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ystegia japonica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3초

우리나라 해안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군락 분류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f Coastal Vegetation in Korea)

  • 이용호;오영주;이욱재;나채선;김건옥;홍선희
    • 환경생물
    • /
    • 제34권1호
    • /
    • pp.41-47
    • /
    • 2016
  •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해안 식생의 식생 구조에 대하여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102개 조사구에 대한 식생자료의 분석은 ZM 학파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국내 해안에 발생하는 식물 군집 구분은 총 11개의 군락으로 순비기나무-돌가시나무 군락, 갯메꽃 군락, 통보리사초-갯그령 군락, 갯잔디 군락, 해홍나물 군락, 방석나물 군락, 나문재-가는갯는쟁이군락, 칠면초 군락, 천일사초 군락, 갈대 군락, 산조풀 군락이 구분되었다. 각 군락 들은 발생지역과 환경에서 다양성을 보였다. 식생 자료에 대한 주성분분석 (PCA) 결과 식물사회학적 군락 분류 결과를 지지하였다.

7종 야생초의 식용화를 위한 조리방법에 관한 연구-관능검사를 중심으로- (A Study of Cooking Method of 7 Kinds of Wild Grasses for the Utility as an Edible Vegetables)

  • 이혜정;이경희;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60-266
    • /
    • 1994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investigation of the appreciable cooking condition in seven wild grasses, an evening primerose(Oenothera lamarckiana Seringe, S$_1$), a spiderwort(Commelina Communis L. S$_2$), the flower of a convolvulus(Calystegia Ja-ponica form Vulgaris gaea, S$_3$), So Ru Jaeng Yi(Portulaca Oleracea, S$_4$), Shoe Bi Rum(Portulacae Oleracea L, S$_5$), O Yi Pul(Sanguisorb aOfficinalis, S$_6$), Jip Sin Na Mul(Agrimonia poisa var. Japonica Nakai, S$_7$), in order to find out the importance as an useful vegetables. In this work 7 wild grasses with different soaking solutions and boiling conditions were examined to investigation the preference factors by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for sampl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1% and 5% level There were high significant differents in samples boiled for different time about astringent taste, bitter taste, perfume, green color and grassy smell at 1% and 5% level. In cooking methods of 7 samples, Namul was liked best and Guk, Salad and Fritter were followed. The condiments which were used for seasoning Namul were Gochujang. Soy Paste, Salt. Gochujang was most preferred.

  • PDF

Screening of Anti-inflammatory Effect of Halophyte Extracts

  • Jae-Bin Seo;Young-Jae Song;Sa-Haeng Kang;Se-Woong-Ko;Dong-Keun Kim;Tae-Hyun Kim;Jeong-Hyang Park;Ju-Ryun Soh;Jong-Sik Ji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79-79
    • /
    • 2020
  • Halophyte is a plant that has evolved to grow well in salty places, and is mainly distributed in coastal wetlands, sand dunes, salt fields, and reclaimed lands in tidal flats and river estuaries. Because it grows in the soil where seawater enters and exits, it is very abound in natural minerals and produces certain metabolites to survive sustainably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anti-inflammatory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15 kinds of halophyte to secure data on halophytes of infinite value as functional materia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lect a group of halophytes that regulate iNOS expression, which is involved in the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 LPS-induced macrophages. Among the 15 species of halophyte, except for Triglochin maritimum, Suaeda japonica, and Carex pumila, NO production was reduced in 12 species of halophytes, and 7 species of halophyte (Suaeda asparagoides, Artemisia fukudo, Spergularia marina, Aster tripolium, Suaeda australis, Atriplex subcordata, Calystegia soldanella)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TNF-α and IL-1β.

