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cinoma, non-small cell lung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2초

비소세포폐암에서 p53과 bcl-2의 발현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Prognostic Value of the Expression of p53 and bcl-2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양석철;윤호주;신동호;박성수;이정희;금주섭;공구;이중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5호
    • /
    • pp.962-974
    • /
    • 1998
  • 연구배경: 최근 폐암은 전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에 놓여 있을 뿐 아니라 서구에서는 여성 폐암 환자의 비율이 크게 늘고 있으며 이미 폐암은 유럽과 미주에서 사망원인 1위의 암종으로 이미 우리 나라를 비롯하여 다른 여러 국가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원발성 폐암의 80%가 비소세포폐암으로 진행이 국소적인 폐암인 경우 수술적 제거가 주된 치료이나 이러한 양호한 경우에도 환자의 약 50% 만이 5년이상 생존할 수 있다. 확실히 비슷한 병기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생존률은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폐암의 분자학적, 생물학적 특정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생존률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고 각각의 환자에 대한 보다 알맞는 치료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새로운 예후적 인자를 알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앙은 세포의 증식과 함께 apoptotic 세포 소실의 감소에 의해 성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형 종양은 성장과 세포의 손실은 종양의 전이, 분화, 죽음 등의 다양한 생물학적인 기전에 의하여 야기된다. 이중에 세포의 죽음은 면역학적 반응, 불가항력적인 미세환경의 상태 (세포의 괴사), 또는 apoptosis와 같은 유전자적인 조절에 의하여 생기게 된다. 암은 세포 주기의 증가로 인한 방법(종양 유전자의 활성도의 종가)과 세포 주기 진행억제의 감소(암억제 유전자의 소실), bcl-2의 과발현과 같은 antiapoptosis signal의 감소 및 bax의 감소 또는 p53의 돌연변이와 같은 proapoptosis signal의 감소 등을 야기하게 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세포소실에 대한 변수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가 거의 없지만 몇몇 단일 변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비소세포폐암에서 예후적 인자로서의 p53과 bcl-2의 발현이 환자의 예후에 어떠한 영향을 보이는지 알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80년부터 1994 년 한양대학교 부속병원에서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된 후 술전 병기가 초기(병기 I-IIIa) 라고 판단되어 치료 목적으로 광법위 폐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중 수술후 1 달이내에 수술의 합병증으로 사망한 예를 제외한 환자와 이들의 폐절제 조직 총 84예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환자는 원발 폐암과 림프절에 대해 광범위 절제술(엽절제술 또는 전폐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환자는 술전에 아무런 치료 (방사선 또는 항암약제 치료)도 받지 않았고 술후에는 각각의 조직학적 병기에 따라 보조 치료를 받았다. 폐절제로 얻은 조직의 조직학적 특징은 WHO 표준 기준에 맞추었고 또한 환자의 조직병리학적 병기 판정은 TNM 병기 판정 기준에 맞추었다. 이와 같이 얻어진 이용하여 p53과 bcl-2 각각의 단클론 항체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고 이의 발현과 환자의 생존률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 과: p53과 bcl-2의 발현은 총 84예에서 시행하여 각각 47예 56.0%, 15예 17.9%의 발현율을 보였다. bcl-2의 발현군은 생존기간이 $64.23{\pm}10.73$달이었으나 음성군은 생존기간이 $35.28{\pm}4.39$달 (p=0.03)로 전체 환자의 생존과 bcl-2의 발현은 밀접한 연관을 보였고 cyclin D1은 양성 발현군의 생존 기간이 $22.76{\pm}3.50$개월, 음성 발현군의 생존기간이 $45.38{\pm}5.64$개월 (p=0.0515)로 생존율과의 상당한 통계적인 연관성의 가능성을 나타내었지만 p53 의 경우는 통계적 의의를 찾을 수 없었다(양성군의 생존기간 $34.71{\pm}6.12$ 달, 발현 음성군의 생존기간 $45.35{\pm}6.30$ 달, p=0.21). 결 론: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소세포폐암에서 bcl-2의 발현은 양호한 예후 인자로 작용하였으며 p53의 발현은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적인 인자로의 통계학적 의미를 찾을 수가 없었다. 또한 bcl-2의 발현과 p53 발현 사이에 역관계가 있다는 보고가 있어서 이의 연관성을 알아보았으나 생존율에 대한 bcl-2와 p53의 발현에서 일어날 수 있는 네가지 조합 ; bcl-2(+)/p53(+), bcl-2 (+)/p53(-), bcl-2(-)/p53 (+) 및 bcl(-)/p53(-) 사이에서 통계학적 의의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폐암의 발암과정은 어느 한 유전자 또는 인자에 의해 야기되는 단순한 과정이 아니고 여러 조절인자들의 복합적인 복잡, 다양한 상호간의 작용에 의해서 서로 영향을 주므로써 폐암의 발암과정의 중요한 기전이 된다고 생각되므로 보다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종괴를 포함한 공동으로 진행된 비소세포폐암에 동반된 폐렴 (A Case of Pulmonary Gangrene Associated with Obstructive Pneumonia Due to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 김성준;엄태찬;문귀애;김필호;김상현;정병오;이혁표;김주인;염호기;최수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4호
    • /
    • pp.591-595
    • /
    • 1999
  • 저자들은 비소세포폐암으로 인한 폐쇄성폐렴에 동반된 림프절종대의 혈관압박에 의해서 발생한 폐괴저를 수술적 치료로 호전시킨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비소세포폐암 수술 후 세포분화도가 재발에 영향을 미친다 (Cell Differentiation Might Predict the Recurrence in Surgically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 강형구;조성근;이혜민;박성운;이병욱;이재희;김보민;박인원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8권1호
    • /
    • pp.10-15
    • /
    • 2010
  • Background: Lung cancer is the most common cause of cancer mortality in Korea. The TNM stage at presentation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has the greatest impact on prognosis. Patients who undergo a complete resection for NSCLC are likely to develop recurrent and/or metastatic disease. There are several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recurrence. We explored risk factors of recurrence in patients with stages I and II NSCLC, who had undergone curative resection. Methods: We reviewed patients who had complete surgical resection as definitive treatment for stage I or II. Patients followed up for more than 36 months. We evaluated several factors which might have relationship with recurrence, such as patient's demographic factors, TNM staging, pathologic finding, tumor markers and surgical technique. Results: A total of 75 patients were enrolled for analysis, of whom 58 were men and 17 were women with mean age of 61 (range, 37 to 76) years. The average size of tumors was 3.9 cm (0.7 to 10 cm). There were 64 patients with stage I NSCLC and 11 with stage II NSCLC. Among 64 patients with stage I NSCLC, 35 patients showed recurrences whereas 8 patients have recurred in stage II NSCLC. Grade of differentiation of tumor was closely related to the recurrence. Seventy-five percent of patients who had poor tumor differentiation experienced a recurrence. In contrast, 3 patients of twelve had recurrences, who revealed differentiation in their tissue (p<0.05). Conclusion: Tumor differentiation could be a predictive factor for tumor recurrence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curative resection for stage I or II NSCLC.

