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ric acid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9초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당 에스테르의 합성 및 분리정제

  • 서덕기;김우경;김광일;유인상;윤현희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05-708
    • /
    • 2001
  • 지방산제거방법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고자 지방산의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대한 용해도률 조사하였다. 추출온도와 압력을 실험변수로 하여 각 지방산의 용해도를 측정한 결과 $35-50^{\circ}C$, 80-120atm의 범위에서 초임계추출이 이루어졌으며, oleic acid의 용해도는 약 1.7x10-4 mole/mole of $CO_2$이었다. 당 에스테르의 효소적합 성공정으로 초임계법을 적용하였는 바, 반응시간 24시간 후 약 67%의 전환율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Vibrio vulnificus Lipopolysaccharide의 세포 독성 효과와 지방산 조성 (Cytotoxic Effec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opolysaccharide from Vibrio vulnificus)

  • Lee, Bong-Hun;Park, Jang-Su;Shin, Won-Kang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06-110
    • /
    • 1999
  • 감염성 Vibrio vulnificus에 의한 패혈증과 같은 질병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Vibrio vulnificus로 부터 세포벽 lipopolysaccharide를 추출한 후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고 limulus gelation activity와 lethal toxicity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들을 비감염성 Escherichia coli LPS와 감염성 Salmonella typhimurium LPS의 것들과 비교하였다. V. vulnificus LPS의 주 지방산은 myristic acid 이었고 E. coli LPS는 lauric acid, S. typhimurium LPS는 capric acid 이었다. 세가지 LPS의 Limulus gelation activity는 같았으며(0.1ng/ml), V. vulnificus LPS의 lethal toxicity는 E. coli LPS와 S. typhimurium LPS의 것과 비슷하였다. LPS 이외에도 exotoxin과 같은 인자들도 V. vulnificus에 의한 세포 독성의 원인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국산 버터 중의 유리지방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ree Fatty Acids of Domestic Butter)

  • 송근섭;권용주;양희천;이태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26-529
    • /
    • 1990
  •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버터의 유리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방법을 이용하여 버터로부터 직접 유리지방산을 분리 용출시켜 농축한 후 GLC로 분석하였다. 국산 버터 2종류 제품을 분석한 결과, 버터 A의 유리지방산 조성에 있어서는 $C_{18}$ 유리지방산$(C_{18_0},\;C_{18:1},\;C_{18:2}\;및\;C_{18:3})$ 함량이 52.83%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palmitic acid가 29.39%, myristic acid가 11.85% 함유되어 있었으며, 버터 B의 경우에는 $C_{18}$ 유리지방산이 47.50%, palmitic acid가 30.52%, myristic acid가 13.76% 함유되어 있었고, 그 외의 유리지방산은 소량씩 함유되어 있었다. 한편 함량면에서는 적지만 버터의 풍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butyric, caproic, capric 및 lauric acid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버터 A에서는 각각 35, 10, 48, 60ppm, 버터 B에서는 각각 56, 11, 70, 126ppm이었다.

  • PDF

담금용기에 따른 한국 전통 간장의 맛 성분 분석 (Analysis of Taste Compounds in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by Two Different Fermantation Jars)