  • PDF

부안댐 기수역내부의 염생식물에 관한 생태적 주제성 (Ecological Motif on the Salt-Water Plants of Brackish Area in Buandam)

  • 오현경;변무섭;이명우;황보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1-318
    • /
    • 2006
  • 본 연구는 전북부안군 부안댐 기수역 내부의 염생식물 현황과 군락 종조성 및 상재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염생식물에는 6과 13속 14종 2변종 총16종류가 확인되었으며, 이 중 벼과식물이 5종류, 명아주과와 국화과 식물이 각각 4종류로 분석되었다. 염생식물 군락으로는 갯잔디-비쑥군락, 비쑥-갯사상자군락, 갯질경-비쑥군락, 비쑥구락, 칠면초군락, 갯보리군락, 나문재군락, 갯잔디군락, 갯잔디-칠면초군락, 모새달군락 등 총 10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상재도 분석 결과, 군락구분종에는 I 에 모새달, 갯사상자, 갯질경, 칠면초, 갯보리, 나문재 등이 확인되었으며 II 에는 갯잔디, 비쑥 등으로 분석되었으며, 수반종에는 I 에 갯보리, 갯강아지풀, 물피, 모새달, 가는갯능쟁이 퉁퉁마디, 갯메꽃, 갯개미취 등이, II 에 갯잔디, 나문재, 사철쑥 등이, III 에 칠면초와 비쑥, IV에 갯사상자, V에는 갯질경과 큰비쑥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한정된 공간에 다양한 염생식물이 출현하고 기수역의 녹화에 기여할 수 있는 모새달군락을 중심으로 생태학습이 가능한 공간으로 기수역의 생태적 주제성을 발현할 수 있는 적지이다.

실외 화분용 자생식물 선발 (Selection of Korean Native Plants as Outdoor Pot Plants)

  • 손관화;김훈식
    • 화훼연구
    • /
    • 제18권2호
    • /
    • pp.98-109
    • /
    • 2010
  • 국내에 아직 많이 이용되지 않는 식물 중 실외 정원의 화분에서 봄부터 가을까지 잘 견뎌낼 수 있는 자생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 30여 지역을 탐사하였다. 일반적인 화분(직경 27.5 cm ${\times}$ 높이 27.5 cm) 과 걸이용 화분(직경 27.5 cm ${\times}$ 높이 13 cm)에 식물을 채취하여 심거나 파종하여 충남 성환(북위 36''56' 동경 127''09')의 정원에서 재배하여 생육이 좋은 것으로 파악된 자생식물은 일반적인 화분용으로는 13과 29속 38종(초본식물 37종류, 목본식물 1종류)이었으며, 걸이용 화분용으로는 28과 43속 46종(초본식물 29종류, 목본식물 17종류)이었다. 이 중 이용 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식물은, 일반적인 화분에는 박주가리과의 박주가리, 도라지과의 염아자, 국화과의 인진쑥 사자발쑥 물쑥, 사초과의 가는그늘사초, 화본과의 수크령 강아지풀, 꿀풀과의 배초향 긴병꽃풀 꽃향유 산박하 들깨풀, 콩과의 털갈퀴나물, 후추과의 후추등, 장미과의 분홍찔레의 16종이었고, 걸이용 화분용으로는 박주가리과의 박주가리, 국화과의 좀씀바귀, 메꽃과의 메꽃 둥근잎유홍초, 마과의 마, 꿀풀과의 긴병꽃풀 백리향, 콩과의 제주달구지풀 털갈퀴나물, 방기과의 새모래덩굴, 후추과의 후추등, 미나리아재비과의 긴잎으아리, 장미과의 분홍찔레, 양지꽃, 꼭두서니과의 계요등, 꼭두서니, 포도과의 담쟁이 덩굴 18종이었다.