알러젠 제거 옻나무 추출물 단독치료로 생존기간 연장 및 삶의 질 개선을 보인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1례 (Long Term Survival of a Patient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Treated with Allergen Removed Rhus verniciflua Stokes Extract; a Case Report)

  • 송안나;안지혜;김경석;정현식;이수경;최원철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9-43
    • /
    • 2012
  • Objective : This study reports one case of a patient diagnosed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cancer with bone metastasis. Methods : A 56-year old male patient was diagnosed as squamous cell lung cancer in 1997 and received chemotherapy. The chemotherapy stopped after one cycle because of toxicity and the lung abscess. After four months from the diagnosis, rib metastasis was found and received the radiation therapy for two weeks. After the treatment, adverse effects such as nausea and anorexia appeared. The patient visited K. Korean Medicine Hospital and started the treatment with the allergen removed Rhus verniciflua stokes (aRVS) since December, 1997. Results and Conclusion : During treatment,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had improved, and he had survived for 14 year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aRVS. This case suggests that aRVS can be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the advanced NSCLC patients with bone metastasis.

Tabebuia avellanedae에서 유래된 ${\beta}>-lapachone$의 인체폐암세포 apoptosis 유발에 관한 연구 (Growth Inhibition of Human Lung Carcinoma Cells by ${\beta}>-lapachone$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 최병태;이용태;최영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722-728
    • /
    • 2005
  • The DNA topoismerase I inhibitor ${\beta}-lapachone$, the product of a lapacho tree (Tabebuia avellanedae) from South America, activates a novel apoptotic response in a number of cell lines. In the present report,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eta}-lapachone$ on the growth of human lung in human non-small-cell-lung-cancer A549 cells. Upon treatment with ${\beta}-lapachone$, a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cell viability and cell proliferation was observed as measured by hemocytometer counts and MTT assay. The ${\beta}-lapachone-treated$ cells developed many of the hallmark features of apoptosis, including membrane shrinking, condensation of chromatin and DNA fragmentation. These apoptotic effects of ${\beta}-lapachone$ in A549 cells were associated with a marked induction of pro-apoptotic Bax expression, however the levels of anti-apoptotic Bcl-2 expression were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ccordingly, elevated amount of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p21 expression accompanied by up-regulation of tumor suppressor p53 was observed. By RT-PCR analyses, decrease in gene expression level of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and telomeric repeat binding factor were also observed. Thu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eta}-lapachone$ may be a potential anti-cancer therapeutics for the control of human lung cancer cell model.

