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4초

발효 시간에 따른 소엽종(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 차의 아미노산 함량 변화 및 관능 특성 (Changes in Free Amino Acids and Sensory Evaluation of fermented Tea (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ermentation)

  • 조은자;황지희;양미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911-918
    • /
    • 2007
  • 발효 시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차의 일반 성분과 pH, 색도를 측정하고, glutamic acid, arginine, GABA, theanine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관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 찻잎의 일반 성분은 조단백질 32.9%, 조지방 0.9%, 조회분 6.4%, 탄수화물 59.8%였다. pH는 모든 시료에서 발효시간이 길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6시간 발효 시료(S6)와 8시간 발효 시료(S8)는 6.34, 6.25로 낮아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찻물의 색도에서 L값은 발효 시간이 길어질수록 현저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a값은 SN, S4, S6, S8이 각각 -2.25, -2.15, -2.01, -0.21로 측정되어 발효 시간이 긴 시료일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찻잎의 glu. Arg, GABA함량은 발효에 의해 증가 경향이었으며, theanine은 감소 경향이었으나, 발효 정도가 높은 경우에도 잔존량은 발효하지 않은 시료의 69%이었다. 기능성 성분으로서 GABA는 hand rolling 과정이 거듭될 수록, 또한 발효 시간이 길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발효차 제조시 기호적으로 감칠맛을 내는 theanine 함량을 높게 하려면 발효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생리활성(기능성)을 중요시 할 경우에는 발효 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발효 찻잎을 우려낸 찻물의 관능 평가는 S8이 맛과 향에 있어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높게 분석된 아미노산 함량과 관련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녹차추출물로부터 항균물질의 분리 및 구조동정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s from Green Tea Extracts)

  • 신영희;이승철;최성길;허호진;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24-928
    • /
    • 2009
  • 녹차에 관한 최근까지의 연구결과에서, 녹차는 생리활성의 촉진작용뿐아니라 항암, 항산화, 고혈압 억제효과, 체중 조절 등 다방면의 약리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아울러, 녹차의 항균 및 항진균 작용에 관한 연구결과도 발표되고 있으며, 본 연구팀에 의해서도 녹차추출물의 항균작용을 확인한 바 있어, 본 연구에서는 탁월한 항균작용을 소유하고 있는 녹차분획물질을 분리하여 그 분자구조를 동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녹차추출물에서 탁월한 항균력을 가지는 항균활성물질을 HPLC 분리방법 및 NMR 분석법으로 분리 동정한 결과, 각각 (-)-epicatechin gallate 및 (-)-epigallocatechin gallate로 확인되었다.

대흑산도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Daehuksan Island)

  • Kim, Chul-Soo;Jang, Yoon-Seo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3호
    • /
    • pp.145-160
    • /
    • 1989
  • Daehuksan Island (125°23'-125° 28' E and 34°37'-34°42' N, ca 19.7㎢) in the southwestern part of Mokpo, Korea, is a part of the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Most of the actual vegetation of the island is substitutional vegetation under various human impact such as grazing, cutting for firewood. And natural vegetation is partially distributed in the tutelary shrine forests, deep valleys, etc. During 1987,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this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Braum-Blanguet's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association and 7 communities, Camellia japonica, Machilus thunbergii, Ardisio-Castanopsietum sieboldii, Daphniphyllum macropodum-Quercus acuta, Pyrrosia lingua-Pinus densiflora. Rhododendron mucronulatum-Pinus thunbergii, Carpinus coreana, and Psedosasa japonica community. Grassland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Gleichenia japonica, Gleichenia dichotoma, Arundinella hirta-Miscanthus sinensi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i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Pennisetum alpecuroides, Carex boottiana, and salt marsh vegetation. Thypa orientalis, Spergularia marina, Phragmites communis, Carex scabrifolia, and Triglochin maritimum community. Based on them,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made in 1:50,000 scale.

