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sule shape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4초

Embryonic and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 of the Buenos Aires Tetra, Hyphessobrycon anisitsi (Pisces Characidae) Characidae Fishes

  • Park, Jae-Min;Han, Kyeong-Ho;Han, Ra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9권1호
    • /
    • pp.25-31
    • /
    • 2015
  • We have launched an investigation for Embryonic Development, Larvae and Juvenile Morphology, of Buenos aires tetra in order to build basic data of Characidae and fish seeding production. We brought 50 couples of Characidae from Bizidduck aquarium in Yeosu-si, Jeollanamdo, from Korea on March of 2015. We put them in the tetragonal glass aquarium ($50{\times}50{\times}30cm$). Breeding water temperature was $27.5{\sim}28.5^{\circ}C$ (mean $28.0{\pm}0.05^{\circ}C$) and being maintained. The shape of fertilized egg was round shape, and it was adhesive demersal egg. The egg size was 0.63~0.91 mm (mean $0.74{\pm}0.07mm$, n=20). After getting fertilized egg, the developmental stage was gastrula stage, and embryo covered almost two-thirds of Yolk. Incubation was happened after 16 hours 13 minutes from gastrula stage, and the tail of juvenile came out first with tearing egg capsule. Immediately after the incubation, prelarvae had 3.78~3.88 mm length (mean $3.84{\pm}0.04mm$, n=5), and it had no mouth and anus yet. 34 days after hatching from the incubation, juvenile had 8.63~13.1 mm (mean $10.9{\pm}1.66mm$), and it had similar silver-colored body shape with its mother.

알로덤 슬링술을 이용한 보형물 유방재건술; 임상경과 및 피막형성에 미치는 영향 (Implant Breast Reconstruction using AlloDerm Sling; Clinical Outcomes and Effect to Capsular Formation)

  • 윤정호;김영석;노태석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6호
    • /
    • pp.755-760
    • /
    • 2009
  • Purpose: Breast surgeons usually insert tissue expander or implant beneath the subpectoral - subglandular dual plane in breast reconstruction. But sometimes it happens unsatisfactory lower pole fullness, asymmetric inframammary fold and breast shape because there is implant migration due to the pectoralis major muscle contraction and gravity. To solve all the problem like these, we introduce implant breast reconstruction using AlloDerm$^{(R)}$(LifeCell Corp., Branchburg, N.J.) sling. Methods: The AlloDerm$^{(R)}$ sling was used in 13 patients and 18 breasts for implant breast reconstruction. After mastectomy, costal and lower sternal insertion of pectoralis major muscle was detached. Rehydrated AlloDerm$^{(R)}$ was sutured to the chest wall and serratus anterior fascia at the level of inframammary fold downward and to lower border of the pectoralis major muscle upward like crescent shape with tension free technique after implant insertion into the subpectoral - subAlloDerm dual pocket. Results: We make satisfactory lower pole fullness, symmetric inframammary fold and breast shape. In conclusion, patients obtain relatively natural breast shape. There was no complication except one case of capsular contracture and one case of breast cellulitis. Conclusion: Implant breast reconstruction using AlloDerm$^{(R)}$ sling makes easy to get natural breast shape through satisfactory lower pole fullness, symmetric inframammary fold and implant positioning.

외부형태학적 형질에 의한 한국산 며느리밥풀속(Melampyrum L.)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ew of Melampyrum L. in Korea by the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 이재현;정선;나채선;정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2-132
    • /
    • 2023
  • 한국산 며느리밥풀속(Melampyrum L.) 6분류군(M. roseum, M. roseum var. japonicum, M. roseum var. ovalifolium, M. setaceum, M. setaceum var. nakaianum, and M. koreanum)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관찰하였다. 조사 결과, 잎의 형태, 포의 형태, 포 가장자리 강모의 분포 위치와 수는 유용한 검색형질로 확인되었으며, 줄기의 횡단면 형태와 털의 분포, 포의 기부 형태, 꽃받침 열편과 정단부 돌기의 형태, 화관의 색과 길이는 유용한 검색형질로 나타났다. 이러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바탕으로 한국산 며느리밥풀속의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섬유용양마의 육종에 관한 연구 -단일반응성과 섬유종의 유전 및 연소 (Studies on the Breeding of the Response to short photoperiod, Fiber weight, and Qualitative characters and of the Associations Among these characters in Kenaf)