다발성 악성종양에 동반된 폐암의 임상 특징과 변이형 p53 발현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bnormal p53 Expression of Lung Cancer Associated with Multiple Primary Cancer)

  • 신창진;박혜정;신경철;심영란;정진홍;이관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3호
    • /
    • pp.331-338
    • /
    • 1999
  • 연구배경: 악성종양에 대한 진단 및 치료방법의 발전으로 악성종양 환자의 생존기간이 연장되고, 생존율 또한 과거보다 높아졌다. 또한 수술적 절제술로 악성종양을 제거한 환자 중 약 10% 정도는 약 10년이내 속발성 원발성 종양이 생긴다고 알려지고 있다. 그래서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의 원인과 위험 인자 및 조기 진단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저자들은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폐암과 원발성 폐암의 임상적 특징과 p53 종양 억제 유전자 변이에 의한 변이형 p53 발현율을 조사하여 두 질환사이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방법: Moertel의 다발성 원발성 악성 종양의 분류에 적합한 환자 중 폐암이 동반된 20례(비소세포암 16례, 소세포암 4례)와 비교군으로 원발성 비소세포암 26례를 대상으로 변이형 p53 발현율을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곁과: 폐암과 동반된 악성종양은 위암이 8례로 가장 많았고, 식도암, 폐암, 대장암이 각각 2례 이었으며, 후두암, 방광암, 간암, 유방암, 부신암, 소장암이 각각 1례 이었다.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과 병발한 비소세포암과 원발성 비소세포암의 남녀비는 각각 7:1, 2.7:1 이었고, 흡연력은 각각 16례 중 15례, 26례 중 19례가 있었다.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은 원발성 비소세포암에 비해 임상적 병기가 비교적 균등하였으며(p<0.05), 조직학적 분화도는 나쁜 경우가 많은 경향이었다(p>0.05).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과 원발성 비소세포암의 변이형 p53 각각 62.5%, 76.7%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의 변이형 p53 단백 발현율은 차이가 없었다. 변이형 p53 단백 염색법은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과 원발성 비소세포암을 구별하는데 유용성을 인정할 수 없었다.

  • PDF

Cisplatin 내성을 보이는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서의 전이 능력 증가 (Resistance to Cisplatin Renders High Metastatic Potential in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Line)

  • 차대원;김진국;손동섭;조대윤;양기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5호
    • /
    • pp.377-385
    • /
    • 2001
  • 배경: Cisplain과 같은 세포돗성 약제에 대한 내성은 폐암 치료 실패의 중요한 원인이다. 이러한 항암제에 대한 내성의 발생기전은 복잡하고 아직 완전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불량한 예후의 원인으로 생각된다. 특히 약제 내성이 발생한 환자의 경우 기존의 종양의 급속한 성장뿐 아니라 새로운 전이 병소가 급속히 발생 및 진단됨은 약제 내성을 가진 종양이 전이에의 용이성을 획득하는게 아닌가 의심케한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Cisplatin에 내성을 지닌 비소세포폐암 세포주 H460/CISm이 전이 능력을 Cisplatin에 민감한 비소세포폐암 세로주 H460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약제 내성 세포주를 확보하기 위하여 H460세포에 cisplatin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처리한 후 배양하였다. H460 세포와 H460/CIS 세로에서의 혈관신생인자와 성장관련인 자의 발현양상, gelatin zymography 분석 그리고 in vivo 실험으로 nude 마우스에서의 자발적 전이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H460 세포를 이식한 마우스에 폐에서는 종양이 형성되지 않았으나 H460/CIS세포를 이식한 마우스 10마리중 8마리에서 종양이 형성되었다. 또한 H460/CIS 세포주에서 전이 관련 유전자로 알려진 angiopoietin-1,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matrix metalloproteinase 2 등이 더 발현되었고, 전이의 침습성을 유발하는 gelatinase의 활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여구 결과를 통해 cisplatin에 내성을 가진 비소세포폐암세포에서 전이 능력이 증가될 수 있다고 여겨지며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초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수술 전 항암약물요법의 타당성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 위해서는 많은 임상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Docetaxel과 Cisplatin으로 치료한 비소세포폐암환자에서 발생한 BOOP 1예 (Bronchiolitis Obliterans Organizing Pneumonia in the Patient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Treated with Docetaxel/Cisplatin Chemotherapy: A Case Report)

