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illary Di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핫 러너 사출 공정에서 수지의 색 교체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Color Change in Injection Molding Process Using Hot Runner)

  • 홍지선;심희수;이지현;권민경;정동일;김선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1호
    • /
    • pp.111-115
    • /
    • 2015
  • 핫 러너를 이용한 사출 공정에서는, 색교체가 중요한 문제이다. 이 연구는 열가소성 수지의 색교체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캐필러리 다이를 이용하여 색교체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고 구현한다. 캐필러리 다이로부터의 토출물을 영상화하여, 회색음영으로 정량화하였다. 그 음영도를 기반으로 하여, 색교체도를 결정하였다. 주어진 온도와 토출 속도에서, 색교체도가 토출회수에 따라 변화하는 추이를 얻어 내고 분석하였다.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s of Polymethylmethacrylate (PMMA)/Acrylate Rubber (ACM) Blend for Light Diffuser Applications

  • Lee, Byung Hwan;Chang, Young-Wook;Lim, Hyung Mi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0권1호
    • /
    • pp.49-54
    • /
    • 2015
  • Dynamically vulcanized PMMA/ACM (80 wt%/20 wt%) blend using DCP as a curing agent was prepared using internal mixer. The morphology, mechanical properties, optical properties, melt viscosity and die swell were characterized by using FE-SEM, tensile test, Izod impact test, dynamic mechanical analysis, ARES and capillary rheometer, respectively. The blends show a phase-separated morphology in which ACM are dispersed in PMMA matrix. Dynamically vulcanized blend exhibits higher mechanical properties, higher melt viscosity, and die swell as compared to simple blend. And, the dynamically vulcanized blend showed total transmittance of more than 75% and haze of higher than 90%, which enable it to find potential applications to fabricate an optical diffuser by extrusion process.

호밀가루의 레올로지 특성분석 (Analysis of Rheological Properties of Rye Flour)

  • 이귀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5권6호
    • /
    • pp.408-412
    • /
    • 2010
  • Rheological properties of cereals such as rye are great important for the design of die for extrusion and the development of models for extrusion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rheological properties according to moisture content of rye flour and extrusion temperature. Rheological properties of rye flour were investigated by using a capillary rheometer for moisture content of three levels (30, 35, 40%) and extrusion temperature of three levels (120, 130, $140^{\circ}C$). Determination coefficient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pparent shear stress ($\tau_{ap}$) and apparent shear velocity ($\gamma_{ap}$) were relatively high in the range of 0.973 ~ 0.997 under each extrusion condition. The values of consistency index (K)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moisture content and extrusion temperature. However, the value of flow behavior index (n) presented the highest value at moisture content of 35%, but it was not affected by extrusion temperature.

액정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복합재료 연구 (On the Composite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Liquid Crystalline Polyester)

  • 최재곤;방문수;한철
    • 공업화학
    • /
    • 제8권1호
    • /
    • pp.76-83
    • /
    • 1997
  • 열방성 액정고분자(TLCP)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혼합용매 중에서 블렌딩하였으며, 이들 블렌드는 capillary rheometer die를 통하여 $287^{\circ}C$에서 섬유상 압출물로 가공되었다. 블렌드와 제조된 복합재료의 열적 성질, 기계적 성질, 모폴로지는 DSC, 편광현미경, SEM 및 인장시험에 의하여 조사되었다. 블렌드의 결정화 동력학은 등온 DSC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타로부터 Avrami식을 이용하여 결정화 속도 및 결정성장 메카니즘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블렌드내의 액정상은 가공온도조건하에서 거대상분킥나 열분해현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액체질소 속에서 절단된 섬유 단면의 SEM 관찰에 의하면, 섬유내 TLCP domain은 $0.1{\mu}m$에서 $0.2{\mu}m$정도의 크기로 분산되었고, 두 상 계면에서의 접착은 잘 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TLCP/PET in-situ 섬유상 복합재료의 인장강도와 모듈러스는 TLCP 함량이 많을수록, draw ratio가 높을수록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마이크로 채널을 흐르는 PS/PP 블렌드의 유변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a rheology of PS/PP blends flowing in a micro channel)

