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ampbell Early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5초

Campbell Early를 이용하여 만든 포도주의 산도 감소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acidification of Wine Made from Campbell Early)

  • 이주경;김재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08-41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포도주의 감산 연구를 위해 Campbell Early를 이용하여 control, precipitation, cold stabilization, MLF, carbonic maceration, cold fermentation과 같이 6가지 다른 방법으로 산도 감소 효과를 실험해 보았다. 6가지 방법으로 제조한 포도주가 $4-5^{\circ}Brix$의 당도와 6.8-7.7%의 알코올 함량을 나타냄으로써 산도 감소를 위해 발효 방법을 달리해도 정상적인 발효가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숙성 중에 pH와 총산, 유기산 함량을 측정하여 감산의 정도를 알아본 결과 cold stabilization을 제외하고는 각 포도주들이 control보다 pH는 증가하고 총산은 감소하였다. 특히 carbonic maceration은 총산이 0.42 g/100 mL로 산도 감소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한 유기산 함량에서도 알 수 있었다. Control의 tartaric acid가 2,928 ppm인 반면 precipitation은 2,346 ppm으로 precipitation으로 인해 tartaric acid가 감소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ntrol의 malic acid는 2,421 ppm, lactic acid는 486 ppm이었으나 MLF의 경우는 malic acid가 828 ppm으로 감소했고, lactic acid는 2,394 ppm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carbonic maceration은 malic acid가 993 ppm으로 눈에 띄게 감소하였고, cold fermentation은 유기산 함량이 전체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도가 감소한 포도주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총페놀 함량, hue, 색도,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산도 감소 효과가 우수한 precipitation과 carbonic maceration 방법으로 제조한 포도주가 품질 평가에서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는 carbonic maceration과 precipitation이 Campbell Early 포도주에 적합한 감산 방법이며, 제조한 포도주도 선명하고 진한 붉은색을 가지며, 포도향이 풍부하고, 신맛이 강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화기 신초비틀기에 의한 '캠벨얼리' 포도의 착립 및 과실품질 (The Effect of Shoot Twist at Bloom on Fruitfulness and Fruit Quality of 'Campbell Early' Grapevine)

  • 이재웅;송명규;박재성;이윤상;홍의연;한점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76
    • /
    • 2018
  • 본 연구는 수세가 강한 '캠벨얼리'를 시험재료로 착립률 증진을 위한 개화기 신초 비틀기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수세가 강한 '캠벨얼리'의 신초 비틀기 처리에 따른 발아기 및 개화기는 처리별 차이가 없었으나 수확기는 3일 정도 지연되었다. 신초 비틀기 처리구에서 수확기가 지연된 것은 '캠벨얼리'의 과방중과 착립률이 개화전 7일과 개화시 모두 3절 비틀기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었다. 신초 비틀기에 의한 '캠벨얼리'의 가용성 고형물 및 산도는 처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량은 '개화 전 7일 3절 비틀기' 처리에서 12.1 kg/주으로 무처리에 비하여 1.6배 증가하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무처리에 비하여 수량이 많은 처리구에서 낮았으나 착색도인 Hunter 값은 처리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포도에서 봉지의 종류, 처리시기 및 식물성오일 처리가 열과와 탄저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eatment of Bag Kinds, Bagging Time and Plant Oils on Fruit Cracking and Bitter Rot in Grapevines)

  • 문병우;이영철;남기웅;김정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3-149
    • /
    • 2008
  • 포도에서 봉지 종류, 봉지 처리시기 및 식물성 오일처리에 따른 열과와 병 발생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봉지 종류별 열과 및 탄저병 경감효과는 '캠벨얼리'에서 열과 발생은 큰 차이를 인정할 수 없으나, 탄저병 발생은 무대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감소하였다. '조생 캠벨얼리'에서 열과 및 탄저병 발생은 무대처리를 제외한 관행봉지, 창문봉지, 칼슘함유봉지 처리에서 감소하였다 '캠벨얼리'에서 모두 7월 5일 이전의 봉지처리에서, '거봉'에서는 각각 6월 29일과 7월 6일이전의 봉지처리 모두에서 현저하게 줄었다. 식물성오일 처리는 '조생 캠벨얼리'에서 열과 및 탄저병 발생률을 현저히 줄 일수 있었고 '캠벨얼리'에서는 과피의 칼슘함량을 증가시켰다. 봉지종류별 과실품질 중 가용성고형물은 창문봉지 처리에서 많이 감소되었으며 칼슘함유봉지 처리에서는 Hunter b값이 떨어졌다. 따라서 칼슘함유봉지 및 식물성오일 처리는 열과 경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야생 효모의 분리.동정 및 이를 이용한 포도주 제조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Wild Yeast and Its Use for the Production of Grapewine)

