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didate cliqu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최대 클릭 문제에 관한 최대차수 정점 기반 알고리즘 (Maximum Degree Vertex-Based Algorithm for Maximum Clique Problem)

  • 이상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27-235
    • /
    • 2015
  • 본 논문은 NP-완전으로 알려진 최대 클릭의 정확한 해를 선형시간으로 찾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먼저, 주어진 그래프 G=(V,E)에서 최대 차수 ${\Delta}(G)$ 정점 $v_i$를 클릭의 대표 정점으로 결정한다. $v_i$ 인접 정점 $N_G(v_i)$에서 ${\Delta}(G)$ 정점 $v_j$를 선택하여 $N_G(v_i){\cap}N_G(v_j)$를 후보 클릭 w와 $v_k$로 결정한다. $d_G(v_k)$ 내림차순으로 $w=w{\cap}N_G(v_k)$를 얻는다. 마지막으로, $G{\backslash}w$그래프에서 동일한 절차를 수행하여 얻은 클릭이 기존에 얻은 클릭과 동일하거나 크면 이 클릭을 선정하는 검증과정을 거쳤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독립된 다수의 클릭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다양한 정규와 비정규 그래프에 적용한 결과 모든 그래프에 대해 선형시간 O(n)으로 정확한 해를 구하였다.

Identification of potential candidate genes for lip and oral cavity cancer using network analysis

  • Mathavan, Sarmilah;Kue, Chin Siang;Kumar, Suresh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9권1호
    • /
    • pp.4.1-4.9
    • /
    • 2021
  • Lip and oral cavity cancer, which can occur in any part of the mouth, is the 11th most common type of cancer worldwide. The major obstacles to patients' survival are the poor prognosis, lack of specific biomarkers, and expensive therapeutic alterna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ain genes and pathways associated with lip and oral cavity carcinoma using network analysis and to analyze its molecular mechanism and prognostic significance further. In this study, 472 genes causing lip and oral cavity carcinoma were retrieved from the DisGeNET database. A protein-protein interaction network was developed for network analysis using the STRING database. VEGFA, IL6, MAPK3, INS, TNF, MAPK8, MMP9, CXCL8, EGF, and PTGS2 were recognized as network hub genes using the maximum clique centrality algorithm available in cytoHubba, and nine potential drug candidates (ranibizumab, siltuximab, sulindac, pomalidomide, dexrazoxane, endostatin, pamidronic acid, cetuximab, and apricoxib) for lip and oral cavity cancer were identified from the DGIdb database. Gene enrichment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identify the gene ontology categorization of cellular components, biological processes, molecular functions, and biological pathways. The genes identified in this study could furnish a new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of carcinogenesis and provide more reliable biomarkers for early diagnosis, prognostication, and treatment of lip and oral cavity cancer.

한우 태아기 6, 9개월령 등심 조직의 전사체 분석을 통한 근생성 및 지방생성 관여 유전자 발굴 (Transcriptome Analysis of Longissimus Tissue in Fetal Growth Stages of Hanwoo (Korean Native Cattle) with Focus on Muscle Growth and Development)

  • 정태준;정기용;박원철;손주환;박종은;채한화;권응기;안준상;;이지웅;임다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5-57
    • /
    • 2020
  • 동물의 근섬유는 배아기와 태아기를 거치며 형성하게 되며 출생 후에는 상처 치유를 위한 것 외에 근섬유 수를 늘리는 순수한 근섬유 형성은 없으며, 이미 존재하고 있는 근섬유의 비대로 근육의 성장이 이뤄진다. 따라서 태아기의 근육의 성장과 발달이 성체의 근육량 및 조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며 이 시기에 발현되는 유전자 및 기능을 구명하는 것은 최종적으로 육질, 육량에 개선시키기 위한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한우에서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한우 태아기 성장 단계별 근육의 성장과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기 위한 전사체 분석을 수행하였다. 한우 태아기 6, 9개월령 등심 조직 시료에서 생산한 전사체 자료를 대상으로 DESeq2와 edgeR을 활용하여 성장단계별 유전자의 발현량을 분석하여 차등발현유전자군을 추출했으며, 2개 소프트웨어서 공통적으로 추출된 유전자군(6개월령 특이 발현 유전자 913개, 9개월령 특이 발현 유전자 233개)을 차등발현유전자로 구명 하였다. 차등발현유전자군으로 분류하였다. 차등발현유전자군을 활용하여공발현 유전자 네트워크 분석을 구성하였으며, 유사한 발현 양상을 보이는 유전자들을 그룹화하여 6개월령 특이 발현 유전자군 5개, 9개월령 특이 발현 유전자군 2개의 모듈로 분류했다. 각 모듈은 Gene Ontology (GO) 및 KEGG pathway 분석으로 유의한 기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한우 태아기 6, 9개월령 특이 발현 유전자 네트워크 중, 근육과 지방생성 대사회로와 관련된 2개의 모듈에 대해 네트워크 내에 허브 유전자를 선정할 수 있었다. STRING을 활용하여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MCC (maximal clique centrality) 점수를 활용하여 상위 10%의 유전자들을 공발현 분석의 모듈내 허브 유전자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6개월령 특이 발현 유전자군의 모듈에서는 axin1(AXIN1) 유전자, 9개월령 특이 발현 유전자군 모듈에서는 succinate-CoA ligase ADP-forming beta subunit(SUCLA2) 유전자가 허브 유전자로 확인되었다. AXIN1 유전자는 선행 연구를 통해 6개월령에서 9개월령으로 넘어가면서 근섬유 수의 증식이 억제되고 지방생성이 활발히 이뤄지는 것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시트르산 회로의 중요 요소인 SUCLA2 유전자는 소의 태아기 지방 조직 성장단계에 따라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된다는 보고에 따라, 지방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임을 알 수 있었다. 추후 한우 태아기 6, 9개월령에 특이적으로 발현된 유전자들을 대상으로 근육 및 지방 형성 관련 기능을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