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al exudat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2초

External Auditory Canal Atresia with Otitis Media in a Dog

  • Kim, Ah Reum;Han, Changhee;Hwang, Gunha;Kim, Rakhoon;Go, Woohyun;Lee, Ji Yeong;Lee, Jongbong;An, Soyon;Hwang, Tae Sung;Lee, Dongbin;Lee, Jae-Hoon;Lee, Hee Chu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59-162
    • /
    • 2021
  • A 5-year-old, intact male, poodle dog with right external auditory canal obstruction and subaural mass was presented.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right external auditory canal opening was absent and right head tilt was identified. Aspiration in right subaural mass revealed a small amount of dark brown exudate. Streptococcus canis and Staphylococcus spp. were identified on the microbial culture. Radiography of the skull was revealed absence of air-filled ear canal at the right external ear canal (EEC) level. Computed tomography (CT) revealed well capsulated, hypoattenuated mass in the right EEC region. On the contrast enhanced CT images, rim enhancement around the mass and ear canal obstruction were identified. Fluid attenuated material filled with right bulla. Mild thickening of the right tympanic bulla wall with mild lytic lesion of the ventral wall were found. Based on the images findings, the case was tentatively diagnosed as right external auditory canal atresia with otitis media. Total ear canal ablation and lateral bulla osteotomy was performed. The entire ear canal was removed, numerous hair in the canal and the thickening wall were founded. Right ear canal was sent for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and found to otitis externa. The patient was followed up for two weeks and there were no complications. This report described the CT diagnosis of right EEC atresia with otitis media rarely reported in small breed dogs.

대하(帶下)에 대한 동서의학적(東西醫學的) 고찰(考察) (Study of the oriental and western medical literature for fluor genitalis)

  • 임동욱;유동열
    • 혜화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3-218
    • /
    • 2005
  • Fluor genitalis(帶下) apply to secretions of the vaginal canal except bleeding. These secretions of the vaginal canal are excessive volume of secretions or abnomal conditions which were progressed exudate of diseased genital atrium. The greater parts of flour genitalis are not critically ill. The greater parts of flour genitalis are continuous with simple infections of cervix, vagina and uterine tube. Fluor genitalis is met with everywhere at gynecology disease and is frequently broken out at least one third of women.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best way of evaluation about the clinical treatment effect of fluor genitalis.

  • PDF

전통 황칠 도료 개발에 관한 연구(I) - 황칠나무와 황칠액의 해부학적 특성과 화학적 조성-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Golden Varnish(Hwangchil)(I) - Anatomical Characterisit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Wood and Exudates of Hwangchil-namu(Dendropanax morbifera)-)

  • 임기표;김윤수;정우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3호
    • /
    • pp.24-28
    • /
    • 1997
  • As a way to revive the traditional technology of Korean golden varnish(Hwangchill), the exudates of D. morbifera,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first to investigate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D. morbifera stems and their exudates. Trees of more than 20 years old were harvested at Wando and Jejudo island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during different physiological seasons of winter, spring, and summer,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In the anatomical aspect of wood, Hwangchil woods is ring-porous wood, has alternate inter-vessel pittings and horizontal intercellular canal in xylem. 2. In the chemical aspect of wood and bark, the general compositions appeared hot to differ from those of other hardwoods, and ash and alcohol-benzene extractives showed little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atmospheric temperature of harvesting season. 3. In the solvent-sequential extraction of bark, wood and exudate, the exudates was extracted up to 80% by ether, but the bark and wood contained a very small amount of ether extractives, about 2% in the bark and 0.5% in the xylem.

  • PDF

근관 삼출액에서의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8과 substance P의 수준에 관한 연구 (Matrix metalloproteinase-8 and substance P levels in root canal exudates of nonvital teeth)

  • 신수정;이우철;이재일;백승호;금기연;손원준;배광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3호
    • /
    • pp.196-202
    • /
    • 2011
  • 연구목적: 근관 치료를 전후로 근관 삼출액을 추출하여 MMP-8과 SP의 양을 측정하고 근관 치료에 따른 변화 및 이들간이 상관관계를 보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치수괴사, 혹은 이전 근관 치료 후 치근단 병소가 있어서 근관 치료가 예정된 35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근관 치료 첫날, 2주 후, 4주 후 paper point를 이용하여 근관 삼출액을 채취하였다. MMP-8과 SP의 양은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이용하여 정량 하였다. 삼출액의 채취 시점에 따른 MMP-8, SP 양의 변화 및 환자의 통증 정도, 임상증상에 따른 MMP-8, SP의 변화는 mixed model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MMP-8과 SP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여 분석하였다(p < 0.05). 결과: 근관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MMP-8, SP의 양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p < 0.0001), 환자의 통증이나 타진검사 시 반응이 SP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MMP-8의 경우 SP와 미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환자의 증상이나 다른 임상검사와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본 실험에서 사용된 paper point를 이용한 근관 삼출액의 채취를 통하여 치근단 염증과정에서 발현되는 MMP-8, SP를 검출할 수 있었으며 특히 SP의 경우 환자의 증상과 보다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괴사치수에서의 Black-pigmented Bacteroides 균주분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SOLATION OF BLACK-PIGMENTED BACTEROIDES IN THE NECROTIC PULP)

  • 최한석;윤수한;정종평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1권1호
    • /
    • pp.97-103
    • /
    • 198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lack-pigmented Bacteroides isolated from necrotic pulp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eight symptoms associated with pulpal necrosis and to identify the proportion of each Black-pigmented Bacteroides species. The canal contents of fourteen traumatically and cariously necrotized teeth were sampled with a special technique and cultured aerobically and anaerobically for growth in blood agar plate and for Black-pigmented Bacteroides on selective blood agar plate. Each Black-pigmented Bacteroides species were identified by Gram's stain, hemolysis reaction, colony color and morphology and biochemical tes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60.9 percent of the bacteria isolated were anaerobic and 39.1 percent were aerobic. 2. Four Black-pigmented Bacteroides species were isolated; B. loescheii (74.1%), B. denticola (11.1%), B. intermedius (7.4%) and B. gingivalis (7.4%). 3. Black-pigmented Bacteroid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sinus tract formation and exudate.

