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9723/jksiis.2010.15.5.167

The Effects of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Infection Prevention Knowledge and Attitude to Nursing Caregiver Students  

Ryu, Bog-Mi (인제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Ryu, Seong-Mi (광주보건대학 간호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v.15, no.5, 2010 , pp. 167-17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t is really important that trained professional care givers service pursuer for long tenn care insurance in Korea.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infection prevention knowledge and attitude on nursing caregiver students with one group pre test-post test to compare on the education program. The data was collected by standardiz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ith a total of 128 nursing caregiver students in G cit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0.0 program such as t-test. The knowledge of infection preven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 pre-education and post-education of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It is necessary for continuous education to maintain quality of nursing and improve the knowledge of infection prevention and program development on nursing caregiver.
Keywords
Nursing Caregiver Students; Infection Prevention Knowledge and attitude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순옥, 조수현, "임상간호사의 병원감염 관리에 대한 중요성 인지도, 실천정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간호학회지, 제27권 4호, pp. 765-776, 1997.
2 김남초, 최경옥, "손씻기 교육이 간호사의 손씻기행위와 중환자의 호흡기로의 MRSA 분리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제14권 1호, pp. 26-33, 2002.
3 박수희, 박수정, "요양보호사 교육과정시 보완 필요성에 관한 연구", 고령자. 치매작업치료 학회지, 제2권 2호, pp. 79-89, 2008.
4 김희경, 조근자, 이현주, '요양보호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제11권 1호, pp. 62-70, 2009.
5 APIC(Association for Professionals in Infection Control) guideline. 1995.
6 CDC(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 1985.
7 이미자, "우리나라 요양보호사 인력양성 현황 및 문제점",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제2권 1호, pp. 69-74, 2008.
8 요양보호사 표준교재(실기). 보건복지부. 2008.
9 정희자, 조정민, "간호사의 병원감염 예방에 대한 지식과 실천", 임상간호연구, 제9권 2호, pp. 18-31, 2004.
10 조남옥, 고성희, 김춘길, 양수, 오경옥, 이숙자, 정유진, 가족, 간병인, "간호사가 인지하는 노인요양보호사 교육의 중요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4권 1호, pp. 127-137, 2008.   과학기술학회마을
11 정정희, 요양보호사 교육전후의 요양보호지식 수준의 비교,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9.
12 요양보호사 표준교재, 보건복지부. 2008.
13 감염관리지침. 대한감염관리학회. 한미의학. 2005.
14 정미현, 권선숙, 요양보호사 1급 교육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와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제11권 1호, pp. 51-61, 2009.
15 유재응, 최우진, "요양보호사 교육내용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복지행정학회, 제19권 1호, pp. 139-165, 2009.
16 Wasaki M. "The future of financing for long-term care: the Own Your Future campaign", J Aging Soc Policy, vol 22, issue 4, pp. 379-93, 2010.   DOI   ScienceOn
17 조추용, "노인장기 요양보험제도에서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확보에 관한 연구", 한국 노년학연구, 제16권, pp. 9-40, 2007.
18 김성훈, 신주화, 하정미, "요양보호사 교육과정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제30권 1호, 한국노년학회, pp. 1-2, 2010.
19 Hantrasis L, "Exploring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policy and changing family forms within the European Union", Eur J Pop, vol 13, pp. 339-379, 1997.   DOI   ScienceOn
20 Hashimoto H, Horiguchi H, Matsuda S." Micro data analysis of medical and long-term care utilization among the elderly in Japan",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vol 7, issue 8, pp. 3022-37, 2010.   DOI
21 Simon GA. "Can long-term care insurance be fixed?" J Health Care Finance. vol 37, issue 1, pp. 51-77, 2010.
22 요양보호사양성지침. 보건복지부. 2008.
23 김숙경, "장기요양보호시설에서의 사례실천적용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 13권 제 1호, pp. 29-54, 2001.
24 김준환, "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의 서비스 질향상 방안", 극동사회복지저널, 제4호, pp. 49-83, 2008.
25 2007년도 노인복지사업안내, 보건복지부 노인복지과, 2007.
26 유승흠, 이윤환. 노인보건. 계축문화사. pp. 45-111, 2007.
27 Rabin PV. Mental illness in the elderly:Principles and common problems. Baltimor, pp. 180-188, 1995.
28 건강보험주요통계 보도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 2008.
29 정경희, 오영희, 석재은, 도세록, 김찬우, 이윤경, "2004년도 전국노인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 2005.
30 박하정, 사회복지정책 결정과정의 정책네트워크 연구: 노인장기요양보험법과 노인복지입법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