  • 박옥진;손경희;박현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29-233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간장의 담금용기를 달리하였을 때와 메주의 농도를 상법보다 높게 하였을 때의 질소성분 함량과 향기성분을 분석하고 향미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후 향기성분 패턴과의 통계적 해석을 통해 어떠한 성분이 간장의 관능 특성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의 맛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는 질소성분의 함량에서, 총질소의 경우는 메주의 농도와 상관없이 유리병이 항아리보다 높았으며 메주의 농도가 높은 경우 많은 양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리병은 항아리보다 적은 양의 amino태 질소와 더 많은 양의 ammonia태 질소를 함유하고 있어 질적인 면에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총유리미노산의 함량은 150일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지미와 감미를 내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serine, alanine, Iysin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쓴맛에 관여하는 valine, phenylaalanine, leucine, isoleucine의 함량도 높게 나타났다. 3. 휘발성 유기산으로는 acet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항아리가 유리병보다 함량이 높았으며 메주농도 1 : 4는 완만한 증가를 보이나 1.3 : 4는 숙성기간 150일에 급격한 증가를 나타냈다. 고린내의 주요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butyric acid는 유리병 1 : 4와 항아리 1.3 : 4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유리병 1.3:4에서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모든 군에서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일정한 경향을 보였다. 이 외에 valeric acid와 capric acid가 소량씩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차이가 있었으며, 추출방법에 따라서도 향 기성분의 조성비가 다르게 나타났다.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4. 조사대상자의 식습관은 보통수준으로 판정되었으며, 양로원과 같은 복지기관에서 생활하는 노인의 식습관이 가장 좋았고 딸이 식사준비를 할 때 낮았으며(p<.05), 노인의 식성을 고려하여 식사준비를 할 때 높았고 식성이 고려되지 않을 경우 낮았다(p<.001). 스스로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남자 노인일수록 식습관 점수가 높았다(p<.001). 5. 아침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노인이 77.5%였으며 식사시 식품의 배합을 고려하거나 규칙적으로 녹황색 채소 및 과일을 섭취하는 조사 대상자는 매우 드물었으며 고기·생선·계란 및 콩 등의 단백질 식품, 우유, 과일, 해조류식품이 건강에 유익하다고 알고 있으나 실제 섭취 빈도는 낮았으며, 특히 우유의 섭취가 매우 저조하였다(p<.01). 이상과 같은 결과로 탑골공원에 모여 소일하는 남자노인이 비교적 건강하였고 식습관이 보통 수준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노인 혼자 식사할수록 불규칙한 식사를 하였고 식습관이 좋지 않았다. 대체적으로 결식 특히 점심결식 비율이 다소 높았는데 그 이유는 식욕이 없거나 경제적인 여유가 없어서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우리 나라에서도 미국의 'Lunch program'과 같은 노인 영양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식사의 동기유발을 불러일으키고 최소한 하루의 한끼는 저가의 균형잡힌 식사를 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야 하겠다.은 alanine과 glutamic acid였다. 함량이 많은 총 아미노산의 순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valine, leucine의 순이었으며, 산초 종자의 glutamic acid의 함량이 2.39%로 매우 높았다. 4개의 시료중에

  • PDF

수종 용제와 투과 촉진제를 이용한 로바스타틴의 용해성 및 피부 투과 증진 (Enhanced Solubility and In vitro Skin Permeation of Lovastatin Using Some Vehicles and Penetration Enhancers)

  • 이나영;전인구
    • 약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171-180
    • /
    • 2014
  • To enhance the in vitro permeation of lovastatin through excised hairless mouse and human cadaver skins, solubility was determined in various hydrophilic and lipophilic vehicles, and the effects of vehicles and penetration enhancers on the skin permeation from solution formulations were investigated. Solubility of lovastatin was highest in N-methyl-2-pyrrolidone (NMP) ($278.2{\pm}10.1$ mg/ml) and dimethyl sulfoxide (DMSO) ($162.2{\pm}9.7$ mg/ml). Among different pure vehicles used, NMP, DMSO, propylene glycol and isopropyl myristate provided some drug permeation ($6.9{\pm}1.1$, $5.9{\pm}1.6$, $3.0{\pm}0.5$ and $2.2{\pm}0.3{\mu}g/cm^2$ at 24 hr, respectively) through hairless mouse skin. The addition of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oleyl alcohol to DMSO showed the maximum permeation at around 5 v/v%, however, capric acid and caprylic acid had no enhancing effect. The increase of enhancer concentrations showed bell-shaped permeation rate, suggesting the presence of optimal concentration in lovastatin penetration. Increasing donor concentration from 10 mg/ml to 80 mg/ml in DMSO and a cosolvent of DMSO, NMP and DGME (3 : 3 : 4 v/v) did not show significant dose dependent permeation in both hairless mouse and human cadaver skins. The maximum lovastatin flux through human cadaver skin was found to be $0.87{\pm}0.46{\mu}g/cm^2$/hr with 5 v/v% linoleic acid and donor dose of 4 mg/0.64 $cm^2$ in the cosolv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nsdermal delivery of lovastatin would be feasible by establishing the optimal concentrations of donor dose and unsaturated fatty acids in appropriate vehicles.