  • 손영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023-1026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미세한 통로를 흐르는 고분자 블렌드의 유변학적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우선 두께가 각각 0.1, 0.2 0.5 mm 인 세 종류의 슬릿 다이를 제작하였고 특수 제작한 피스톤을 부착한 모세관 점도계로 고분자 블렌드의 점도 거동을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상구조가 해도 구조를 가지는 경우 고분자 블렌드의 점도는 다이의 크기에 의존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상구조가 co-continuous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점도가 다이의 크기에 의존함을 관찰하였는데, 몇몇 부가 실험 결과 이는 각 상 간의 미끄러짐이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고분자 전해질막 수소 연료 전지 분리판 용 고분자/흑연 복합 재료의 혼합 및 유변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Mixing Characteristic and Rheology of Polymer/Graphite Composites for a Bipolar Plate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 유태현;김동학;손영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673-4678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전지의 분리판 용 고분자/흑연 복합소재의 혼합 특성 및 점도 측정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분리판은 전도성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흑연의 함량이 매우 높고 이 때문에 제조된 복합재료의 점도가 높아 점도 측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캐필러리 레오메터에서 사용되는 다이로 점도를 측정한 결과 압력이 시간에 따라서 계속 변하고 정상상태의 값을 보이지 않아서 점도 측정이 불가능 했다. 다이의 디자인을 변경하여 측정하면 압력이 정상상태를 보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흑연과 PET를 단순 용융 혼합하여 점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측정된 점도 값이 재현성이 없는 결과를 나타냈다. 여러 차례의 시행 오차 끝에 흑연과 PET를 작은 입자로 분쇄한 후 용융 혼합하면 재현성 있는 점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제조된 복합재료의 전기전도도 값도 재현성 있는 결과를 보임을 관찰하였다.

CO2 냉각모듈을 적용한 고곡률 성형품의 사출금형 급속냉각 (Rapid cooling of injection mold for high-curvature parts using CO2 cooling module)

  • 이세호;이호상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16권4호
    • /
    • pp.67-74
    • /
    • 2022
  • Injection molding is a cyclic process comprising of cooling phase as the largest part of this cycle. Providing efficient cooling in lesser cycle times is of significant importance in the molding industry. Recently, lots of researches have been done for rapid cooling of a hot-spot area using CO2 in injection molding. The CO2 flows under high pressure through small, flexible capillary tubes to the point of use, where it expands to create a snow and gas mixture at a temperature of -79℃. The gaseous CO2 removes heat from the mold and releases it into the atmosphere. In this paper, a CO2 cooling module was applied to an injection mold in order to cool a large area cavity uniformly and quickly, and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injection mold was investigated. The product was a high-curvature molded part with a molding area of 300x100mm. Heat cartridges were installed in a stationary mold, and CO2 cooling module was inserted inside a movable mold. Through structur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deformation of mold with CO2 cooling module was 0.09mm. A CO2 feed system with a heat exchanger was used for cooling experiments. The CO2 was injected into the holes on both sides of the supply pipe of the cooling module and discharged through hexagon blocks to cool the mold. It took 5.8 seconds to cool the mold from an average temperature of 140℃ to 70℃. Through the experiment using CO2 cooling module, it was found that a cooling rate of up to 12.98℃/s and an average of 10.18℃/s could be achieved.

간모세선충(Capillaria hepatica) 표피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Integument of Capillaria hepatica (syn. Calodium hepatica))

  • 김수진;민병훈;이행숙;이병욱;주경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2호
    • /
    • pp.167-173
    • /
    • 2009
  • 간모세선충(Capillaria hepatica)은 설치류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간에 모세선충증(capillariasis)을 일으키는 기생선충이다. 성충은 모세관과 같이 대단히 가늘고 길며, 충체의 앞부분에는 stichosome (염주체) 및 bacillary band 등의 구조가 있다. 간모세선충은 설치류를 주숙주로 하며, 여러 지역에서 채집된 야생 설치류에 거의 100% 감염률이 보고되었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감염형 자충포장란은 물과 음식에 포함되어 포유류에 감염된다. 감염된 성충은 충란을 배출한 뒤 간 조직 내에서 사멸하고, 죽은 충체와 충란은 간 조직에서 숙주 면역반응을 유발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집쥐로부터 충란을 수집하여 마우스에 감염형 자충포장란을 감염시키고. 감염 7주 후에 간 조직에 포함되어 있는 성충을 손상되지 않게 분리하였다. 분리된 간모세선충은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충체 표피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분리된 간모세선충은 길이가 약 99mm로 확인되었으며, 충체의 표피에는 cuticle, bacillary band 등의 구조물이 관찰되었다. Bacillary band에는 여러 형태의 pore가 분포하였고, pore는 cuticle을 가로질러 존재하며, cap material의 존재 유무에 따라 bacillary pore의 형태적 차이가 나타났다. 간모세선충은 간 조직내에서 성장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손상되지 않도록 성충을 분리해 내기 어렵고, 이에 따라 충체 외부형태에 대한 연구가 용이하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간모세선충의 성충을 손상없이 분리하고, 표피의 미세구조를 확인함으로써 아직까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간모세선충을 포함한 선충류의 형태에 관한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