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amate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4초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토양흡착성과 간이선발모형을 이용한 용탈 잠재성 평가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Pesticides in Four Soils and the Evaluation for Their Leaching Potential Using Two Screening Models)

  • 김찬섭;박병준;임양빈;류갑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1-349
    • /
    • 2005
  • 유기인계 농약 5종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 4종의 토양에 대한 흡착계수를 구하여 이동성을 구분하고, 흡착계수와 토양 반감기를 이용하여 토양 중에서의 농약의 용탈 잠재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비이온성 농약인 유기인계 살충제 chlorpyrifos-methyl, diazinon, fenitrothion, isazofos, parathion과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fenobucarb(BPMC)와 metolcarb 및 카바메이트게 제초제 dimepiperate와 molinate를 대상농약으로 하였고, 논, 밭, 산림토양 및 제주도 화산회토를 시험토양으로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유기탄소기준흡착계수(Koc)에 의한 이동성 분류체계에 의하면 metolcarb, molinate, 및 fenobucarb는 mobile, isazofos를 포함하는 6종 농약은 토양에 따라 moderately mobile 또는 slightly mobile 등급에 속하였다. 그리고 Koc와 토양 중에서의 반감기를 기준으로 지수화한 Groundwater Ubiquity Score(GUS) index 방법과 Koc와 분해상수 및 토양환경조건의 영향을 고려하는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이용한 용탈잠재성은 metolcarb, fenobucarb 및 molinate는 용탈 가능성이 있고 isazofos, dimepiperate 및 diazinon은 약간의 용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enitrothion, parathion 및 chlorpyrifos-methyl은 용탈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변형하여 Koc값 대신에 Kd값으로 평가하면 유기물 함량이 높은 제주토양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낫은 다른 토양에 비하여 농악의 용탈잠재성이 낮은 것으로 나하나 농약의 흡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양 유기물이 용탈 잠재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Comparison of In Vitro Cell Transformation Assay Using Murine Fibroblasts and Human Keratinocytes

  • Ahn, Jun-Ho;Park, Sue-Nie;Yum, Yung-Na;Kim, Ji-Young;Lee, Michael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37-44
    • /
    • 2008
  • The in vitro cell transformation assays (CTA) were performed using BALB/3T3 murine fibroblasts and HaCaT human keratinocytes in order to evaluate concordance between both in vitro CTAs and carcinogenicity with compounds differing in their genotoxic and carcinogenic potential. Six test articles were evaluated, two each from three classes of compounds: genotoxic carcinogens (2-amino-5-nitrophenol and 4-nitroquinoline-N-oxide), genotoxic noncarcinogens (8-hydroxyquinoline and benzyl alcohol), and nongenotoxic carcinogens (methyl carbamate and N-nitrosodiphenylamine). Any foci of size $\geq$2 mm regardless of invasiveness and piling was scored as positive in CTA with BALB/3T3. As expected, four carcinogens regardless of their genotoxicity had positive outcomes in two-stage CTA using BALB/3T3 cells. However, of the two genotoxic noncarcinogens, benzyl alcohol was positive CTA finding. We concluded that, of the 6 chemicals tested, the sensitivity for BALB/3T3 system was reasonably high, being 100%. The respective specificity for BALB/3T3 assay was 50%. We also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results of BALB/3T3 assay and results from HaCaT assay in order to develop a reliable human cell transformation assay. However, evaluation of staining at later time points beyond the confluency stage did not yield further assessable data because most of HaCaT cells were detached after $2{\sim}3$ days of confluency. Thus, after test article treatment, HaCaT cells were split before massive cell death began. In this modified protocol for this HaCaT system, growing attached colonies were counted instead of transformed foci 3 weeks since last subculture. Compared to BALB/3T3 assay, HaCaT assay showed moderate low sensitivity and high specificity. Despite these differences in specificity and sensitivity, both cell systems did exhibit same good concordance between in vitro CTA and rodent carcinogenicity findings (overall 83% concordant results). At present the major weakness of these in vitro CTA is lack of validation for regulatory acceptance and use. Thus, more controlled studies will be needed in order to be better able to assess and quantitatively estimate in vitro CTA data.