투과성 증진 방법과 펄스전기장의 병합처리에 의한 Phaffia rhodozyma로부터의 Carotenoid 추출 (Extraction of Carotenoid from Phaffia rhodozyma by Combining Permeabilizing Methods and Pulsed Electric Fields Treatments)

  • 김남훈;신정규;이석훈;조형용;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529-1535
    • /
    • 1999
  • 고전압 PEF는 P. rhodozyma 세포막에 손상을 주어 투과성을 80% 이상 증진시키지만, carotenoid 색소가 P. rhodozyma 세포막의 지방체와 결합한 생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고전압 PEF 처리에 의한 세포막 투과성 증진의 효과만으로는 색소 추출 효과가 거의 없다는 김$^({12})$ 등의 보고에 이어서, 본 실험에서는 투과성을 증진시키는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방법을 전처리하고 고전압 PEF 처리를 하는 병합 처리가 색소 추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유기 용매 처리 또는 냉동-해동의 반복 처리 후에 50 kV/cm, 300 Hz에서 $1000\;{\mu}s$ 동안 PEF처리하는 병합 처리의 경우에는 색소 추출에 synergy 효과가 없었다. 효모 세포벽 용균 효소 처리나 ultra turrexer를 이용하는 기계적 처리를 한 후에 PEF 처리를 하는 병합 처리의 경우에는 색소 추출이 PEF단독 처리보다 각각 13.7배 또는 3.3배 증가하였다. 위의 2가지 경우에는 PEF와 전처리에 따른 색소 추출량의 산술적 합계보다도 병합처리 하는 경우의 색소 추출량이 각각 52% 및 69.8% 증가하였다. 따라서 병합처리가 synergy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연속 공정으로 적합하지 못하였다. 한편 세포 투과성을 증진시키는 11가지의 permeabilizing agents를 $0.01{\sim}0.5%(v/v)$의 농도로 0.01% $CaCl_2$ 세포 현탁액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 교반 후에 고전압 PEF 처리하는 병합 처리를 한 결과, 계면활성제인 Tween 20과 탄소수 10개의 포화지방산인 capric acid는 각각 0.01% 및 0.1% 첨가했을 때 색소 추출량이 60.7 및 $75.2\;{\mu}g$으로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병합 처리는 연속 공정으로서의 가능성도 충분하다. 뿐만 아니라 capric acid를 첨가하고 난 후에 PEF 처리하는 병합 처리 효과를 직접 확인 하고자 무처리, PEF 단독처리 및 병합처리 후의 세포 내 외부의 변화를 SEM과 TEM으로 관찰하였다. SEM으로 관찰한 결과 PEF 처리에 의해서 세포 표면이 거칠어지고 쭈글쭈글한 모양을 띠어 무처리 세포와는 다른 형태로 나타내었으며, 병합처리의 경우에는 정도가 심하였다. TEM으로 관찰한 결과 병합 처리에 의하여 세포벽은 유지되었으나 세포막은 그 구성물질이 많이 빠져나가 손상된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P. rhodozyma로부터 연속적으로 색소 추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지리적 기원이 다른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균주들의 표현형적 특성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Strains from Different Geographic Origins)

  • 최은진;이영선;김경희;고영진;정재성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45-248
    • /
    • 2014
  •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는 참다래 속(genus Actinidia) 식물에 궤양병을 일으키는 원인세균이다. 7개의 필수 유전자와 11개의 타입 III 효과기 유전자에 대한 다중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전 세계 여러 곳에서 분리된 병원성 균주들은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고 각각 Psa1-Psa3 그룹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Psa1, 3개의 Psa2 및 우리나라와 이탈리아에서 분리된 3개씩의 Psa3 균주 등 총 12 균주를 대상으로 그룹별 표현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든 그룹의 균주가 $22^{\circ}C$ 이하에서 최대의 성장을 보였으며, Psa3 균주들은 $3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성장이 정지되었다. 또한 우리나라의 Psa3 균주의 지연기가 이탈리아 Psa3 균주 보다 긴 특징을 보였다. API 20NE 시험에서 Psa2 균주는 potassium gluconate, capric acid 및 trisodium citrate를 이용하지 못하는 점에서 Psa1과 Psa3 균주와 구별되었다. 다른 그룹과 달리 우리나라 Psa3 균주는 esculin을 가수분해할 수 있었다. API ZYM 시험에서는 Psa3에 속하는 균주들에서만 ${\beta}$-glucosidase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sa 그룹에 따라 ampicillin, novobiocin 및 oleandomycin 등의 항생물질에 대한 민감성 양상이 서로 달랐다.