  • 김정인;이남근;함영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17-221
    • /
    • 2007
  • 거봉 포도로부터 분리하여 동정한 야생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IJ850을 이용, 국내산 캠벨얼리와 거봉포도를 발효시켜 적포도주를 제조하고, 이의 발효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포도주제조용 발효균주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야생발효균주의 분리를 위하여 안성지역 거봉포도와 캠벨얼리 포도즙을 실온에서 6일 동안 스타터의 첨가없이 자연발효시켜 우세균주를 분리하였다. 거봉에서 분리된 효모의 발효능이 캠벨얼리에서 분리된 효모보다 1.8배정도 높았다. 거봉에서 분리한 발효균주를 분자 생물학적 인 방법 인 26S rDNA 염기서열에 근거하여 동정한 결과, Saccharomyces cerevisiae와 99.7%의 유사성을 나타내어 Saccharomyces cerevisiae IJ850으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주를 이용한 포도주의 제조에서는 캠벨얼리와 거봉포도즙의 최종 당도를 $25^{\circ}Brix$로 포도당을 이용하여 보당하고, 이산화탄소를 발효조에 채우고, 실온에서 10일간 발효시켰다. 포도주의 수율은 캠벨얼리가 75%, 거봉이 85%였고 최종 알코올 도수는 캠벨얼리가 11.0%, 거봉이 13.0%이었다. 산업용발효균주인 S. cerevisiae EC-1118과 비교한 결과 총산도는 캠벨얼리와 거봉포도주 모두에서 산업용 발효균주인 EC-1118에 비하여 분리한 S. cerevisiae IJ850에서 낮은 수치를 보였다. 포도주의 pH와 색도 분석에서는 S. cerevisiae IJ850과 S. cerevisiae EC-1118로 제조한 포도주모두에서 비슷한 수치를 보여주었으나, 페놀 성분분석에서는 S. cerevisiae EC-1118로 제조한 캠벨얼리 포도주에서 125 mg/L의 함량을, S. cerevisiae IJ850으로 제조한 거봉포도주에서 75 mg/L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국내 거봉포도로부터 분리한 S. cerevesiae IJ850는 포도주 생산에 사용될 수 있는 균주로써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가당 및 효모첨가가 Campbell Early 포도주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gar and Yeast Addition on Red Wine Fermentation Using Campbell Early)

  • 김재식;김성희;한정선;윤병태;육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16-521
    • /
    • 1999
  • 충북 영동 지역에서 1998년 수확한 포도 (Campbell Early)의 수확시기별 평균 당도와 산도는 8월 15일에 각각 $11{\pm}0.5^{\circ}Brix,\;1.1{\pm}0.3%$이었고, 8월 30일에는 $12.0{\pm}0.4^{\circ}Brix,\;1.0{\pm}0.2%$, 9월 15일에는 $13.5{\pm}0.4^{\circ}Brix,\;0.8{\pm}0.2%$, 9월 30일에는 $16.0{\pm}0.5^{\circ}Brix,\;0.7{\pm}0.1%$로 나타났으며, 야생효모량은 평균 $4{\sim}8{\times}10^5\;cells/g$으로 나타나 포도주 발효를 위해서는 가당과 효모첨가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8월 30일경 수확한 포도로 초기 당농도를 $24^{\circ}Brix$, 초기 효모농도를 $5{\times}10^6\;cells/mL$로 하여 $25^{\circ}C$에서 발효시킨 경우 9일만에 발효가 종료되어 최종 14.7% (v/v)의 알코올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산도와 pH는 각각 $0.9{\pm}0.2%,\;3.3{\pm}0.2$로 발효 중에 거의 변화가 없었다. 반면 효모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는 약 15일만에 발효가 종료되었으며 알코올 함량은 최종 14.4% (v/v)로 효모 첨가구와 비슷하게 나타내었다. 그러나 발효개시 2일 경과 후에 발효가 일어나기 시작하여 잡균오염에 의한 이상발효의 우려가 있었다. 살균 및 색소추출의 목적으로 potassium metabisulfite를 300 ppm 첨가한 등외품 포도즙의 일반세균수는 $10^3c\;ells/mL$, 500 ppm 첨가한 것은 $10^2\;cells/mL$ 수준이었고, 첨가하지 않은 경우는 $10^8\;cells/mL$ 수준이었으며, 전발효 종료시 알코올 생성은 모두 14% (v/v) 정도로 비슷하였다. 포도주의 숙성기간 중 잡균 오염 방지를 위해 potassium metabisulfite를 40 ppm 이상 첨가하였을 때에는 포도주의 색이 탈색되었다.

