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 insurance service

검색결과 819건 처리시간 0.029초

감염예방 교육프로그램이 요양보호사 교육생의 감염예방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Infection Prevention Knowledge and Attitude to Nursing Caregiver Students)

  • 류복미;유성미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67-177
    • /
    • 2010
  • 우리나라 장기요양보호법의 실시에 있어서 요양보호사들에 대한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감염예방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요양보호사들의 사전 사후 감염예방 지식과 태도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자료는 G시의 128명의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WIN 10.0 프로그램으로 t-test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감염예방프로그램을 적용한 교육 전 후의 대상자한의 지식 및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요양보호의 질적 간호를 유지하고 지식수준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감염예방 교육 및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하겠다.

간호과정 적용 평가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조사 - 욕창, 낙상예방 및 통증 간호를 중심으로 - (Validity and Reliability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Measures Based on the Nursing Proces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Falls and Pain)

  • 김금순;김진아;최윤경;김유정;송말순;김을순
    • 임상간호연구
    • /
    • 제16권3호
    • /
    • pp.5-23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performance measurement tools based on the nursing proces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falls and pain. Methods: The performance measurement tools were reviewed by a panel of experts and refined on the basis of the panel's suggestions. The validity of the performance measurement tools was measured by surveying hospital nurses. The reliability of these tools was tested by having nursing experts use the tools in five nursing units to assess nursing performance i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falls and pain. Results: The performance measurement tools in this study were found to be acceptable as tools to evaluate quality of nursing care in pressure ulcers, falls and pain. The reliability of the performance measurement tools was acceptable.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rformance measurement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s to monitor and improve quality of nursing care i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falls and pain.

Analysis of YouTube Content on Oral Disease Information about the Elderly

  • Kim, Ji-Won;Gu, Hanna;Kwon, Hye-Jin;Lim, Jeong-Hyun;Lim, Hee-J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
    • /
    • 2022
  • Background: The elderly have, a higher disease morbidity than other age groups due to a decrease in resistance to the disease and have complex diseases, so care should be taken.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provide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health of the elderly. Health inform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dividual health promotion and education, so the degree of exposure to information about oral health of the elderly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understanding and acquiring information on oral content videos on the importanc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ral health of the elderly in the future. Methods: This study analyzed video content related to oral diseases of the elderly in a total of 150 videos uploaded on YouTube from January 1, 2012 to May 13, 2021, using a total of three books of dental hygiene for the elderly. Results: Forty-nine broadcasters accounted for the most of this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providers, there were two dental hygienists. They accounted for 1.3% of all the information providers. The highest number of dental hygienists who broadcasted information was 42 in 2019. The average number of views was 37,303 periodontal diseases, the highest. Among the videos, dry mouth was the most common with 34 oral diseases. Conclusion: The number of images for each disease varies, so it seems that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in various ways. Dental hygienists should widely improve oral health knowledge by providing various dental hygiene management images for each oral disease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the general public. In addi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the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content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so that people can obtain the information they desire.

고혈압 의료비 지역 간 변이 및 변이 요인 분석 (Analysis on geographic variations and variational factors in expenditures for hypertension)

  • 최순호;용왕식;김유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425-436
    • /
    • 2015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고혈압 의료비의 지역별 변이와 지역의 사회학적, 의료공급, 건강행태 등의 변이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지역별 고혈압 관리 사업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시 군 구 247개 지역을 대상으로, 2012년 지역별 의료이용 통계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지역사회건강조사(질병관리본부) 및 국토해양부 자료를 이용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국 247개 시 군 구의 고혈압 건강보험진료비는 평균 6만2천원이었고 변동계수는 30.0으로 지역 간 높은 고혈압 의료비 변이를 보였다. 주요 변이 요인으로는 인구밀도, 유배우자율, 평균가구원수입, 인구십만명당병원수, 관외의료비비율, 월간음주율, 중증도이상신체활동실천율, 평생의사진단율 등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분석 결과 평생의사진단율, 평균가구원수입, 유배우자율, 인구십만명당병원수, 비만율, 월간음주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고혈압 의료비의 지역 간 변이요인으로는 의료공급이나 인구사회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건강행태에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고혈압의료비 절감을 위한 지역보건사업 정책 결정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얼굴마비 환자의 의·한의 협진 의료이용 연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환자표본 데이터를 이용 (A study on the facial palsy patients' use of Western-Korean collaborative treatment: Using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National Patients Sample)