The application of Fourier transform near infrared (FT-NIR) spectroscopy in the wine industry of South Africa

  • Van Zyl, Anina;Manley, Marena;Wolf, Erhard E.H.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 2001년도 NIR-2001
    • /
    • pp.1257-1257
    • /
    • 2001
  • Fourier transform near infrared (FT-NIR) spectroscopy was used as a rapid method to measure the $^{o}Brix$ content and to discriminate between different must samples in terms of their fee amino nitrogen (FAN) values. FT-NIR spectroscopy was also used as a rapid method to discriminate between Chardonnay wine samples in terms of the status of the male-lactic fermentation (MLF). This was done by monitoring the conversion of malic to lactic acid and thereby determining whether MLF has started, is underway or has been completed followed by classification of the samples. Furthermore, FT-NIR spectroscopy was applied as a rapid method to discriminate between table wine samples in terms of the ethyl carbamate (EC) content. EC in wine can pose a health threat and need to be monitored by determining the EC content in relation to the regulatory limits set by the authorities. For each of the above mentioned parameters, $QUANT+^{TM}$ methods were built and calibrations derived and it was found that a very strong correlation existed in the sample set for the FT-NIR spectroscopic predictions of $^{o}Brix$ (r = 0.99, SECV = 0.306), but the correlations for the FAN (r = 0.61, SECV = 272.1), malic acid (r = 0.58, SECV = 1.06), lactic acid (r = 0.51, SECV = 1.14) and EC predictions (r = 0.47, SECV = 3.67) were not as good. Soft Independent Modeling by Class Analogy (SIMCA) diagnostics and validation was applied as a sophisticated discrimination method. The must samples could be classified in terms of their FAN values when SIMCA was applied, obtaining results with recognition rates exceeding 80%. When SIMCA diagnostics and validation were applied to determine the progress of conversion of malic to lactic acid and the EC content, again results with recognition rates exceeding 80% were obtained. The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FT-NIR spectroscopy measurement of FAN, $^{o}Brix$ values, malic acid, lactic acid and EC content in must and wine shows considerable promise. FT-NIR spectroscopy has the potential to reduce the analytical times considerably in a range of measurements commonly used during the wine making process. Where conventional FT-NIR calibrations are not effective, SIMCA methods can be used as a discriminative method for rapid classification of samples. SIMCA can replace expensive, time-consuming,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s, if not completely, at least to some extent, because in many processes it is only needed to know whether a specific cut off point has been reach or not or whether a sample belongs to a certain class or not.

  • PDF

담배가루이 Biotype B와 Q의 약제감수성과 효소활성 비교 (Comparison of insecticide susceptibility and enzyme activities of biotype B and Q of Bemisia tabaci)

  • 김은희;성재욱;양정오;안희근;윤창만;서미자;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20-330
    • /
    • 2007
  • 충북 진천군 이월면 장미재배지와 경남 밀양시 고추밭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에 대해서 16S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PCR 산물을 EcoT14 I (Sty I)과 Stu I을 처리한 결과 경남 밀양시 고추밭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는 Sty I 에서 555pp와 311bp 두 개의 단편이 만들어져 biotype Q임을 확인하였고, 충북진천군 장미재배지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는 Stu I에서 560bp와 3060p 두 개의 단편이 만들어서 biotype B임을 확인하였다. 두 biotype에 대한 12종 살충제로 발육단계별 약제감수성, 침투이행성 및 잔효성을 비교하였고, esterase, acetylcholinesterase (AChE), glutathione S-transferase 등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저해정도를 검토하였다. 두 biotype간에 약제감수성 차이가 있었고, biotype B가 Q보다 더 감수성이었다. 엽면침투이행성과 근부침투이행성 및 잔효성에서도 biotype B가 Q보다 더 감수성이었다. 유기인계인 fenitrothion과 카바메이트계인 fenothiocarb의 저해제에 대해서 esterase, acetylcholinesterase (AChE), glutathione S-transferase등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biotype Q가 B보다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담배가루이 biotype Q가 B보다 약제에 대해서 저항성임을 알 수 있었다.