콜라겐 수용액을 함유하는 역미셀의 제조 및 립 제품에 응용 (The Preparation of Reversed Micelle Containing Water Soluble Collagen Solution and Their Application on Lip Make up Products)

  • 김영호;정은지;이동원;이상길;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71-279
    • /
    • 2013
  • 립스틱의 보습력을 개선하기 위해 수용성 콜라겐(30 wt%)을 역미셀 방법으로 립스틱의 유상 내에 포접하였다. 콜라겐을 포함하는 역미셀은 외부상으로서 caprylic/capric triglyceride와 계면활성제인 polyoxyethylene(10) octylphenyl ether (Triton X-100)와 보조계면활성제로 aliphatic alcohol인 1-dodecanol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콜라겐을 포접하는 역미셀의 형성 조건은 전기전도도와 methylene blue (MB)를 이용한 UV-vis spectrum을 통해 확인하였고, 콜라겐 포접체를 함유하는 역미셀의 립스틱에서 안정성 및 보습력은 레올로지 측정, 수분량 측정 및 아미노산 정량을 통해 확인하였다. 물과 계면활성제의 농도비인 W (water-pool), [$H_2O$]/[Triton X-100]는 10이하에서 안정한 역미셀이 형성되었다. 20 wt%의 콜라겐 포접 역미셀을 함유한 립스틱은 역미셀을 함유하지 않은 립스틱과 경도에서 큰 차이없이 안정하였으며, 수분량은 59%까지 개선되었고, 아미노산 함량은 92.7%였다.

「임원십육지」의 조리법에 기초하여 재현한 건락의 대사체 분석과 관능평가 (Analysis of Metabolite and Sensory Evaluation on Kunrak, for Reproduced Manufacturing from Old Literature of 「Imwonsibyukji」)

  • 정진경;박선현;한영숙;임상동;이명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89-497
    • /
    • 2016
  • Kunrak, a type of Korea traditional cheese, is made using Tarak, a yogurt produced with makgeolli as the fermentation source. Kunrak is produced by removing whey from Tarak, followed by drying process for safe storage and consumption over a longer period. In this study, we produced kunrak based on the method described in "Imwonsibyukji". Prepared Kunrak was ripening for 96 hours at 20, 30, and $40^{\circ}C$. In order to study characteristics of Kunrak, physiochemical properties (pH, acidity, water contents) and contents of metabolites (organic acids, sugars, amino acids, and fatty acids) were analyzed. During ripening, water contents decreased. The main organic acids in Kunrak were citric acid and lactic acid, and the main free sugar was lactose. Main amino acids were glutamate and phenylalanine, and main fatty acid was saturated capric acid. At later ripening, all metabolites increased immediately after preparation. The sensory evaluation score of overall preference was highest for Kunrak, which was ripening at $40^{\circ}C$ for 96 hours. This study was aimed to assay metabolites of Kunrak under various ripening conditions. The results provide basic data to produce conditions for standardized manufacturing of Kunrak.

Gas Chromatography에 의(依)한 미강유(米糠油)의 지방산분석(脂肪酸分析) (Analysis of Fatty Acid in Rice Bran Oil by Gas Chromatography)

  • 정태명;신종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9권
    • /
    • pp.29-33
    • /
    • 1968
  • 1. 미강유중(米糠油中)의 함존지방산(含存脂肪酸)은 Ole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의 순(順)으로 함량(含量)이 많으며 이상(以上) 3종(種) 지방산(脂肪酸)이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다. Stearic acid, myristic acid와 Linolenic acid는 극소량(極少量) 함유(含有)되어 있을 뿐이며 $C_{12}$ 이상(以上)의 산(酸)은 그 흔적(痕迹)이 보이지 않았다. 2. 표준(標準) 지방산(脂肪酸) Methyl로서 구(求)한 보정계수(補正係數)는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에 있어서 $C_{18}$까지는 탄소수(炭素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커지고 또 동일탄소수(同一炭素數)의 지방산(脂肪酸)에 있어서는 이중결합(二重結合)의 수(數)에 따라 커지고 있다. 3. 지방산(脂肪酸) Methyl Ester의 Retention time의 대수치(對數値)는 포화산(飽和酸)의 탄소수(炭素數), 또는 같은 탄소수(炭素數)의 지방산(脂肪酸)에 있어서 그 이중결합(二重結合)의 수(數)와의 사이에 직선관계(直線關係)가 있다는 것을 확인(確認)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