  • PDF

개에서 만성외이염과 중이염에 대한 전이도 적출술과 외측 고포절골술: 수술 후 회복과정과 장기간 예후 (Total Ear Canal Ablation and Lateral Bulla Osteotomy for Chronic Otitis Externa and Media in Dogs: Postoperative Recovery and Long-Term Follow-up)

  • Kim, Joon-Young;Jeong, Soon-Wuk;Jeong, Man-Bok;Han, Hyun-Jung;Kim, Je-Su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6-32
    • /
    • 2003
  • 전이도적출술 및 외측고포절골술 (total ear canal ablation combined with lateral bulla osteotomy, TECA-LBO)을 행한 10개의 (6마리의 개) 임상결과를 수술 후 회목과정과 장기간 예후를 통해서 평가하였다. 모든 개들은 아래의 다섯가지 소견을 보일 때 TECA-LBO를 실시하였다. 첫째, 적어도 2개월 이상 약물적인 치료가 더 이상 임상증상을 호전시키지 못하는 경우, 둘째, 고막이 완전히 사라진 경우, 셋째, 고포의 방사선밀도가 증가된 경우, 넷째, petrous temporal bone에 경화가 일어난 경우, 다섯째, 이도의 석회화가 진행된 경우. 수술 후 회복경과는 입원 14일 동안, 퇴원 후 7.5개월에 평가하였다. 수술 후 14일째 만성외이염 및 중이염의 증상인 귀를 긁는 것, 통증, 그리고 귀의 경화는 사라졌다. 그리고 이때 수술부위의 종창, 발적, 머리를 기울이는 증상 그리고 Penrose에 의한 삼출물은 모두 사라졌다. 눈을 깜박이지 못하는 것은 4예에서 발생하였고, 이것은 수술 후 14일째 사라졌다. 하지만 한 경우에는 3개월 뒤에 사라졌다. 모든 개들은 수술 후 14일째 퇴원하였다. 퇴원 후 3.5개월에서 6.5개월 사이에 para-aural abscessation이 모든 코커 스파니엘 종에서 발생하여 VBO을 통해 완치시켰다. TECA-LBO를 행하고 para-aural abscessation이 생기지 않은 개들에서는 수술 후 7.5개월 후 귀를 긁는 것, 통증, 귀의 경화가 더 이상 발견되지 않았고, 듣는 능력도 향상되었다. 또한 TECA-LBO를 행하고 para-aural abscessation이 생긴 개들에서는 VBO를 행하고 7.5개월 후 귀를 긁는 것, 통증, 귀의 경화가 더 이상 발견되지 않았고, 듣는 능력도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전이도적출술 및 외측고포절골술은 적용한 후 약 2주 정도의 치료 경과를 보였고 치료 후 코커 스파니엘종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합병증 없이 좋은 회복을 보였다. 그리고 수술 후 눈을 깜박이지 못하는 것은 수술 후 약 2주안에 자연적으로 사라졌다. 그리고, para-aural abscessation은 수술 후 4개월에서 7개월 사이에 발생하므로 follow-up 은 8개월까지 이루어져야 한다.

나팔나리와 자생 솔나리와의 종간 교잡 시 수정 전 불화합성 타파를 위한 수분방법 (Pollination Methods for Overcoming Pre-fertilization Incompatibility in Interspecific Crosses between Lilium longiflorum 'Gelria' and L. cernuum Native in Korea)

  • 김영진;박성민;김종화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3호
    • /
    • pp.373-377
    • /
    • 2001
  • 본 연구는 나팔나리(L. longiflorum) 'Gelria'(LG)와 자생 솔나리(L. cernuum, LC)와의 종간 교잡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여러 가지 수분방법을 이용하여 수정 전 불화합성의 타파방법을 조사하였다. L. longiflorum 'Gelria'${\times}$L. cernuum의 교잡 수분 시 수분방법에 관계없이 모든 교배조합에서 착과가 이루어졌으며, 주두수분법에 비해 모든 화주절단수분법 처리구에서 착과율과 종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들 중 화주를 2-3mm 남기고 자른 것과 화주를 모두 잘라버리고 자방기부에 수분시킨 처리구에서 각각 76.4%와 73.3%로 가장 높은 착과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LC{\times}LG$ 교잡에서는 전혀 착과되지 않았고 어떤 종자도 얻을 수 없었다. LG의 자가수분과 $LC{\times}LG$ 교잡에서는 속도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수분 후 약 90시간 정도가 되면 자방까지 화분관이 신장하였다. 그러나$LC{\times}LG$ 교잡에서는 수분 후 90시간까지 자방에 도달하지 못하였고, 화주 중간에 선단이 비대되고 callose가 이상 집적된 기형적인 화분관이 많이 관찰되었다. 개화 후 수분시기도 착과율과 종자 형성률에 영향을 주었으며, 개화 후 3일에 수분하였을 때 가장 높은 종자수를 획득하였다. 주두 분비물질은 자방비대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수정배주수는 증가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