Carbofuran의 잔류(殘溜)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Residue of Carbofuran)

  • 박영대;금소승;이규승;홍영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2호
    • /
    • pp.236-241
    • /
    • 1977
  • carbofuran의 잔류분석방법(殘留分析方法)을 검토(檢討)하고 식물체(植物體)와 토양(土壤)에 처리(處理)한 carbofuran의 잔류량(殘溜量)을 E.C.D.를 사용(使用)한 gas-liquid chromatography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제용(精製用) column은 florisil(수분함량(水分含量) 5%)+Alumina(수분함량(水分含量) 4%)+Absorbent mixture를 사용(使用)하는것이 좋은 결과(結果)를 얻었으며 용출액(溶出液)의 처음 30ml 분획(分劃)을 유출(流出)시키는 것이 불순물(不純物) 제거(除去)에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Gelatin capsule을 이용(利用)하여 근부처리(根部處理)한 것이 수도체중(水稻體中)의 잔류량(殘溜量)을 가장 오랫동안 지속(持續)시켰다. (3) 종자처리(種子處理)에 의(依)하여는 종자(種子)와 유묘중(幼苗中)에 침투(侵透)된 carbofuran이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4) 유묘(幼苗)의 침적(浸積)에 의한 carbofuran의 식물체(植物體)의 이행(移行)은 처리농도(處理濃度) 보다 침지시간(浸漬時間)에 비례(比例)하였다. (5) 수도(水稻)에 의한 carbofuran의 흡수량(吸收量)은 근부처리(根部處理)가 수면처리(水面處理)보다 많았고 약효(藥效)도 오래 지속(持續) 되었다. (6) 점토함량(粘土含量)이 많은 토양은 점토함량(粘土含量)이 적은 토양(土壤)보다 carbofuran의 잔류경향(殘留傾向)이 길다. (7) 수확후(收穫後)의 현미중(玄米中)에서는 carbofuran의 잔류량(殘溜量)이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 PDF

법과학적 관점에서 FT-IR과 XRF를 이용한 단색 페인트의 안료 비교 (Comparison of pigment in automotive solid color paints by FT-IR and XRF spectroscopy for forensic aspect)

  • 박하선;김기욱;허상철;유승진;이현익;민지숙
    • 분석과학
    • /
    • 제26권4호
    • /
    • pp.245-255
    • /
    • 2013
  • 교통사고로 인해 피해자 의류 또는 사고관련 차량에 부착된 페인트는 법과학적으로 중요한 증거물이다. 의류에 부착된 페인트는 용의차량을 추적하고 교통사고의 피해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단서가 되며, 피해차량과 용의차량에 상호 전이되어 부착된 페인트는 페인트의 동일성 비교로써 사고의 진실을 밝히고 사고 상황을 재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착된 페인트는 보통 미량의 시료이고 특히 단색인 흰색, 노란색, 적색, 청색, 검정색인 경우 페인트 동일성 비교는 입체현미경으로 색상과 안료에 함유된 알루미늄, 펄, 마이카 등의 입자 형상에 대한 상호 비교가 곤란하므로 이에 대한 분석법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단색의 차량 페인트에서 색상을 구현하는 basecoat 층에 대해 micro-FT-IR과 micro-XRF를 이용하여 안료의 바인더 수지와 무기안료의 구성원소를 확인하여 법과학적 측면에서 페인트 동일성 비교를 하고자 하였다. FT-IR 분석은 시료를 전처리 없이 Reflectance와 ATR 2가지 방법을 병용했으며 Reflectance 스펙트럼은 $4000{\sim}2000cm^{-1}$ 영역에서 aromatics과 aliphatic, acrylonitrile 등의 피크 정보를 얻었고 ATR 스펙트럼은 $2000{\sim}650cm^{-1}$ 영역에서 carbonyl, isocyanate, carbamate 등의 피크 및 피크의 패턴 비교로 안료의 바인더 수지를 비교하는데 이용하였다. 또한 XRF 분광법은 미량 페인트의 무기안료에 함유된 구성원소를 확인하여 적외선 흡수스펙트럼으로 동일성 비교가 곤란한 시료에 대해 판별 가능하게 하였다.

