learning about their majors.

기업규모별 비자발적 비정규직의 결정요인 분석 (The Determinants of Involuntary Non-standard Employment by Firm Size)

  • 김진하
    • 노동경제논집
    • /
    • 제41권1호
    • /
    • pp.39-81
    • /
    • 2018
  • 본 연구는 비정규직 근로자가 노동시장에서 사용자와 자발적 계약에 의한 매칭이 실현되는가에 주목하고 기업규모별로 입지가 다른 상황을 고려하여 비자발적 선택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노동이동에 관한 push/pull 이론 하에서 자발적/비자발적 비정규직으로 분류하였다. 2016년 8월 경활 부가조사에 의하면 기업규모가 작아질수록 비자발적 비정규직의 비중이 자발적 비정규직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 대기업에서의 비정규직은 자발과 비자발로 구분하는 것이 의미를 갖지 못하였다. 이에 비해 중소기업과 영세기업에서는 장년층, 저학력일수록 비자발적 선택 가능성이 증가하였고 영세기업에 비자발적으로 입직할 유인이 중소기업보다 크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비정규직에 관한 정책을 마련함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2차 노동시장의 비자발적 비정규직을 정책 대상으로 삼고, 비자발적 선택 이유가 되는 보상, 전공 경력의 미스매칭 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소 영세기업의 급여 및 근로조건 개선뿐만 아니라 직무능력 및 경력에 맞는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는 고용서비스 시스템이 확충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대졸 청년층의 노동이동 분석 - 인문사회계와 이공계 졸업자를 중심으로 - (Job Mobility of the University Graduates Youth In Korea)

  • 김안국
    • 노동경제논집
    • /
    • 제28권3호
    • /
    • pp.39-76
    • /
    • 2005
  • 대졸 청년층의 노동이동을 대학졸업생자료와 고용보험DB를 결합한 자료로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대졸 청년들의 졸업 후 4년 동안 평균 취업회수는 1.68회였고, 직장경험이 늘어남에 따라 직장근속이 늘고 있으며, 취업회수가 많을수록 총근속기간이 더 길었다. 대졸 청년층들의 노동이동에서 업종과 직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대졸 청년층들이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비율은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이동하는 비율보다 높아 인적자원의 수도권 집중이 되고 있음을 보이나 이는 수요측 요인으로 파악된다. 대졸 청년층은 노동이동을 통하여 상위의 직종을 얻고 있으나, 작은 규모의 기업으로 이동하고 있다. 직장경험이 많은 대졸 청년들의 첫 직장 임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들은 직장 이동을 통해 임금수준을 증가시키고 있었다. 인문사회계 출신보다는 이공계 출신이 직장이동을 할 확률이 높았으며, 임금이 높을수록 직장이동을 할 확률은 떨어지고 있다. 수능점수가 높은 경우 직장이동을 할 확률이 낮았다. 직장이동을 통해서 대학에서의 전공과 일치하지 않는 직무로 나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청년층의 노동이동을 경력형성의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대안이 필요하다. 또한 대학 졸업자의 노동의 질이 보다 높아질 수 있도록 대학교육의 강화 및 대학생 수의 감축을 위한 정책대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 PDF

항만하역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착근도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Job Stress and Job Embeddedness on Presenteeism among Container Terminal Workers)

  • 이지현;최은경;오향옥;문혜경;이상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1-4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s of job stress and job embeddedness on presenteeism among container terminal work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99 workers at the S Harbor in P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2 to June 5, 201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acute{e}}^{\prim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se workers on presenteeism were affected by the department of work, annual pay, and exercise of more than 30 minutes per day, reveal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se variables. In other words, when job stress was high, job embeddedness was less, the extent of work impairment was higher, and in turn perceived productivity was lower. Work impairment was 3.11 times higher in workers with above-average job stress than those with lower job stress. Perceived productivity was 2.31 times higher in workers with above-average job embeddedness than those with lower job embeddedness. Conclusion: To reduce work impairment and increase productivity among container terminal workers, it is necessary to decrease their job stress, to increase their job embeddedness, and especially to do exercise for more than 30 minutes a day.