제초제(除草劑)를 이용(利用)한 과수원(果樹園)의 잡초방제(雜草防除) 체계(體系) (Chemical Weed Control Systems in Orchard)

  • 변종영;이재창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3-56
    • /
    • 1982
  • 중부지방(中部地方)에서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과수원(果樹園)의 잡초방제(雜草防除) 체계(體系)를 확립(確立)하기 위하여 Paraquat 100g/10a와 Gly-phosate 120g/10a를 철포(撤布)한 다음, Oxyfluorfen47~117g/10a, Simazine 100, 200g/10 a, Alachlor 130 g/10 a, Paraquat 100g/10a와 Glyphosate 120g/10a를 처리(處理)하여 제초효과(除草効果)를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1. 시험수행전(試驗遂行前) 5월(月)에 발생(發生)된 우점잡초(優占雜草)는 쑥, 메꽃, 다닥냉이와 망초이었고, 시험기간(試驗期間)인 6~8월(月)에는 바랭이가 우점화(優占化)되었다. 2. Glyphosate 120g/10a를 철포(撤布)하고 Oxyfluorfen 94g/10a 이상(以上)을 토양처리(土壤處理)하면 제초효과(除草効果)가 우수하여 잡초(雜草)의 발생본수(發生本數)와 생체중(生體重)이 현저히 감소(減少)되었다. 3. Paraquat 100g/10a를 철포(撤布)한 후 Oxyfluerfen 117g/10a를 토양처리(土壤處理)하거나 혹은 Glyphosate 120g/10a를 2회(回) 철포(撤布)한 경우에도 제초효과(除草効果)는 양호(良好)하였다.

  • PDF

동해안 해수욕장 주변의 해안사구 식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in the Coastal Dunes near the Swimming Beaches on the East Sea Coast, South Korea)

  • 조우;송홍선;홍성철;최덕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99-505
    • /
    • 2009
  • 한반도 동해안 해수욕장 주변의 해안사구 식생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물군락은 좀보리사초군락, 우산잔디군락, 왕잔디군락, 해당화군락, 순비기나무군락, 통보리사초 전형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군락은 통보리사초, 갯메꽃, 갯씀바귀, 갯그령, 갯완두, 갯방풍의 식별종으로 보아 갯방풍군강(class)의 통보리사초군목에 포함되었다. 순비기나무군락은 해수욕장 주변의 해안사구 식물군락 중 가장 이질적이었으며 왕잔디군락은 전형적인 해안사구 식물군락과 가장 가깝게 결합하였다. 해안사구의 배후지 근처에 나타나는 해당화군락과 순비기나무군락은 해수욕장 주변의 인위적 간섭이나 교란 등에 의하여 사빈의 해안사구에 출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약용식물 섬괴불나무(Lonicera insularis) 자생지 생육환경 및 입지환경 특성 (Natur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Lonicera insularis, Medicinal Plants)

  • 손용환;김현준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1-61
    • /
    • 2022
  • 섬괴불나무(Lonicera insularis Nakai)는 인동과(Caprifoliaceae) 인동속(Lonicera) 식물로 우리나라 울릉도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인동과 식물 중 인동(L. japonica Thunb.), 괴불나무[L. maackii (Rupr.) Maxim] 등 다수의 분류군이 약리효능이 입증되었으며, 맛이 뛰어나 차, 술, 음료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 중 섬괴불나무는 최근 면역자극 및 항비만 활성 등 다양한 약효가 확인되어 약용자원으로서의 잠재적 가치가 큰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특산식물인 섬괴불나무의 적정 자생지를 명확하게 구명하여 보전생물학적 연구, 재배 및 산업화와 같은 현지 외 보전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울릉도에서 확인된 섬괴불나무의 주요 분포지는 4개소로 해안도로 일대에 자생하고 있었다. 입지환경은 해발고도 8-20 m, 사면 방위는 남사면, 경사는 15-30°로 완경사지에서 주로 자생하고 있었다. 방형구(10×10 m) 내 개체수는 5-25 개체로 대부분 군락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개 조사구에 대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사구는 곰솔 군집(Pinus thunbergii Parl.)으로 상층의 발달이 거의 없는 전형적인 해안 식생의 구조로 확인되었다. 관목층은 보리장나무(Elaeagnus glabra Thunb.), 송악[Hedera rhombea (Miq.) Bean], 머루(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등이 경쟁관계에 있었으며, 초본층은 왕호장근[Reynoutria sachalinensis (F.Schmidt) Nakai], 갯메꽃[Calystegia soldanella (L.) R.Br], 해국(Aster spathulifolius Maxim.) 등으로 인하여 섬괴불나무는 피압된 것으로 판단된다. 군집의 안전성, 다양성을 나타내는 척도인 종다양성지수는 1.259, 최대종다양성지수는 1.286, 균재도는 0.979, 우점도는 0.021로 확인되었다.