  • PDF

질소 비료 시용량에 따른 두물차(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의 수량 및 품질 (Effect of Nitrogen Levels on Yield and Quality of 2nd Harvested Tea(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

  • 박장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38-245
    • /
    • 1998
  • 환경오염을 줄임과 동시에 수량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질소시비량이 요구된다. 질소시비량에 따른 두물차의 수량과 품질에 관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토양은 일반토양보다 유기물($49.9g\;kg^{-1}$)과 유효인산($937mg\;kg^{-1}$) 함량이 높았고, pH(5.07)는 낮은 약산성 토양이었다.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량은 증가하였으나, 과도한 질소비료시용에 따른 수량증가는 극히 미미한 편이었다($N=60kg\;10a^{-1}$: 392 kg ${\Rightarrow}$ $N=150kg\;10a^{-1}$ : 403kg).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T-N, total free amino acid, caffeine, chlorophyll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vitamin C, tannine 함량은 감소하였다. Theanine을 포함해 11종의 유리아미노산이 분리되었는데 그들중 theanine함량은 $665{\sim}763mg\;100g^{-1}$을 차지했다. 총 지방산과 카테킨 함량은 비료수준 증가와 별 상관이 없었고, 총 지방산 함량은 $1,742{\sim}2,643mg\;100g^{-1}$, 카테킨 함량은 12.47~13.54%이었다. 질소 $60kg\;10a^{-1}$ 처리구가 다른 처리에 비해 관능검사시 0.5~6.0점 더 높은 점수를 받았고, 전질소 함량도 0~0.37% 더 많았다. 질소 $60kg\;10a^{-1}$처리가 다른 처리에 비해 수량 증가율이 컸고, 차 품질관련 성분 및 품질평가도 우수하여 차나무의 적정시비량이라 생각된다.

  • PDF

부종(浮腫)의 식요방법(食療方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etetic therapy on the edema)

  • 백태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51-160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dietary therapy on the edema based on the literary findings, for clinical treatment and prevention of the edema. Methods : This Research was examined on histories, compositions, applications, and effects of dietetic treatment about 100 cases of dietary therapy of the edema from Chinese literatures. Results : 1. Various vegetables and animals including herbs, grains, vegetables, fruits, food and drink were used for the dietary therapy. 2. Methods of the preparation for use as therapeutics were decoction, pulvis, gruel, cake, tea, paste, gelatin and etc. 3. Frequently used materials were Cyprinus carpio Linnaeus, Cucumis sativus L.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Zea mays, Maydis Stigma, Citrullus vulgaris, Zingiber officinale, Cinnamomum cassia Blume, Allium scorodorpasum var. viviparum Regel, Camellia sinensis, Armeniacae amarum Semen, Phyllostachys bambusoides, Luffa cylindrica, Dioscorea batatas Decne, Panax ginseng, Brassica oleracea and Raphanus sativus. Conclusion : Though dietary therapy for the edema is not based on clinical or experimental data, but through experience. It is mostly based on Yin-Yang and five elements, visceral manifestation, channels and their collateral channels and Oriental herbal medicine theories. If we use them properly according to oriental medicine method, it will be effective on treating and preventing the edema.

매물도${\cdot}$소매물도${\cdot}$어유도의 식생 (The Vegetation of Maemul, Somaemul and Eoyu Islets)

  • 김인택;이지훈;진영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3호
    • /
    • pp.217-221
    • /
    • 2000
  • 본 조사지역은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에 위치하고 있는 섬으로 매물도, 소매물도, 어유도로 구성된다. 본 조사는 1996년 9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수회에 걸쳐 식생을 조사하여 현존식생도와 군락조성표를 작성하였다. 본 조사지역의 식생은 동백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후박나무하위군락, 메밀잣밤나무하위군락, 쥐똥나무하위군락, 소사나무하위군락, 부처손하위군락, 곰솔하위군락), 곰솔군락, 사방오리식재림, 억새군락 등 1개의 식재림을 포함한 총 4개군락과 7개 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본 조사지역인 어유도 북서사면의 동백나무군락, 동서사면의 부처손군락, 매물도의 정상부와 해안암벽부분, 소매물도의 해안암벽부분은 식생 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다. 어유도의 정상부와 소매물도의 정상부는 염소의 방목으로 인한 답압형의 식생이 분포하고, 소매물도의 마을 뒷편의 능선부는 산화로 인해 식생이 많이 파괴된 것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보존이 양호한 편이다.