  • 박효성;엄태웅;김남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1호
    • /
    • pp.75-86
    • /
    • 2017
  • 본 연구는 의 한의 협진 진료의 발생 빈도가 높은 질환인 얼굴마비에 대하여, 2014년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환자표본 자료 (HIRA-NPS, 2014)를 이용해서 진료 에피소드 단위의 분석을 시행하였다. 건강보험 급여 청구현황에 근거한 진료 에피소드 단위 분석결과, 의 한의 협진 빈도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는 50세 이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얼굴마비 환자들에서 확인된 의료이용 패턴은 의과 단독 진료 군의 경우 진단 및 검사가 다 빈도로 확인되었으며, 한의과 단독 진료와 의 한의 협진 진료 군의 경우는 치료 항목들이 다 빈도로 나타났다. 치료 행태별 요양일수는 의 한의 협진, 한의과 단독 진료, 의과 단독진료 등의 순으로 다 빈도가 확인되었으며, 내원일당 요양급여 비용은 의과 단독 진료, 의 한의 협진, 한의과 단독 진료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추정된 의 한의 협진 의료이용 행태는 향후 본 질환의 임상진료지침 개발과 의료 정책의 수립에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중차이모델에 의한 건강보험 외래본인부담금 경감제도의 영향 분석 (Analyses of Impacts of the Outpatient Cost Sharing Reduction based on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 안이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187-197
    • /
    • 2013
  • 2007년 8월부터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정책의 일환으로 6세 미만 어린이 외래환자에 대한 본인부담금 경감제도가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본인부담금 경감제도가 시행된 2007년 8월을 기준으로 제도 시행 전인 2006년 8월부터 2007년 7월까지와 제도 시행 후인 2007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전후 1년 동안 외래진료 민감질환으로 외래를 방문한 6세 미만 환자들의 의료이용 변화를 분석하였다. 의료이용 변화는 제도 시행전후 외래 환자 수 증감율, 외래방문일수, 방문당 평균 진료비로 파악하였는데, 6~10세 환자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이중차이방법을 적용한 다중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제도 시행 후 외래진료 민감질환으로 외래를 방문한 환자는 대상군과 대조군 모두 증가하였는데, 특히 대상군에서 증가율이 높았다. 그러나, 대상군은 대조군에 비해 제도 시행에 따른 외래방문일수와 방문당 외래진료비의 증감율은 일정한 양상을 보이지 않고 그 차이 또한 적었다. 6세 미만 어린이 외래 본인부담 경감제도는 외래환자 수 증가라는 의료이용 변화를 가져왔으나, 실질적인 의료 접근성을 나타내는 외래방문일수, 방문당 평균 진료비는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제도의 궁극적인 목표인 의료 접근성 향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극적인 제도홍보와 함께 소득계층별로 본인부담률을 상이하게 설계하는 등의 의료 취약계층에 초점을 둔 정책이 요구된다.

우리나라 노인의 가구형태와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련성: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The Association between Household Type and Self-rated Health of the Elderly in Korea: Analysis of the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2017)

  • 최민지;주혜진;김태현;백상숙;정우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0-204
    • /
    • 2022
  • Background: In Korea, the population is rapidly aging, and the types of households for the elderly are also diversifying. The self-rated health of the elderly is a valuable health indicator that can comprehensively represent the overall quality of life along with physical, mental, and functional health. On the other hand, stud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household type and self-rated health of the elderly are still insufficient.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household type and self-rated health by gender in Korean older adults. Methods: Using data from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2017, 10,299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were targeted. For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data, 9,910 people were selected as the study sample by excluding proxy responses, those diagnosed with dementia, and non-response. And technical analysis, univariate analysis using the Rao-Scott chi-square test, and logical regression analysis involving survey characteristics were conducted by gender. Results: According to the adjusted model with all variables, in both men and women, the odds ratio of self-rated health 'bad' in 'couple (with ill spou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uple (with spouse)'. It was 2.54 (95% confidence interval [CI], 2.05-3.15) for men and 2.11 (95% CI, 1.70-2.62) for women. In addition, the odds ratio of self-rated health 'bad' in 'living with adult children' was 1.43 (95% CI, 1.09-1.87) for men and 1.42 (95% CI, 1.15-1.75) for women, which was more significant in women than men. Conclusion: This study states that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gender, household type, and self-rated health of the elderly, and the health of a spouse and cohabitation with childre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rated health. As a result,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health promotion and health care policies invol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s gender and household type are needed.

Retrospective Analysis of Long-Term Survival in Very Elderly (Age ≥80) Critically Ill Patients of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at a Tertiary Care Hospital in Korea

  • Lee, Seung Hun;Kim, Ju-Young;Kim, Tae Hoon;Ju, Sun Mi;Yoo, Jung-Wan;Lee, Seung Jun;Cho, Yu Ji;Jeong, Yi Yeong;Lee, Jong Deog;Kim, Ho Cheol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3권3호
    • /
    • pp.242-247
    • /
    • 2020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ong-term survival rates of very elderly (age ≥80) critically ill patients admitted to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MICU) at a regional tertiary-care hospital in Korea.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data from patients who survived after discharged from the MICU of our hospital. Survival rates at 90 days, 1 year, 2 years, and 3 years were assessed between patients age ≥80 and those age <80. Survival status was evaluated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 Results: A total of 468 patients were admitted, 286 (179 males, 97 females; mean age, 70.18±13.2) of whom survived and were discharged soon after their treatment. Among these patients, 69 (24.1%) were age ≥80 and 217 (75.9%) were age <80. The 90-day, 1-year, 2-year, and 3-year survival rates of patients age ≥80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patients age <80 (50.7%, 31.9%, 15.9% and 14.5% vs. 68.3%, 54.4%, 45.6%, and 40.1%, respectively) (p<0.01). The Kaplan-Meier survival curv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urvival rates in patients age ≥80 than in those age <80 (p=0.001). Conclusion: The poor rates of long-term survival in very elderly (age ≥80) and critically ill patients admitted to an ICU should be considered while managing and treating them.