  • 김애란;김태영;이영민;이승헌;정수진;이현경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9권4호
    • /
    • pp.293-297
    • /
    • 2010
  • A 60-year-old man was diagnosed with stage IV squamous cell carcinoma of lung and treated with weekly doses of docetaxel and cisplatin. Tumor mass and mediastinal lymphadenopathy disappeared after 4.5 cycles of chemotherapy. At one week post final chemotherapy, the patients developed sudden shortness of breath. New, multifocal infiltrations developed on both lungs without definitive evidence of infection. Despite administration of broad spectrum antibiotics, the lung lesion did not improve, so bronchoalveolar lavage and computed tomography-guided lung biopsy were performed. The proportion of lymphocytes was increased markedly and histopathology revealed squamous cell carcinoma combined with bronchiolitis obliterans organizing pneumonia. After high dose corticosteroid therapy, dyspnea and the newly developed consolidation had decreased slightly. However, dyspnea and hypoxemia increased again because of aggravated lung cancer since chemotherapy had stopped. Chemotherapy couldn't be restarted due to the poor performance status of the patient. Later, patient died of respiratory failure from poor general condition and progression of lung cancer.

Diagnostic Aspects of Fine Needle Aspiration for Lung Lesions: Series of 245 Cases

  • Kravtsov, Vladimir;Sukmanov, Inna;Yaffe, Dani;Shitrit, David;Gottfried, Maya;Cioca, Andreea;Kidron, Debor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2호
    • /
    • pp.9865-9869
    • /
    • 2014
  • Background: Transthoracic fine needle aspiration (FNA) is one of several methods for establishing tissue diagnosis of lung lesions. Other tissue or cell sources for diagnosis include sputum, endobronchial biopsy, washing and brushing, endobronchial FNA, transthoracic core needle biopsy, biopsy from thoracoscopy or thoracot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FNA and other diagnostic tests in diagnosing lung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The population included all patients undergoing FNA for lung lesions at Meir Medical Center from 2006 through 2010. Information regarding additional tissue tests was derived from the electronic archives of the Department of Pathology, patient records and files from the Department of Oncology. Sensitivity, specificity, diagnostic accuracy, and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calculated for each test. Results: FNA was carried out in 245 patients. Malignant tumors were diagnosed in 190 cases (78%). They included adenocarcinoma (43%), squamous cell carcinoma (15%), non-small cell carcinoma, not otherwise specified (19%), neurondocrine tumors (7%), metastases (9%) and lymphoma (3%). The specificity of FNA for lung neoplasms was 100%; sensitivity and diagnostic accuracy were 87%. Conclusions: FNA is the most sensitive procedure for establishing tissue diagnoses of lung cancer. Combination with core needle biopsy increases the sensitivity. Factors related to the lesion (nature, degenerative changes, location) and to performance of all stages of test affect the ability to establish a diagnosis.

비소세포 폐암의 병기에 있어 통상적인 골 스캔의 역할 (The Role of Bone Scans in Routine Preoperative Evaluations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 김영태;홍장미;이재익;이정상;성숙환;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9호
    • /
    • pp.659-663
    • /
    • 2002
  • 이 논문은 비소세포폐암으로 새로이 진단 받은 환자에서 수술 전 병기판정에 통상적으로 골 스캔의 유용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서울대병원에서 2000년 1월부터 12월까지 비소세포 폐암으로 진단 받은 환자 2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병기는 과반수에서(132명) 수술이 불가능할 정도로 진행된 상태였다. 골 원격전이의 임상 평가 항목으로 증상, alkaline phosphatase, calcium 등을 채택하였고 모든 환자의 골 스캔 결과를 검토하여, 각각의 민감도, 특이도, 음성 예측률, 양성 예측률을 산출하였다. 최종적인 골 전이의 판단은 일반 X-lay나 MRI 또는 골 생검을 기준으로 하였다. 골 전이만 없다면 수술이 가능한 (“potentially operable”)환자 126명의 임상 경과를 따로 분석하여 수술 대상 환자에서 골 전이에 대한 임상 평가의 중요성을 검토하였다. 결과: 골 전이에 대한 골 스캔의 민감도는 96%, 특이도는 75% 양성 예측률은 44%, 음성 예측률은 99%였고, 골 스캔에 대한 임상 평가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률, 음성 예측률은 각각 54%, 73%, 54%, 72%였다. 골 전이에 대한 임상 평가의 경우는 80%, 70%, 38%, 94%였다. 골 전이만 배제하면 수술이 가능하였던 “potentially operable”군 환자 126명에서 골 전이에 대한 임상 평가의 음성 예측률은 99%였다. 결론: 폐암 진단 당시 병기 결정에 있어서, 골 전이에 대한 철저한 임상 평가가 필수적이다. 특히 골 전이 외에 다른 수술 불가능 요인이 없는 환자군에서 임상 평가 결과 특이사항이 없을 경우 골 전이의 확률이 매우 낮아, 통상적인 골 스캔 없이도 근치적 수술을 고려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임상 평가 결과 양성인 경우에는 약 30% 이상의 환자에서 골 전이가 발견되므로 골 전이를 발견하기 위한 골 스캔은 물론 다른 여러 가지 진단법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