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hydrate Source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34초

더덕껍질의 일반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Skin)

  • 김나영;채현석;이인숙;김동수;서강태;박성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27-1633
    • /
    • 2010
  • 본 연구는 더덕껍질의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더덕껍질의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생리활성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관련 물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더덕껍질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탄수화물 24.74%, 조단백질 2.73%, 조지방 2.96% 및 조회분 4.84%이었고 더덕껍질 100 g의 함유 열량은 266.00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64.73%로 나타났다. 또한,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633.40과 870.72 mg/100 g wet weight basis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칼슘, 마그네슘, 인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의 경우 fructose의 함량이 전체 유리당의 약 7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덕껍질 물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24.65\;{\mu}g/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6.19\;{\mu}g/g$으로 분석되었으며, DPPH 소거 활성을 농도별로 측정하여 비교 한 결과 $500\;{\mu}g/mL$ 농도에서 79.30%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환원력의 경우에는 더덕껍질 추출물이 25 mg/mL의 농도에서 3.5로 높은 환원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더덕껍질 물추출물은 항산화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더덕껍질을 식품 내 첨가물로서, 혹은 다른 약용으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개두릅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Leaf)

  • 신언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34-1639
    • /
    • 2010
  • 개두릅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 무기질, 지방산 함량과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개두릅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 41.42%, 조단백질 45.23%, 조지방 3.29% 및 조회분 10.07%이었고 개두릅 100 g의 함유 열량은 401.52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 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30.37%이었고 수용성 및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9.16%, 21.21%로 나타났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10.51 g, 17.69 g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인, 칼슘, 마그네슘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총 포화지방산 1.56 g, 단일불포화지방산 0.11 g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1.84 g로 구성되어 있었다. 개두릅 70%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항산화 효과 결과 는 $RC_{50}$값이 247.3, 120.7, 107.3, 105.7, 110.1, $491.9\;{\mu}g$으로 나타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육계분-제과부산물 발효 완전혼합사료(TMR)의 면양 체내에서의 영양소 이용성 평가 (Nutrient Utilization of Broiler Litter and Bakery By-product Ration in Sheep)

  • 곽완섭;윤정식;정근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607-616
    • /
    • 2003
  • 본 실험은 육계분과 제과부산물로 제조된 TMR(TDN 69%)에 입자도가 각기 다른 여분의 육계분과 볏짚(diet DM의 10% 수준)을 혼합하여 기존의 배합사료와 볏짚 급여 체계(대조구)를 100% 대체하였을 때 면양에 의한 행동 양상, 영양소 섭취량, 체내 소화율, 가소화 영양소 섭취량, 반추위 성상, 혈액 성상 및 체내 질소 출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조구와 비교해서 TMR 급여구들은 일일 섭취시간, 반추시간, 총 저작시간이 감소하였고(P<0.05), 음수시간은 증가하였으며(P<0.05), 사료 DM 섭취량이 비슷한 상황에서 가소화(digestible) DM, OM, fiber 및 총 영양소 섭취량은 낮았으며(P<0.05), EE를 제외한 영양소 소화율 또한 낮았으나(P<0.05), 반추위 발효 성상(pH, VFA 생성량 및 비율, acetate/ propionate 비율, 탄수화물 발효 효율, 반추위 NH3-N)과 혈중 urea-N 농도는 별 차이 없이 정상적이었으며, 특히 사료 단백질의 체내 활용성(소화율 및 축적율)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TMR에 입자도가 작은 육계분을 입자도가 큰 볏짚으로 diet DM의 10% 수준을 대체하였을 때, 일일 섭취시간, 반추시간, 총 저작시간은 증가하였으며(P<0.05), 음수시간은 정상에 가깝게 감소하였고(P<0.05), 그 외의 상기한 parameter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육계분과 제과부산물로서 적정사료 에너지 수준을 고려하여 제조된 TMR은 반추동물의 기존 배합사료-볏짚 급여 체계를 대체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시사하였으며, 특히 TMR 급여 시 소량의(건물 10% 수준) 볏짚 공급은 면양의 행동 양상을 보다 양호하게 만들었다.

제주토속 좁쌀약주의 약조특성 (Zym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eju folk wine made of foxtail millet)