  • PDF

타 과실 혼합에 따른 국내산 캠벨 포도주의 품질개선 (Quality Improvement of Campbell Early Wine by Mixing with Different Fruits)

  • 서명현;육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90-399
    • /
    • 2007
  • 국내산 캠벨포도를 이용한 포도주의 품질을 개선하기위하여 머루, 블루베리, 복분자, 블랙커런트 등을 첨가하여 포도주를 제조하였다. 캠벨포도주의 색상은 이들 과실의 첨가에 의하여 많이 짙어지고 색이 좋아짐을 확인하였다. 복분자와 블랙커런트를 첨가하였을 경우 L값이 34에서 $6{\sim}13$으로 낮아졌으며 Q값도 54에서 $36{\sim}46$으로 낮아져 외국산 포도주의 검붉은 색과 거의 비슷한 색깔을 뗬다. 머루와 블루베리의 첨가 역시 캠벨포도주의 색을 짙게 하였으나 복분자나 블랙커런트보다는 그 효과가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블랙커런트와 복분자의 첨가에 의하여 캠벨 포도주의 폴리페놀함량은 크게 높아졌는데 15일간의 발효 후 캠벨포도주의 경우 1.02 mg/mL의 폴리페놀을 함유한 반면 캠벨포도에 $15^{\circ}Brix$ 블랙커런트를 20% 첨가한 포도주의 경우 1.87 mg/mL로 폴리페놀함량이 크게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역시 캠벨은 다른 포도 품종에 비하여 가장 낮은 품질특성을 나타냈지만 캠벨에 복분자, 블랙커런트, 머루 등을 첨가함으로써 색, 향, 맛 그리고 기호도 등 모든 면에서 포도주의 품질이 크게 개선이 됨을 확인하였다.

Screening Differential Expressions of Defense-related Responses in Cold-treated 'Kyoho' and 'Campbell Early' Grapevines

  • Ahn, Soon Young;Kim, Seon Ae;Han, Jae Hyun;Kim, Seung Heui;Yun, Hae Ke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3호
    • /
    • pp.275-281
    • /
    • 2013
  • Low temperature is one of the major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productivity including reduced growth and budding of vines, and changes of metabolic processes in grape (Vitis spp.). To screen the specific expression of abiotic stress-related genes against cold treatment in 'Kyoho' and 'Campbell Early' grapevines, expression of various defense-related genes was investigated by RT-PCR and real-time PCR. Among the 67 genes analyzed by RT-PCR and real-time PCR, 17 and 16 types of cDNA were up-regulated, while 5 and 6 types were down-regulated in cold-treated 'Kyoho' and 'Campbell Early' grapevines, respectively. Genes encoding carotene (Cart3564 and Cart4472), chalcone isomerase (CHI), cytochrome P450 (CYP), flavonol synthase (FLS), endo-${\beta}$-glucanase precursor (Glu), glutathione peroxidase (GPX), glutathione-S-transferase (GST), leucine-rich repeats (LRR),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Mn-SOD), phenylalanine ammonia lyase (PAL), polygalacturonase-inhibiting protein (PGIP), proline rich protein 2 (PRP2), small heat shock protein (sHSP), temperature induced lipocalin (TIL), and thaumatin-like protein (TLP) were up-regulated, while those encoding CBF like transcription factor (CBF1), chitinase-like protein (CLP), cold induced protein (CIP), glycerol-3-phosphate acyltransferase (GPAT),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were down-regulated by low temperature treatment in both in 'Kyoho' and 'Campbell Early'.