재가노인을 위한 지역사회 중심의 집중건강관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intensive health care program for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 송미숙;송현종
    • 한국노년학
    • /
    • 제29권1호
    • /
    • pp.37-50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의 질병과 기능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건강문제를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경기도 G시에 거주하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4주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실시 전후에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비교하였고 프로그램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집중 건강관리 프로그램은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진료와 간호 및 상담, 근력강화와 균형 감각증진 및 관절가동범위 증진을 위한 운동, 통증관리를 위한 물리치료, 미세운동과 인지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작업치료, 영양관리, 사회성 증진을 위한 치료레크레이션, 그리고 주 1회 의사의 검진으로 구성하였다. 신경정신과전문의, 재활의학과전문의, 가정의학과전문의에 의해 각각의 세부 중재 내용에 대한 검토를 받아 프로그램의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최종 연구대상자는 69명이었으며 대상자의 기능 및 건강수준을 영역별로 판단하기 위하여 동경도 노인종합연구소에서 개발하여 검증된 Otasha-Kensin도구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팀이 개발한 집중 건강관리 프로그램은 노년증후군의 진행을 억제하는데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었다. 특히 허약, 낙상, 영양부족 영역에서는 프로그램 중재 전에 위험군이었던 대상자가 프로그램 중재 후에 정상군으로 이동하였으나 요실금, 경증 인지기능장애 영역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중재효과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농촌지역(農村地域) 주민(住民)들의 보건의료원(保健醫療院) 이용양상(利用樣相)과 관련요인(關聯要因) (Health Medical Center Utilization Patter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Rural Inhabitants)

  • 황병덕;박재용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8권1호
    • /
    • pp.77-91
    • /
    • 1993
  • 농촌지역 주민들의 보건의료원에 대한 인식도 및 이용양상을 파악하여 보건의료원 제도와 관련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1990년 9월 24일부터 90년 9월 28일 까지 5일간 정상북도 울진군 소재 국민학교 3개교와 중학교 3개교의 학부모들에게 설문지를 배부, 회수된 832가구의 가구원 754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응답자는 남자 60.3%, 여자 39.7%였고 연령은 30, 40대가 81.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교육수준은 고졸이 40.3%, 의료보장형태로는 지역의료보험이 44.1%를 차지하였다. 응답자의 58.4%가 보건의료원이라는 명칭을 알고 있었는데, 응답자의 학력과 수입이 높을 수록 그리고 거주지역이 보건의료원에 근접한 지역일수록 보건의료원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다(p<0.01). 보건의료원의 진료사업 내용중에서 의료보호대 상자 진료와 치과진료를, 각각 35.1%와 31.0%가 알고 있었으며, 보건예방서비스 사업에서는 예방접종사업을 36.1%로 가장 많이 인지하고 있었는데, 학력과 지리적 근접도가 높을수록 보건의료원의 사업내용 인지도는 높게 나타났다. 보건의료원의 연간 외래이용율과 예방서비스 이용율은 대상자 100명당 11.1회 및 4.5회였으며, 입원이용율은 10,000명당 34.6회였다. 보건의료원 이용동기는 잘나아서(45.7%), 약이 좋아서 (45.2%), 거리가 가까워서(42.9%) 순이었다. 일반병의원과 비교해서 보건의료원의 진료수준이 더 좋다고 응답한 이용자는 16.3% 였고, 더 못하다는 19.0%였다. 또한 보건의료원의 진료비가 저렴하다고 한 응답자는 61.5%인데 비해 비싸다고한 경우는 3.9%였다. 보건의료원 이용시의 교통수단으로는 도보가 55.0%, 버스가 35.5%로 대부분이었다. 보건의료원 이용시 느낀 불편사항으로는 장시간 대기가 46.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이용시간이 제한되어 있어서가 17.8%였다. 보건의료원을 한번도 이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아픈적이 없어서가 33.5%, 교통이 불편하고 거리가 멀어서가 28.0%, 장시간 대기한다고 해서가 12.8%순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아직도 보건의료원에 대한 인식이 낮고, 잘못 인식하고 있는 주민이 많기 때문에 보건의료원에 대한 전반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보건의료원의 이용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료시설, 장비확충과 더불어 의료진의 보강이 필요하고 관리의 효율성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