  • 박종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5-124
    • /
    • 1968
  • 1. 양마의 섬유중 단일반응성 엽형 경색 엽병색 삭과색에 관한 제형질에 대하여 개개의 질적형질의 유전 및 그들의 연소를 연구하였다. 량적형질의 유전은 통계유전학적방법을 이용하여 유전인자분석을 하였다. 또 이들 양적형질의 질적형질과의 연소 및 양적형질상호간의 연소를 조사하여 얻어진 지견을 응용하여 선발의 효과를 높이려고 하였다. 2. 본실험에는 양마의 품종 Dashkent, G38F-1의 1교잡을 사용하였다. Dshkent는 우리나라 재래품종으로 경색은 녹색이고 열핵엽형 녹색엽병색 개화일수는 10시간 단일처리하에서 106.9222일이고 호외 포장조건에서 105.8234일이었고 개체당 섬유중은 26.4922 gr였다. G38F-1은 Guatemala에서 도입하여 계통선발된 품종로서 적색경 수원엽형 적색엽병색 개화일수는 10시간단일처리하에서 62.3784일이고 호외포장조건에서 148.8921일였고 개체당 섬유중은 37.1591 gr.였다. 본교잡에 사용된 실험재료는 P, $P_2$, $F_2$, $F_2$, $BC_1$,($F_2$ ${\times}$ Dashkent), $BC_2$($F_2$ ${\times}$ G38F-1)의 각집단이며 1965년 수원작물시험장 포장에 재식하였다. 3. 엽형 엽병색 경색 삭과색 등 제형질의 유전은 수원엽형 녹색엽병 녹색경 녹색삭과등의 제인자가 단인자로서 그의 대립형질인 열각엽형 적색엽병 적색경 황색삭과에 대하여 각각 열성으로서 3:1의 Mendel성단순분리비를 나타내었다. 또 $F_1$과 열성형질과의 여교잡은 각각 1:1의 분리비가 인정되었다. 엽병색(G)과 엽형유전자(L)와의 조환가는 11.9565의 상인연소현상을 보였다. 삭과색(Y) 경색(R) 유전자간에는 어느것이나 연소현상이 보이지 않았다. 4. 단일반응성의 변이는 연소적이며 우성은 거의 인정되지 않았고 인자간의 상호작용도 인정되지 않았으며 상가적 유전을 보였다. 광의와 협의의 유전력은 각각 89.50%로서 실용적으로 대단히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단일반응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수는 2대의 인자로 추정하였고 다시 양친의 유전자형을 aabb AABB라고 측정하여 각인자의 작용가는 11.136일로 산출되었고 분해법에 의한 유전분석결과 유전자형의 관찰빈도분포와 이론빈도분포는 서로 잘 적합되었다. 단일반응성에 있어서 유전력이 대단히 높았으므로 비교적 초기세대에서 본 형질의 선발이 가능할 것 같았다. 5. 단일반응성과 엽형 및 엽병색 유전자와의 사이에 $F_2$, $BC_1$$BC_2$에서 각각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으므로 이들 형질간에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더욱 엽형과 엽병색과의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이상단일반응성 유전자와의 사이에 연소군이 인정된다. 6. 섬유중 유전자와 엽병색 및 엽형유전자와의 사이에 $F_2$$BC_1$$BC_2$에서 각각 유의적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으므로 이를 형질간에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더욱 엽형과 엽병색과의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이상 섬유중 유전자와의 사이에 연소군이 인정된다. 7. 경장 경경 개화일수와 주당섬유중의 유전상관과 표현형상관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표현형상관보다도 유전상관의 절대치가 크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식물체의 크기에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경장 개화일수와 섬유중 형질상호간의 상관이 높은 치를 보였다. 8. 이상의 유전분석 결과 엽형 및 엽병색과 단일반응성경장 섬유중 형질간에는 연소 혹은 다면발현(pleiotropic effect)이 관여하는 것으로 이해하드라도 대과없는 것으로 생각되었고 양마에 있어서 고섬유중을 위한 선발은 엽병색 및 경장의 선발과 엽형 및 개화일수로서 선발을 함께 하면 그 효율이 높아질 것으로 믿어졌다.