Improvement in Sensory Characteristics of Campbell Early Wine by Adding Dual Starter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Oenococcus oeni

  • Yoo, Ki-Seon;Kim, Ji-Eun;Seo, Eun-Young;Kim, Yu-Jin;Choi, Hwa-Young;Yoon, Hyang-Sik;Kim, Myoung-Dong;Han, Nam-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7호
    • /
    • pp.1121-1127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ng a dual starter on the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ed wine made of Campbell Early grape. The yeast starter,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lactic acid bacteria (LAB) starter, Oenococcus oeni, were used for inoculation in the winemaking process for alcoholic fermentation and malolactic fermentation (MLF), respectively. After 200 days of incubati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yeast/LAB-added wine (YL-win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o-starter-added wine (control) and yeast-added wine (Y-wine). The results show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H, total sugar, and alcohol content among the wine samples, but the malic acid content in YL-wine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various esters and higher alcohols were synthesized. The sensory test revealed that the addition of dual starters resulted in improved overall acceptability in win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O. oeni in addition to yeast in making Campbell Early wine.

Effects of film liners, ethylene scrubber, alcohol releaser and chlorine dioxide on the berry quality during simulated marketing in 'Campbell Early' grapes

  • Kim, Sung-Joo;Choi, Cheol;Ahn, Young-Jik;Lim, Byung-Sun;Chun, Jong-Pil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3호
    • /
    • pp.415-424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 ethylene scrubber (ES) with a micro-perforated polypropylene (MP-PP, 30 ㎛) or a high density polyethylene (MP-HDPE, 30 ㎛) film liner for the export carton packaging box in 'Campbell Early' grapes. Rachis browning was highest in the untreated group, followed by MP-PP and MP-HDPE for 14 days of simulated marketing at 20℃.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ES with the film liners showed a partial inhibition of the rachis browning regardless of the film liners. The effects of an alcohol releaser (AR) sachet or chlorine dioxide (CD) diffuser co-packaging were also investigated in the 'Campbell Early' grapes packed with the MP-HDPE (40 × 99 pin hole·m-2) film liner. The CD 1 g treatment showed a very limited weight loss of 1.1%,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4.7% of the untreated control after 14 days of simulation marketing at 20℃. The berry shatter was 0.7% for the MP-HDPE + CD 1 g treatment and 1.8% for the MP-HDPE + CD 5 g treatment on the 10th day of the simulated marketing,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8.9% of the control. The stem browning was significant suppressed until the 10th day of the simulated marketing. In particular, the CD 1 g treatment in combination with the MP-HDPE showed a low rachis and pedicel browning index of 2.0, which is 50% and 40% lower than that of the untreated control and the MP-HDPE single treatmen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D 1 g treatment group showed a higher decay reduction effect than the CD 5 g treatment group, which caused high concentration damage.

눈 조직의 저온열방출방법을 통한 포도 품종의 내한성 분석 (Cold Hardiness Evaluation of Grapevine Buds by Low Temperature Exotherms among Several Grape Cultivars)

  • 김수진;유덕준;전성훈;허윤영;임동준;이동훈;박서준;이희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3-99
    • /
    • 2024
  • 최근 국내 재배가 많거나 국내 도입이 되고 있는 13개 포도 품종의 눈을 대상으로 LTE를 측정한 결과 'Shooting Star', 'Muscat Bailey A', 'IFG-6', 'Vanessa Seedless', 'Summer Crispu', 'Shine Muscat', 'Jelly Pop', 'Campbell Early', 'Ruby Seedless', 'My Heart', 'Kyoho', 'Thompson Seedless', 'Violet King' 순으로 저온에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LTE 값은 'Shooting Star'에서 -18.9℃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Violet King'에서 -12.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국내 재배 시 기준 품종으로 제시되고 있는 'Campbell Early'와 'Kyoho'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상대 비교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지역별 재배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