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 Industry

검색결과 1,047건 처리시간 0.025초

Public Acceptance of a Health Information Exchange in Korea

  • Park, Hayoung;Park, Jong Son;Lee, Hye Rin;Kim, Soomin
    •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59-370
    • /
    • 2018
  • Objectives: We assessed the public acceptance of a health information exchange (HIE) and examined factors that influenced the acceptance and associations among construct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a survey of 1,000 individuals in Korea, which was administer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We assess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instrument wi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We computed descriptive statistics to assess the acceptance and performed regression analyses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stimate the magnitude and significance of influences among constructs of TAM. Results: Eighty-seven percent of the respondents were willing to use the technology, and the average level of agreement with the need for the technology was 4.16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perception of ease of use of the technology significantly influenced perceptions of usefulness and attitudes about the need for HIE. Perceptions of usefulness influenced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HIE, and attitude influenced intention. Age showed a wide range of influences throughout the model, and experience with offline-based information exchange and health status also showed noteworthy influences. Conclusions: The public acceptance of HIE was high, and influences posited by TAM were mostly confirmed by the study results. The study findings indicated a need for an education and communication strategy tailored by population age, health status, and prior experience with offline-based exchange to gain public buy-in for a successful introduction of the technology.

라이프 케어 증진을 위한 의료정보보안 교육 효과 메타 분석 (Meta-Analysis of Healthcare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Effect for Life-care Promotion)

  • 송지영;이은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75-82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에서 시행된 의료정보보안 교육 효과를 확인하고 향후 이에 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2010년 1월부터 2019년 7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총 4편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선정된 4편의 논문을 메타 분석하여 효과크기를 확인한 결과, 의료정보보안 교육과 실천 간 상관관계에는 큰 효과크기가 있었다. 2010년 발행된 논문부터 대상으로 하여 의료정보보안 교육 효과 결과를 의료정보보안 실천만으로 제한했다는 한계점이 있지만 국내 의료정보보안 교육 효과를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정보 유출을 예방할 수 있는 의료정보보안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등학생들의 라이프 케어를 위한 스마트폰 과의존과 우울과의 관련성 연구 (Study abou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Depression for Life Care of High School Students)

  • 손성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09-31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정도와 우울 수준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그 관련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고등학생 50명이다. 대상자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에 대한 분석은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 척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우울 수준에 대한 분석은 한국판 우울증 선별도구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와 우울 수준에 대한 분석결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가 높아질수록 우울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통계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가 높아질수록 우울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를 감소시키고 우울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며,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와 우울 수준에 대한 인과관계와 영향력을 밝히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테라테인먼트 SSP 중재가 20대 여성의 생리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ra-Tainment SSP Intervention on Dysmenorrhea Among of Women in Their 20s)

  • 김정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63-26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생리통이 있는 20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SSP 치료가 생리통 및 근긴장과 근경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생리통 완화를 위한 테라테인먼트중재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부인과 질환이 없고 생리주기가 일정한 여성으로 생리통이 VAS 4점 이상인 자를 선정하였다. 대상자의 치료는 생리첫날 SSP를 SP6 부위에 20분간 실시하였다. 측정은 생리통은 VAS를 이용하였고, 근긴장도와 경직은 Myotone을 사용하여 치료 전과 치료 직후, 치료 3시간 후 총 3번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생리통은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근긴장과 경직도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SSP therapy를 사용한 테라테인먼트 중재 방법이 생리통을 감소시켜 여성건강관리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슬링교각운동 시 슬링스트렙 위치에 따른 부하량 연구 (Study of Loa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Sling Strap during Sling Bridge Exercises for Improvement of Life Care)

  • 문옥곤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365-37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슬링교각운동 시 슬링스트렙의 위치에 따라 다리에서 발생되는 부하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신체 건강한 20대 남자대학생 10명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바로 누운 자세에서 양쪽 무릎과, 발목에 슬링스트렙을 걸고 교각운동을 실시할 때 무릎과 발목에 전달되는 부하량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양쪽 무릎을 지지한 상태에서의 슬링교각운동이 양쪽 발목을 지지한 상태에서의 슬링교각운동에서보다 아래로 누르는 부하량이 통계학적으로 더 크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양쪽 무릎간, 양쪽 발목간 부하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본 연구결과는 슬링교각운동 시 다리에 걸리는 부하를 객관적으로 측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슬링운동 시 운동강도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체육수업 강박척도 개발과 타당화 (Scale Development and Validity on Obsessive Compulsiv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o Enhance Life Care)