  • PDF

ENHANCED BIOAVAILABILITY OF NIFEDIPINE USING COATED DRY ELIXIR

  • Park, Jae-Yoon;Kim, Chong-Kook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82-282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the nifedipine dry elixir (NDE) and coated nifedipine dry elixir (CNDE) containing nifedipine ethanol solution for improving the dissolution rate and bioavailability of nifedipine. NDE containing nifedipine and ethanol in wall materials of dextrin was prepared using a spray-dryer and then NDE was coated with eudragit acrylic resin to make CNDE. Shape and size of the NDE and CNDE were monitored by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and laser particle size analyzer In vitro dissolution tests were performed in simulated gastric and intestinal fluid. Bioavailability of NDE and CNDE were compared with drug powder suspension and commercial soft capsule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the preparations to rats. NDE and CNDE are spherical in shape. Cross-sectional view of dry elixirs indicates the large inter cavity containing ethanolic drug solution in shell. Geometric mean diameter of NDE and CNDE is about 6.64 and 8.70 $\mu\textrm{m}$, respectively. Drug dissolution rate within first 5 min from NDE increased dramatically irrespective of dissolution medium. However, CNDE showed a particularly retarded dissolution rate in pH 1.2 simulated gastric fluid compared with NDE. The bioavailability of nifedipine in the NDE was increased dramatically compared with drug powder suspension. CNDE reduced initial burst-out plasma peak compared with NDE. CNDE as a sustained release delivery system could reduce the initial burst-out plasma peak due to controlling the release rate of nifedipine from NDE and maintain the effective plasma level over a longer period within therapeutic window with enhanced bioavailability of nifedipine.

  • PDF

한국산 어류에 기생하는 포자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txosporidian parasites from Korean fishes)

  • 김영길;박성우;최민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05-110
    • /
    • 2002
  • 한국산 어류에 감염된 포자충의 종류와 병해를 조사 할 목적으로 2001년 9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양식중인 정읍산 메기와 만경강 하구의 기수 구역에 서식하는 자연산 문절망둑을 조사하였다. 이 들 어류에서 지금까지 한국 미기록종인 포자충의 감염이 확인되었다. 즉 메기의 장 상피조직에서 Myxobolus miyairii Kudo, 1919가, 문절망둑의 피하 근육조직에서 Henneguya tridentigeri Ozaki & Ishizaki, 1941가 검출되었다. 메기에 기생 된 M. miyairii는 장 상피조직에 42-77 (56) $\mu{m}$ × 59-93(73) $\mu{m}$크기의 백색 영양체가 무수히 관찰되었고, 포자의 길이는 11.0-12.0(11.3) $\mu{m}$이었다. 어체 기생율은 86.7-90%이었으나, 감염어는 별다른 병변을 발견할 수 없었다.

직접 에너지 적층을 통한 STS316L 소재의 보수 공정에서 그루브 형상이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Groove Shape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STS316L Repaired by Direct Energy Deposition)

  • 오욱진;손용;손종윤;신광용;심도식
    • 소성∙가공
    • /
    • 제29권2호
    • /
    • pp.103-112
    • /
    • 2020
  •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different pre-machining conditions on the deposition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samples repaired using direct energy deposition (DED). In the DED repair process, defects such as pores and cracks can occur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ubstrate and deposited material. In this study, we varied the shape of the pre-machined zone for repair in order to prevent cracks from occurring at the slope surface. After repairs by the DED process, macro-scale cracks were observed in samples that had been pre-machined with elliptic and trapezoidal grooves. In addition, it was not 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micro-crack generation on the sloped interfaces, even in the capsule-type grooved sample. From observation of the fracture surfaces, it was found that the cracks around the inclined interface were due to a lack of fusion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powder material, which led to low tensile properties. The specimen with the capsule-type groove provided the highest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respective of 46% and 571% compared to the trapezoidal grooved specimen). However, the tensile properties were degraded compared to the non-repaired specimen (as-hot rolled material). The fracture characteristics of the repaired specimens were determined by the cracks at the sloped interfaces. These cracks grew and coalesced with each other to form macro-cracks, they then coalesced with other cracks and propagated to the substrate, causing final fracture.