  • 고정삼;양영택;고영환;강영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4호
    • /
    • pp.277-283
    • /
    • 1993
  • 제주토속 좁쌀약주의 제조를 위한 원료특성, 최적양조조건, 관능검사 등을 검토하였다. 양조원료인 차조의 당질은 71.27%였으며, 조지방은 3.47%로 다른 양조원료에 비하여 함량이 많았다. 가수량의 증감에 따라 약주 중의 에탄올 생성은 직선적인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주정농도를 13% 이상 유지하기 위해서는 원료에 대한 가수량을 250% 이내로 할 필요가 있었다. 발효기간 중에 당의 소모와 더불어 에탄올 생성은 발효개시 2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주발효기간은 4일이었다. 양조원료로 좁쌀만을 사용하는 경우는 주정농도가 $13.0{\sim}13.4%$였으나 쌀 또는 보리쌀을 10% 혼용하였을 때는 $14.0{\sim}14.3%$로 향상되었고, 관능평가에 있어서도 쌀과 혼용하는 경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좁쌀약주 중의 유기산은 lact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였고, 당은 xylose 및 소당류가 대부분이었다. 좁쌀약주 중에는 메탄올은 미량이었고 휴젤유가 적고 유기산이 많았다. 좁쌀약주의 최적양조조건은 차조에 10% 쌀을 혼용한 원료를 사용하여 충분한 침치와 증자를 시키고 가수량을 200%로 하며, $20^{\circ}C$에서 일주일간 주발효 후에 압착여과하여 숙성시키는 것이었다.

  • PDF

열량제한(熱量制限) 및 무단백식이(無蛋白食餌)가 흰쥐의 체내대사(體內代謝)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rotein Depletion and Protein Calorie Restriction on Metabolic and Enzymatic Activities in Adult Rats)

  • 김경자;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6권3호
    • /
    • pp.1-8
    • /
    • 1973
  • Metabolic responses to the protein-free, high-carbohydrate diet and subsequent food restriction on the same diet at the level of 50% and 75% has been studied on the adult albino rats. The energy source was either corn starch or sugar. In experiment I, adult male rats weighing $509{\pm}8g$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0 rats each. Rats fed on the stock diet served as a control. Rats of restriction group received a protein free diet until they reduced their weight down to 400g and continue on a protein-calorie restriction diet until they reduced their weight down to 300g. In experiment II, 28 adult male rats and the same numbers of female rats weighing $329{\pm}5g$ and $223{\pm}4g$ respectivel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7 males and females in each. Rats fed on a stock diet were sacrificed at the point when others started a protein free diet. These were served as the control. The protein free group received a protein free diet ad libitum for 4 weeks. The 50% restriction group and 75% restriction group were fed on a protein free diet coupled with food restriction at levels of 50% and 75% respectively for 3 weeks. In the result of this study: 1. The rate of body weight changes was similar between the males and the females. Feeding protein free diet ad lib. initiated a rapid weight lost of approximately 25% and protein free diet coupled with food restriction showed 37-43% reduction of their initial weight.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lue of the N concentration in liver, spleen, brain and muscle between controls and experimental groups. 3. Rats fed on protein free diet showed 1/10 value of the control in the nitrogen excretion in urine. However female showed less N excretion than male. 4. Observing blood picture, the effects of protein depletion and calorie restriction were not appeared any remarkable changes. 5. There was no sign of fatty liver which might result from protein depletion and calorie restriction. 6. Following semi-starvation, FAO and HMP-DH total enzyme activity was reduced, but activity per unit weight was relatively stable.

  • PDF

질경이의 영양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ago asiatica L.)

  • 박성진;신언환;김천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2-218
    • /
    • 2011
  • 본 연구는 질경이의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질경이의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생리활성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관련 물질 함량의 분석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질경이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탄수화물 63.71%, 조단백질 18.75%, 조지방 1.67% 및 조회분 6.48%이었고, 질경이 100 g의 함유 열량은 466.71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22.68%로 나타났다. 또한,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4.815.22 mg, 6.591.04 mg이었고, 무기질 중 캄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칼슘, 마그네슘, 인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경이의 총 페놀 함량은 $79.65{\mu}g/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43{\mu}g/g$으로 분석되었으며, DPPH 소거 활성을 농도별로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500{\mu}g/mL$ 농도에서 70.30%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환원력의 경우에는 질경이 추출물이 25 mg/mL 농도에서 3.5로 높은 환원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질경이 물추출물은 항산화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질경이를 식품 내 첨가물로서, 혹은 다른 약용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갈화(葛花)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ueraria flos)

  • 신언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139-1144
    • /
    • 2009
  • 본 연구는 갈화를 대상으로 약이성 음식으로의 활용을 위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계획 수행되었다. 따라서 갈화의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생리활성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관련 물질 함량의 분석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갈화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 69.2%, 조단백질 19.9%, 조지방 2.2% 및 조회분 8.9%이었고 갈화 100 g의 함유 열량은 340.4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총 당질 중 85.1%이었고 수용성 및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12.0%, 46.7%로 나타났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5.0 g, 6.7 g이었고, 무기질 중 칼슘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칼륨, 마그네슘, 인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총 포화지방산 25.37%, 단일불포화지방산 33.61%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35.68%로 구성되어 있어 다른 식물류에 비해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화 70%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항산화 효과 결과는 $RC_{50}$값이 217.3, 134.5, 116.7, 109.9, 129.8, 473.5 ${\mu}g$으로 나타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외 배양 조건에서 요소를 첨가한 배지 성분에 따른 Spirulina (Arthrospira) platensis의 성장 비교 (Comparison of Biomass Production of Spirulina (Arthrospira) platensis in Outdoor Culture Conditions Using Different Media by Urea Addition)