  • PDF

한국 원예식품의 항산화 비타민 함량 분석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Vitamins in Horticultural foods)

  • 이종미;신계숙;이혜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7-175
    • /
    • 1999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Korean horticultural foods which are, by traditional wisdom, supposed to contain anti-aging substance. All twenty three kinds of plants are chosen as a sample for the experiment in which the content of three main anti-aging nutrients, -carotene, Vitamin C, and Vitamin E are respectively measured by Nilis, Colorimetric, and AOAC method. The result shows: among the samples, top six plants that contain the most -carotene content are high quality tea(Camellia sinensis), thistle(Cirsium japonicum Var.), Angelica keiskei, mulberry leaves(Morus alba l.), field horsetail(Equisetum arvensa), and carrot(Daucus carota), in order; top four for a Vitamin C contents are low quality tea, mulberry leaves, pine leaves(Pinus densiflora), and high quality tea, in order; top four for a Vitamin E contents are persimmon leaves(Diospyros mongolicum) tea, high quality tea, low quality tea, and pine leaves, in order. Drying or boiling process increases the content of -carotene and Vitamin E in high quality tea, dropwort(Oenanthe javanica), field horsetail, and wild aster(Ligularia stenocephala Marsumum et Koldzumi), while, in case of mulberry leaves, drying process lowers them. Vitamin C content strikingly decreases in heating and drying process.

  • PDF

한산도와 추봉도의 식생 (The Vegetations of Hansan and Chubong Islets)

  • 김인택;이지훈;진영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5호
    • /
    • pp.391-395
    • /
    • 2000
  • 본 조사는 1997년 4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의 한산도와 추봉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식생분석을 위해 군락조성표를 작성하였다. 본 조사지역의 식생은 곰솔군락(전형하위군락, 굴참나무하위군락, 소사나무하위군락), 소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편백식재림, 삼나무식재림, 억새군락 등 총 6개 군락과 3개 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본 조사지역인 한산도 제승당 주변의 소나무군락은 식생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지역이지만 도서 전체에 대한 광범위한 생태학적 측면에서의 복원이 필요하며 고란초와 같은 희귀식물, 후박나무와 곰솔 등의 노거수, 후박나무, 동백나무 분포지 등은 보호되어야 한다.

  • PDF

비진도 식물상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An Ecological Study on the Flora of Bijin Island)

  • Kim, Chang Ho;Kwang Seung Lee;Kyu Ha Par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5권4호
    • /
    • pp.164-175
    • /
    • 1982
  • This paper contains the results obtained by the ecological investigation in Bijin island.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during 3 dyas from Aug. 3 to Aug. 5, 1981. The results are followings. The tracheophyta of this island was recoreded as 64 families, 128 genera, 142 species, 21 varieties and 2 forma. Twenty eight species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comprising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Castanopsis cuspidata var. thunbergii, Camellia japonica, etc. wad distributed in the southern area of the island. And there was the wind-break forest mainly consisting of aged Machilus thunbergii, Celtis sinensis and Zelkova serrata in the northern area. The northern area dominated by the second forest of Pinus thunbergii, where the whole residents lead their lives, shows the high population density and pure farming rate, so the natural degree is low. The other hand, there was the well-preserved forest of broad-leaved trees containing Zelkoba serrata. Acer palmatum and Quercus serrata, etc. in southern area having a steep peak, Seonyudai, and no resident. So, the potential vegetation of this island is assumed as the forest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which belongs to the forest of subtropics.

  • PDF

질소 분시횟수가 옥로차엽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Split Application on Growth and Quality of Okro Tea Leaves(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

  • 임근철;박장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3-39
    • /
    • 2001
  • 질소비료를 $3{\sim}7$회 분시하여 옥로차의 수량 및 품질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회 분시가 타처리에 비해 생육과 수량이 많고 타처리에 비해 총질소, 총아미노산, 비타민C 함량이 약간 많았으며 탄닌, 카페인, 엽록소, 총유리당 함량은 3회분시를 제외하고 $4{\sim}7$회 분시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다. 지방산 함량은 $2,888{\sim}2,933mg/100g$이었고, 특히 5회 분시에서는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ld 함량이 가장 많았다. 옥로차 감칠맛 성분인 theanine을 포함해 16종이 아미노산을 분리 정량한 결과 5회 분시가 타처리에 비해 theanine 함량이 $72{\sim}513mg/100g$더 많았다. 관능평가에서 3회 분시가 80.2점으로서 다른 처리보다 낮았고, 5회 처리가 84.7점으로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5회 분시처리가 다른처리에 비해 수량도 양호하고 차 품질도 우수하여 옥로차의 적정 분시첫수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