Microfluidics를 이용한 화장품 에멀젼 캡슐레이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ncapsulation of Cosmetic Emulsion Using Microfluidics)

  • 정남균;진홍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81-86
    • /
    • 2021
  • 화장품 산업은 정밀화학분야로 기술집약적인 산업이며 세계적으로 지속적인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 산업에서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과거에는 기능적 측면이 주로 강조가 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국내외적으로 화장품의 우수한 성능과 더불어 시각적 효과로 소비자의 관심을 유도하려는 노력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 제조업체에서는 화장품 에멀젼을 캡슐화하고 에멀젼 캡슐의 형태, 색상 및 질감 등을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기술을 다방면으로 시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에멀젼을 캡슐화하는 기본 방식은 에멀젼 저장소에 에멀젼을 채워 넣고 노즐을 통해 에멀젼을 낙하시키는 방법으로 업체에서 가장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에멀젼을 캡슐레이션하는 기존 방식은 캡슐의 사이즈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방식의 한계를 이론 및 수치해석방법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방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책으로 미세유체역학(Microfluidics)을 적용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채널 내에서 발생하는 에멀젼 캡슐레이션 현상을 연구하였다.

Speciation of Viola albida var. takahashii based on both artificial and natural hybridization between V. albida var. albida and V. albida var. chaerophylloides

  • Songhee AHN;Sung Soo WHA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226-234
    • /
    • 2022
  • The study aims ar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and natural hybrids between Viola albida var. albida (= albida, from below) and V. albida var. chaerophylloides (= chaerophylloides, from below), and to confirm if hybrids could be fertile and make populations in their native habitats. The 1st filial (= F1, from below) leaf shape produced by artificial crossing between albida and chaerophylloides was the same as that of V. albida var. takahashii (= takahashii, from below), and F1 bore also both chasmogamous and cleistogamous flowers. F1 seed number was 9.6 per cleistogamous pods, which was remarkably less than the average of 38.2 for albida and chaerophylloides, but the germination rate was all similar. The leaf type of self-crossed 2nd offsprings (= F2, from below) showed all leaf types found in the Viola albida complex, but the ratio of chaerophylloides leaf type was relatively low. Individuals whose F2 leaf type was restored to albida produced an average of 31.4 seeds per capsule, meaning that fertility was restored. On the other hand, individuals of F2 takahashii leaf type come to fruition a low average of 10.4 seeds per capsule, which is similar to that of takahashii. The results of crossbreeding experiment, where is their native habitats, were similar to that of laboratory. Both albida and chaerophylloids in Mt. Bulmyeong distribute extensively, but takahashii make a small population only in places where albida and chaerophylloides grow together.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is suggesting that the speciation of takahashii was done by hybrid between albida and chaerophylloides, and these have been maintained with relatively small population by cleistogamous capsules.

한국 미기록 식물: 제주백운풀(꼭두서니과) (First record of Oldenlandia brachypoda DC. (Rubiaceae) in Korea)

  • 남보미;박명순;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30-133
    • /
    • 2010
  • 제주도 서귀포시에서 발견된 Oldenlandia brachypoda DC.를 한반도 미기록종으로 확인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 종은 속 내의 근연종인 백운풀(Oldenlandia diffusa)에 비해 소화경은 짧고, 돌기가 없으며, 엽액에서 1-3개의 꽃이 피고, 수술대는 0.5-0.8 mm로 길며, 악편은 삼각형, 성숙시 열매의 상부는 팽창하지 않는 점에서 구분된다. 국명은 자생지가 제주도인 점을 고려하여 '제주백운풀'로 명명하였으며, 주요 형질에 대한 도해와 기재, 검색표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