BPMC와 Chlorothalonil의 생분해율의 측정 (Determination of Biodegradation Rate on BPMC and Chlorothalonil)

  • 민경진;차춘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49-254
    • /
    • 1999
  • Modified river die-away 법으로 1998년 6월 17일부터 7월 22일 까지 낙동강(A)과 금호강(B)에서 채수한 강물로 BPMC와 chlorothalonii의 생분해 시험을 한 결과는 다음곽 kx다. BPMC의 경우 A지점의 실험군에서는 배양 7일 경과후 27%의 생분해를 나타냈으며 B지점의 실험군에서는 배양 7일 경과 후 40%의 생분해를 나타냈다. 생분해 속도상수와 반감기는 A지점에서 0.0460 및 15.1일 이었고, B지점에서 0.0749 및 9.3일로 조사되었다. Cholorothalonii의 경우 A지점의 실험군과 B지점의 실험군에서 배양 24시간 경과 후 모두 100%의 빠른 생분해를 나타내었다. 생분해속도상수와 반감기는 A지점에서 0.1416 및 4.9시간이었고, B지점에서 0.1803 및 3.8시간으로 조사되었다. Chlorothalonil이 BPMC보다 생분해속도가 빨랐으며, 수질오염이 심한 지역일수록 생분해율이 높은 것은 두 지점의 수질오염 및 종속영양세균수의 차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두 가지 농약의 생분해속도와 실험수의 DO, BOD, SS, ABS, $NH_3-N$와의 상관성을 구한 결과 각각 5% 유의수준에서 PMC의 경우 BOD, SS 및 $NH_3-N$이었고 chlorothalnil의 경우 SS, BOD 및 $NH_3-N$를 독립변수로, 생분해속도를 종속변수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5% 유의수준에서 각각의 농약에 대해 유의한 회귀식을 구할 수 있었다. BPMC는 실제 환경 중에서 생분해에 의한 영향을 더 받을 것으로 생각되며 chlorothalonil은 주요한 분해경로가 생분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식품중의 오염물질에 관한 조사연구 (Monitoring Program on Food Contaminants)

  • 백덕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21-136
    • /
    • 1987
  • 본 연구는 1983년부터 시작한 농작물중의 잔류농약 Monitoring program으로서 우리나라의 농작물중의 농약잔류량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자료 (back data)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농작물중의 잔류농약허용량을 선정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금년도에는 86년도의 대상농약인 유기인제 (8종), 카바메이트제(3종)에 유기염소제 살균제인 Captan, Captafol을 추가하였으며 대상식품으로 상치, 무우, 감자, 파, 감, 고구마를 예년도의 대상식품이었던 도마도, 풋고추, 사과, 복숭아, 콩, 오이, 배추중에는 Captan, Captafol을 경기, 충남, 경북, 전북의 4개 지역에서 채취하여 G.C.-NPD, ECD를 사용하여 그 잔류량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Diazinon은 32.0%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872ppm, 평균은 0.0020ppm이었다. 2. Fenthion(MPP)는 16.4%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395ppm, 평균은 0.0007ppm이었다. 상치, 가지, 고구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3. Fenitrothion(MEP)는 30.5%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628ppm이었고 평균 0.0026ppm이었다. 4. Phenthoate(PAP)는 7.0%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069ppm, 평균 0.0001ppm이었다. 감자, 가지, 감, 고구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5. EPN은 13.3%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250ppm, 평균은 0.0030ppm이었다. 감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6. Dimethoate는 27.3%의 검출율을 보였으며 검출범위는 ND∼0.0826ppm, 평균은 0.0049ppm이었다. 7. Parathion은 22.7%의 검출율을 보였으며 검출범위는 ND∼0.0771ppm, 평균 0.0021ppm이었다. 김, 고구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8. Malathion은 10.9%의 검출율을 보였으며 검출범위는 ND∼0.0098ppm, 평균 0.0001ppm이었다. 상치, 무우에서만 검출되었다. 9. Carbaryl(NAC)은 6.3%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8452ppm, 평균은 0.0336ppm이었다. 상치와 쑥갓에서만 검출되었다. 10. Isoprocarb(MIPC)는 31.3%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1180ppm, 평균 0.0104ppm이었다. 11. BPMC는 22.7%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5106ppm, 평균 0.0085ppm이었다. 12. Captan은 58.7%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1970ppm, 평균은 0.005ppm이었다. 13. Captafol은 2.3%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312ppm, 평균은 0.0003ppm이었다. Captafol은 파에서만 검출되었다.