  • PDF

한반도 해안식물 10종의 분포 변화 추정 (Estimating distribution changes of ten coastal plant species on the Korean Peninsula)

  • 박종수;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54-165
    • /
    • 2020
  • 염습지 개발과 기후온난화로 인해 해안지역의 생물 서식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환경변화로 인한 한반도 해안식물들의 미래분포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MaxEn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안식물 10종의 예상분포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은 한반도 동·서·남해안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예상분포지 추정은 해안식물의 동아시아 지역 분포자료와 WorldClim 2.0의 19개 기후변수를 사용하였다. 3개의 대기대순환모델(general circulation model; CCSM4, MIROC-ESM 그리고 MPI-ESM-LR)과 4가지 온실가스시나리오(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2.5, 4.5, 6.0 그리고 8.5), 그리고 2개 기간(2050와 2070)이 반영된 미래 기후변수로 미래 예상분포지를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연평균 기온이 적정 분포지 추정에 가장 높은 기여를 하였다. 미래에 분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류군은 갯메꽃, 갯방풍, 갯씀바귀, 갯완두, 해란초, 참골무꽃, 순비기나무였으며, 분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류군은 갯사상자로 나타났다. 미래 분포가 현재와 비슷할 것으로 생각되는 분류군은 수송나물, 통보리사초였다. 각 식물의 미래 예상분포지를 종합하여 분포평균을 계산한 결과 서해와 남해가 동해보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결과는 해안식물의 보전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Carfentrazone-ethyl의 단제와 Glyphosate 및 Glufosinate와의 혼합처리에 의한 과수원에서의 잡초방제효과 (Evaluation of Carfentrazone-ethyl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Glyphosate or Glufosinate for Weed Control in Orchards)

  • 이희재;한성욱;구자옥;김명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6-261
    • /
    • 1997
  • 배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종을 잡초생장기인 6월 중순에 조사한 결과 광엽초종은 쑥, 명아주, 여뀌, 망초, 닭의장풀, 메꽃, 비름 등이 우점발생하였고 화본과초종은 피, 바랭이, 강아지풀 등이 발생빈도가 높은 경향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과수원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잡초종들이 거의 분포하였다. 새로운 경엽처리 제초제인 carfentrazone-ethyl의 단제와 glyphosate 및 glufosinate의 약량에 따른 혼합처리시 과수에 대한 약해증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carfentrazone-ethyl의 단제처리구에서는 광엽초종에 대한 살초효과는 뚜렷하였으나 화본과 및 사초과초종에 대한 효과는 미약하였다. Glyphosate나 glufosinate의 단제 처리구에서 보다 carfentrazone-ethyl과의 혼합처리구에서 glyphosate나 glufosinate를 표준약량의 절반으로 혼합하더라도 약효발현이 빠르게 나타났으며 혼합처리에 의해 화본과 및 사초과초종에 대한 살초효과가 상승하는 경향이었다. 처리후 10일까지 carfentrazone-ethyl은 glyphosate와의 혼합처리구에서보다 glufosinate와의 혼합처리구에서 광엽 및 화본과초종에 대한 살초효과가 높았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glyphosate와의 혼합처리구에서 약효의 지속기간이 길어점에 따라 후발초종에 대한 방제효과도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carfentrazone-ethyl은 glyphosate와 혼합처리시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종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