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8108/jeer.2019.22.4.32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Major Satisfact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Yoon, Jiyoung (Institute for Innovative Higher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Lim, Jungyeon (VET Rasearch Institute, Korea Polytechnics)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v.22, no.4, 2019 , pp. 32-4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s aim to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the major satisfact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and also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future outlook of job and major relevance in career choice. To do th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multi-group SEM were applied to data from 2016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jor satisfaction, future outlook of job and major relevance were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future outlook of job and major relevance were verified. And results of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 the coefficient of woman was smaller than man. Among majo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fell for women who value their relevance to the major when choosing a job. Based on such results, universities need to further strengthen their role in helping them enhance their expertise through skills and learning about their majors.
Keywords
Major satisfact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Job satisfaction; Gender difference; Multi-group SEM; GOM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민영.박성민.문상호(2012). 비영리조직(NGO) 관리자들의 직업선택 동기에 대한 실증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2(4), 1-33.
2 김상미(2017). 생산가능인구 변화가 경제성장이 미치는 영향 분석. 산업동향&이슈IV, 1, 45-56.
3 김승철.문혜영(2014). 이공계 대학생의 진로결정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경영연구, 29(3), 1-17.
4 김안국.이상호(2018). 크레덴셜리즘(Credentialism)과 교육-숙련 불일치, 교육사회학연구, 28(2), 1-26.
5 김종우.최수정.김경인(2014).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노동시장 이행 성과 분석: 직무만족도와 학력, 스킬 불일치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33(5), 133-156
6 김지현.오명숙.정윤경(2007). 현장 적응력 향상을 위한 여성 공학인력 양성방안 연구. 한국산업기술재단 연구보고서
7 김혜주(2006).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몰입경험이 진로 결정 효능감 및 진로 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노일경.임언(2009). 직무불일치의 원인 및 임금과의 관계, 불일치에 대한 대응 양상: 전문대졸 여성신규 취업자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28(2), 1-18.
9 도승이(2009). 공대 남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여자전공생의 전공수업 및 심리적 요인 예측변인 탐구. 교육학연구, 47(3), 23-48.
10 민무숙.이정희(2005). 공학분야 전공 여성들의 교육과 직업 경험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5(2), 65-93.
11 박예진(2016). 대학에서의 전공만족도와 첫 직장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직무일치도와 내재적 직업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변수연(2016). 이공계 대학생의 이공계 진로 진출 의사에 영향을 끼치는 대학의 구성원 환경 요인 분석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4(1), 375-399
13 손정선(2008). 전공과 직업일치에 따른 직무만족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신선미.오은진(2004). 전문대학의 여성인적자원 개발 현황과 정책과제-이공계열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5 신종각 외(2017).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16 신하영.문보은(2017). 이공계 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과 취업의 질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0(5), 59-73.
17 안치숙(2018). 대졸취업자의 전공-직무 불일치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행정,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어수봉.강순희(2000). 신산업분야 훈련직종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훈련수요조사. 한국산업인력공단
19 오성욱(2013). 구직경로별 대졸청년구직자의 직업선택이 직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7, 93-117.
20 오성욱.이승구(2009). 대학생의 직업가치 유형이 직무적합도 및 첫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2(2), 1-19.
21 오은진 외(2006). 문화서비스산업의 여성 유망직종 발굴 및 교육훈련 시스템 구축방안. 서울:여성가족부.
22 이경남(2013). ICT 부문 여성 인력 현황 및 시사점, 정보통신방송정책, 25(14), 1-28
23 이정표.권혁규(1999). 여성 유망직종 자격증 개발. 대통령직속 여성특별위원회.
24 임정연.이영민(2008). 4년제 대학 이공계 전공 여학생의 직업 준비과정이 이행결과에 미치는 영향. 직업능력개발연구, 11(2), 25-47.   DOI
25 임정연.윤지영(2017).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직장여성 관련 연구동향 분석. 아시아여성연구, 57(1), 201-236.
26 정윤경.오명숙.김지현(2008). 공대 여학생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의 탐색. 공학교육연구, 11(4), 34-45.   DOI
27 정주영(2013). 대학교육만족도, 직업가치관, 직업만족도에 관한 구조적 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정지은(2012). 남녀공학 이학계열 여성 대학원생의 젠더 인식에 한 연구. 이화여자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조경동(2006). 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관한 고찰-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여성가족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0 조성은.이영민.임정연(2018). 대졸 취업자의 직무불일치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잠재계층 분석(LCA), 취업진로연구, 8(3), 109-128   DOI
31 최지희(2000). 유망직업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2 통계청(2013). 고용률, www.kostat.go.kr
33 한국교육개발원(2005). 교육통계.
34 한상근(2006). KRIVET 직업전망 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5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1-177.
36 Hughes, R.(2014). The evolution of the chilly climate for women in science, In J. Koch & B. Irby (eds.) Girls and Women in STEM, 71-92.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Publishing, Inc.
37 Klein(2012).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ition. New York: The Guilford Press.
38 Marx, D. M., & Roman, J. B.(2002). Female role models: Protecting women's math test performanc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8(9), 1183-1193   DOI
39 McGuiness, S.(2006), "Overeducation in the Labour Market, Journal of Economic Surveys, 20(3), 387-418.   DOI
40 OECD(2013). Education at a Glance 2013: OECD Indicators, Paris: OECD Publishing
4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2019). 제4차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 기본계획(2019-2023)(안) 공청회
42 Shapiro, C. A., & Sax, L. J.(2011). Major selection and persistence for women in STEM. New Direction for Institutional Research, 152, 5-18.   DOI
43 구수연.김동익(2014). 여학생 공학교육 지원 사업이 공대 여성 졸업생의 취업과 경력유지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17(6), 3-11.
44 SM Park, J Word(2012). Driven to service: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for public and nonprofit managers, Public Personnel Management, 41(4), 705-734   DOI
45 Wolbers, M. H. J.(2003), "Job mismatches and their labor-market effects among school-leavers in Europe,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19(3), 249-266.   DOI
46 강민정.권소영.임희정(2016). 중소기업의 여성인력활용제도 정착 및 확산을 위한 정책과제 : 경력개발과 일가정 양립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7 강승희(2010). 공학계열 대학생의 성차: 학업성취도, 일반적 자기효능감, 공학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3(4), 1-10.
48 강순희.안준기(2014). 학력별 노동시장 이행 미스매치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014 고용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49 김기헌(2005). 교육과 직무의 불일치: 한, 일 대학졸업자들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15(3): 51-77.
50 김동익.이영화(2013). 여성공학도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공과대학 교육환경의 영향. 공학교육연구, 16(1), 69-77.
51 김민선.양지웅.연규진(2016). 이공계 여성 대학원생의 진로선택과 대학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1), 19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