  • PDF

경기도내 유통 건조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 (Residual Pesticides in Dried Agricultural Products Collected from Gyeonggi Province)

  • 이명진;김명길;정홍래;윤희정;김난영;김한택;김철영;이운형;윤미혜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8-245
    • /
    • 2011
  • 2010년도 경기도에 유통되는 건조농산물에 대하여 잔류농약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02건을 대상으로 206항목에 대하여 다종농약다성분 분석을 GC-${\mu}ECD$, GC-NPD, GC/TOF/MSD, HPLC-UV, HPLC-FLD 및 HPLC/MS/MS로 실시하였다. 검사결과 102건 중 24건의 시료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어 검출률은 23.5%로 나타났고 건고춧잎 1건이 기준초과로 검출되었다. 가장 많은 빈도로 검출된 농약은 chlorothalonil, fenvalerate, chlorpyrifos, endosulfan, bifenthrin, cypermethrin, hexaconazole, iprodione의 검출 순을 보였다. 이들의 계열별 분포를 보면 유기인계 22%, 피레스로이드계 22%, 유기염소계 17%, 디카르복시미드계 11%, 카르복시미드계 6%, 카바메이트계 6%, 트리아졸계 5%, 기타계열 11%로 나타났다.

보온절충(保溫折衷) 못자리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잡초방제(雜草防除)에 관한 연구(硏究) (Weed Control with Herbicides in Protected Semi - irrigated Rice Seedbed)

  • 양환승;임주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9-178
    • /
    • 1984
  • 보온절충(保溫折衷)못자리에서 유망시(有望視)되는 제초제(除草劑) 8종(種)에 대(對)하여 수축(收縮)의 약해(藥害) 및 제초효과(除草效果)를 검토(檢討)하였다. 1. Benzophenap(240g) 및 pyrazoxyfene(200g) 등(等)은 초기약해(初期藥害)가 인정(認定)되지 아니했으며, 제초효과(除草效果)도 만족(滿足)스러웠다. 2. Dimepiperate(210g) 단제(單劑), dimepiperate + probenazol(210+120g) 합제(合劑) 및 dimepiperate + molinate + probenazol(120+120+120g) 합제(合劑) 등(等)은 초기약해(初期藥害)가 없었으며 제초효과(除草效果)에 있어서 피에 대(對)하여는 우수하였으나, 그 이외(以外)의 공시초종(供試草種)은 저조(低調)한 살초효과(殺草效果)를 나타냈다. 3. Butachlor + pyrazolate(70+120g) 및 butachlor + chlormethoxynil(60+120g) 등(等)의 합제(合劑)는 초기약해(初期藥害)가 초기유묘(初期幼苗)와 근신장(根伸長)을 약간 저해(沮害)하는 현상(現象)을 보였으나 경시적(經時的)으로는 회복(回復)되었으며, 제초효과(除草效果)는 우수하였으나 butachlor + chlormethoxynil 합제(合劑)는 공시다년생잡초(供試多年生雜草)에 대(對)하여는 만족(滿足)스럽지 못하였다. 4. Chlormethoxynil(180g)은 초기약해(初期藥害)가 없었으며 공시(供試)한 일년생잡초(一年生雜草)에 대(對)하여 우수한 제초효과(除草效果)를 나타냈다. 5.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이 있었으며 그 이외(以外)의 처리구(處理區)는 조사시기(調査時期)에 관계(關係)없이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6. 근활력(根活力)은 butachlor + pyrazolate(70+120g) 및 butachlor + chlormethoxynil(60 + 120g)등(等)의 합제구(合劑區)에서 약종후(藥種後) 12일(日)에 유의성(有意性)이 있었으나 경시적(經時的)으로 회복(回復)되었으며 그 이외(以外)의 처리구(處理區)는 조사시간(調査時期)에 관계(關係)없이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