  • 이대원;;이현용;마채우;박흥식;권문상;강도형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407-414
    • /
    • 2013
  •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llenges facing the Spirulina mass cultivation industry is to find a way to reduce the high production costs involved in production. Although the most commercial medium (Zarrouk's medium) for Spirulina cultivation is too expensive to use, it contains higher amount of $NaHCO_3$ (16.80 g $L^{-1}$), trace metals and vitamin sol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pirulina platensis biomass production by developing a low-cost culture medium at an isolated tropical island such as Chuuk Stat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FSM). This study set out to formulate a lowcost medium for the culture of S. platensis, by substituting nutrients of Zarrouk's medium using fertilizer- grade urea and soil extract with a different concentration of carbon source under natural weather condition. In order to select a low-cost culture medium of S. platensis, 10 culture media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itrogen (urea and $NaNO_3$) and $NaHCO_3$. The highest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mu}max$) and mass production were 0.50 $day^{-1}$ and 1.05 g $L^{-1}$ in modified medium ($NaHCO_3$ 7.50 g $L^{-1}$, urea 2.00 g $L^{-1}$ without $NaNO_3$) among all the synthesized media. Protein (56.14%) and carbohydrate (16.21%) concentrations of the lyophilized standard samples were estimated with highest concentration of glutamic acid (14.93%).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use of a low concentration of urea and $NaHCO_3$ with soil extract was an affordable medium for natural mass cultivation in the FSM.

갈색거저리 유충을 급이한 산란계로부터 얻은 계란의 품질특성 (Egg Quality Characteristics of Layer Chickens Reared with Tenebrio molitor Larvae)

  • 김도형;김동현;박현우;김진권;김삼웅;김태완;이병진;손다니엘;김일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60-866
    • /
    • 2020
  • 본 연구는 음식폐기물을 활용하여 갈색거저리를 사육한 후에 산란계에 급이시 나타나는 계란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계란의 두께는 처리군에서 약간 얇아지는 경향성을 보였지만, 신선도를 나타내는 Haugh unit는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교하여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5%가 가장 높았다. 난황의 색상은 5% 급이 군에서 명도와 황색도가 낮아지는 반면에 적색도가 증가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5% 급이군은 조지방과 조단백이 대조군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10%와 15% 급이군들은 대조군보다 조지방 및 조단백 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탄수화물 함량은 10%와 15% 급이군들에서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처리군들에서 구성아미노산은 대조군에 비교하여 필수아미노산보다 비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의 증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물질의 지표가 되는 폴리페놀의 함량은 5% 급이군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계란의 저장성 및 항산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고단백 및 고지방 사료인 갈색거저리를 보충 사료원으로 활용할 때 계란의 영양성분 함량에 중용한 변화를 유발할 수 있고 계란의 신선도를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제의된다.

사료 종류별 사육수온이 전복 치패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Condition on Growth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ith the Different Feeds)

  • 조성환;조영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1-126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emperature condition on growth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ith the different feeds. Two types of feed (dry sea tangle and experimental diet) at water temperatures of 20 and $23^{\circ}C$, and 23 and $26^{\circ}C$ were applied to experimental abalone twice. Forty-five juvenile abalone averaging 10.1 g in the first feeding trial and 11.5 g in the second feeding trial were randomly stocked into 6 of 50 L plastic rectangular containers each. Fishmeal, soybean meal and shrimp head meal was used as the primary protein source in the experimental diet. And dextrin and wheat flour, and soybean oil were used as the primary carbohydrate and lipid sources in the experimental diet, respectively. The dry sea tangle and experimental diet were fed to abalone once a day at the ratio of 1.5-2.0% total biomass of abalone with a little leftover in each experimental condition. Weight gain of abalon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feed type, but not by water temperature in the first feeding trial. Regardless of water temperature, weight gain of abalone fed the experimental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balone fed the dry sea tangle. However, weight gain of abalon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water temperature, but not by feed type in the second feeding trial. Weight gain was highest in abalone fed the experimental diet at $23^{\circ}C$, followed by abalone fed the dry sea tangle at $23^{\circ}C$, abalone fed the experimental diet and dry sea tangle at $26^{\circ}C$, which was lowest. Moisture and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edible portion of abalon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feed type, but not by water temperature in the second feeding trial. However, ash content of the edible portion of abalon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water temperature, but not by feed type. In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well formulated feed was superior to the dry sea tangle for growth of juvenile abalone, and water temperature conditions of 20 and $23^{\circ}C$ seemed to be better than $26^{\circ}C$ to improve weight gain of abalo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