직무분석도구를 이용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경력단계별 실무수행능력 비교 (ICU Nurses'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Clinical Ladder by Job Analysis Tool)

  • 임지영;이미정;기은정;장봉희;정명숙;조혜정;박미미;박지원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3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ICU nurses'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clinical ladder by job analysis tool for the evaluation tool development of clinical ladder development program, Methods: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ICU nurses job analysis tool from 148 ICU nurses who work for 6 ICUs of A hospital in S city, Results: The mean clinical competence score of the subjects was 3.03 on a 4 point scale, Competence score was increasing as ICU clinical ladder was higher (F=35.18, p<.001). Step_1 was the lowest and step_4 was higher than step_3 from Scheffe post hoc test,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ICU clinical ladder and ICU clinical nursing education explained 52.1% (F=38.83, p<.001) of ICU nurse's clinical competence. Conclusion: ICU nurses' clinical competence can be evaluated using ICU nurse's job analysis tool. Further researches is needed on job description according to clinical ladder for performance and evaluation.

  • PDF

대학교육을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학생의 특성 (Features of Students Moving for University Education)

  • 한송이;배상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95-10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을 위해 입학 단계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학생들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8년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 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차 분석(카이제곱 검정)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 지역 학생들은 서울, 경인, 지방 등 다양한 지역으로 이동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지방 출신 학생의 경우 낮은 비율의 학생들이 서울 지역 대학으로 이동하고 있었다. 또한, 대학교육을 위해 서울에서 지방으로, 지방에서 서울 지역으로 이동하는 학생 집단이 사회경제적 배경, 고교 유형과 성취 수준, 진로 성숙 수준, 대학몰입 정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중심의 대학 서열화 구조를 극복하고 학생 구성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고 지역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정부가 체계적인 지원을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과학기술 분야 박사학위자의 직업다변화 및 결정요인 분석 (Occupational Diversification of Doctorates in Science and Technology)

  • 조가원
    • 기술혁신연구
    • /
    • 제28권3호
    • /
    • pp.55-76
    • /
    • 2020
  • 한국에서 전통적인 과학기술인력 직업군의 경계는 빠른 속도로 허물어지고 있다. 한편으로는 지식기반경제의 등장과 확장으로 과학기술이 전통적 활용영역을 넘어 확산됨에 따라 과학기술인력 역시 다양한 융합분야로 진출하고 있으며, 동시에 고학력 인구의 비중에 비해 고급 직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데에서 기인한 하향취업이 그러한 경향을 가속화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박사급 이공계 인력에 초점을 맞추어 직업구성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그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관련 직종을 전통적 과학기술직업군과 기타 직업군으로 나누어 그 비중의 변화를 도출하며, 이러한 직업구조의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다. 분석에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2012 박사인력활동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이공계 박사인력의 직업구성에 뚜렷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직업다변화는 공학보다는 이학 분야에서, 공공보다는 민간 분야에서, 그리고 신규 세대일수록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었다.

CAMPUS Asia 시범사업의 성과 및 집행과정 분석 (Analysis of the CAMPUS Asia Pilot Project: Outcomes and Limitations of its Implementation Process)

  • 변기용;전재은;홍세영;박예진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2권3호
    • /
    • pp.353-38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4년간 시행된 CAMPUS Asia 시범사업의 성과와 집행과정을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 사업의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실천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책집행 분석을 위한 통합적 접근방식을 사용하였고, 시범사업 기간 동안 수집한 문헌자료, 설문 및 면담조사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CAMPUS Asia 시범사업은 참여 학생의 발달 측면 그리고 정부 및 대학 차원의 교류 협력 기반 조성 측면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둔 반면, 여러 한계점도 드러낸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CAMPUS Asia 시범사업의 성과 및 한계에 영향을 미친 맥락적 요인을 정부 차원, 참여 사업단 차원, 학생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CAMPUS Asia 본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 예를 들어, 사업의 궁극적 목표에 대한 명확한 설정, 정부 차원의 국가별 학사제도 차이 및 학점인정 문제 해결, 사업의 차별성 확립, 사업단별 교육과정 강화, 공동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특화된 진로모델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