  • 유정인;정주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97-306
    • /
    • 2019
  • 본 연구는 체육수업 참여 학생들을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체육수업 강박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구조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차로는 먼저 개방형 설문을 통하여 문항탐색과 적절성 평정을 실시한 후 예비판에 기초하여 확정판의 신뢰도를 분석하고, 구성개념 타당도를 점검하는 절차로 수행되었다. 예비판에 대한 요인분석을 거쳐 2차로 38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문항분석과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사회적 강박(4문항), 심리적 강박(3문항), 신체적 강박(3문항)으로 총 3개 요인 10문항의 최종 확정판을 완성하였다. 확정된 척도에 대하여 성별 및 수업만족에 따른 다변량 분석을 수행하여 외적 관계검토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는 .856에서 .907까지 높은 신뢰수준을 보였을 뿐 아니라, 타당성이 확보되어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체육수업 강박 척도로 입증되었으며, 이러한 척도를 활용하여 학교 체육현장에서 학생들의 체육수업 강박 측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라이프케어를 위한 가족관계가 학부모의 아동학대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Family Relationship on School Parents' Child Abuse Awareness for Life Care)

  • 이병록;정선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79-290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가족관계가 아동학대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A지역에 거주하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89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학부모의 아동학대인식에 대해 가족관계는 정적 방향으로 양육스트레스는 부적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관계와 아동학대인식간의 인과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학부모의 가족관계가 아동학대인식에 중요한 독립변수이고 이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가 주요한 매개변수라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학부모를 위한 가족관계 증진프로그램, 아동학대예방 매뉴얼, 다양한 양육지원서비스의 확충과 개선 및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제로서의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비만여성에 대한 필라테스의 효과: 문헌 고찰 (A Literatura Review of The Effect of Pilates on Obesity Women for Improvement of Life Care)

  • 문옥곤;김다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595-60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여성에게 필라테스를 적용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필라테스가 비만여성에게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논문의 선정은 데이터베이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Pubmed를 통해 선정기준에 해당하는 총 11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필라테스로 인한 비만 여성들의 변화로는 허리와 다리의 등속성 근력과 허리둘레의 변화, 비만관 관련된 신체구성성분 중, RBP-4, 인슐린, 글루코스, 코르티솔, 렙틴, 콜레스테롤, 체지방, CRP의 감소와 그렐린, 아디포넥틴 농도의 증가, 혈관 탄성의 유의한 변화를 볼 수 있으며, 자아 존중감 및 삶의 질 지표 변화로 비만으로 인한 부정적 정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내었다. 필라테스는 건강과 관련된 요소에서 효과적이라고 보여지며 비만 여성의 라이프케어에 추천되는 운동으로 생각된다.

복지용구사업소 운영 현황 (Current Management Status of Welfare Medical Device Center)

  • 진영란;이효영
    • 한국노년학
    • /
    • 제30권3호
    • /
    • pp.803-814
    • /
    • 2010
  •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으로 공적 급여가 시작된 장기요양서비스 중 복지용구는 노인의 자립생활 지원 및 가족의 수발부담 경감 효과가 기대되는 중요한 서비스이다. 새로운 제도 도입 후 일 년이 경과한 현 시점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복지용구를 제공하고 있는 복지용구사업소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자 전국 복지용구사업소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94개소의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복지용구사업소는 관리, 인력, 시설, 서비스 등의 측면에서 보완해야할 여러 가지 문제들이 발견되었다. 복지용구사업소의 월매출액은 평균 797만원에 불과하여 경영상 어려움을 가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배상책임보험은 절반 정도만이 가입되어 있어 사고 시 대비할 수 있는 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은 경우가 많았으며, 정규직 인력 평균 2.6명 중 사회복지사 및 물리치료사는 약 20%에 불가하며 전문적 교육을 이수한 경험은 거의 없었다. 뿐만 아니라 세정소독시설을 갖춘 사업소 중 오염청결구역을 구분하는 비율은 44.8%에 불과하여 실제 세정·소독의 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양질의 복지용구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배상책임보험 가입을 통한 불의의 사고에 대비, 복지용구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 대여 복지용구의 세정소독 관리 강화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친환경 설계로 제조된 주방세제의 탄소배출량 감축 효과 (The Effects of Eco-friendly Design of Dishwashing Detergent on Product's Carbon Emission Reduction)

  • 김종석;김원찬;이용주;김흥식;박헌영;양봉식;김완수;박필주;홍은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87-91
    • /
    • 2015
  • 기후변화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가시화되고, 직접적인 경제적 피해가 현실화되면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범지구적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기업의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노력을 소비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탄소성적표지 제도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탄소배출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저탄소제품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기존 원료물질을 환경부하가 상대적으로 적은 물질로 대체하여 탄소배출량을 줄인 주방세제의 탄소배출량에 대해 전과정평가(LCA) 기법을 활용하여 산출하였다. 전 과정 평가기법은 환경부의 탄소성적표지 작성지침을 적용하여, 사용단계를 제외하는 제조 전 단계와 제조단계 및 폐기단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친환경 제품 설계 도입이 제품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주방세제의 주요 원료물질에 대한 변경 전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상 주방세제 주요 원료물질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0.47kgCO_2eq/kg$-제품에서 $0.38kgCO_2eq/kg$-제품으로 개선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제품 주요 원료물질의 탄소배출량이 약 9.4% 감소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연간 약 916톤의 온실가스가 감축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