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Motif on the Salt-Water Plants of Brackish Area in Buandam

부안댐 기수역내부의 염생식물에 관한 생태적 주제성

  • 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Beon Mu-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Myung-W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Whang Bo-Chu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In an estuary, ecological dynamic is modified for a long time and memorized in soils and landscapes. As landscape memory, ecological motif is defined with dominance and rarity of veget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isting vegetation character and to propose the ecological motif of this area. The present salt-water plants, community species composition and constancy degree around the estuary in Buandam watershed Buan-gun, Jeollabuk-do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lora of the salt-water plants was listed as 16 taxa; 6 families,13 genera,14 species and 2 varieties. 5 taxa were Gramineae, 4 taxa Chenopodiaceae, and 4 taxa Comrositae. The salt-water plant communities are a total of 10 communities as listed; Zoysia sinica-Artemisia scoparia community, Phacelurus latifolius community, Artemisia scoparia Cnidium japonicum community, Limonium tetragonum -Artemisia scoparia community, Artemisia scoparia community, Suaeda japonica community, Elymus dahuricus community, Suaeda asparagoides community, Zoysia sinica community, and Zoysia sinica-Suaeda japonica community. Analyzed by the community classification species class of constancy degree, Phacelurus latifolius, Cnidium japonicum, Limonium tetragonum, Suaeda japonica, Elymus dahuricus and Suaeda asparagoides belong to I, Zoysia sinica and Artemisia scoparia to II. Elymus dahuricus,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ys, Echinochloa crusgalli var. oryzicola, Phacelurus latifolius, Atriplex gmelini, Salicornia herbacea, Calystegia soldanella and Aster tripolium belong to the accompaniment species to I: Zoysia sinica, Suaeda asparagoides, Artemisia capillaris to II; Suaeda japonica, Artemisia scoparia to III ; Cnidium japonicum to IV: Limonium tetragonum, Artemisia fukudo to V. And the ecological motif is the Phacelurus latifolius community.

본 연구는 전북부안군 부안댐 기수역 내부의 염생식물 현황과 군락 종조성 및 상재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염생식물에는 6과 13속 14종 2변종 총16종류가 확인되었으며, 이 중 벼과식물이 5종류, 명아주과와 국화과 식물이 각각 4종류로 분석되었다. 염생식물 군락으로는 갯잔디-비쑥군락, 비쑥-갯사상자군락, 갯질경-비쑥군락, 비쑥구락, 칠면초군락, 갯보리군락, 나문재군락, 갯잔디군락, 갯잔디-칠면초군락, 모새달군락 등 총 10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상재도 분석 결과, 군락구분종에는 I 에 모새달, 갯사상자, 갯질경, 칠면초, 갯보리, 나문재 등이 확인되었으며 II 에는 갯잔디, 비쑥 등으로 분석되었으며, 수반종에는 I 에 갯보리, 갯강아지풀, 물피, 모새달, 가는갯능쟁이 퉁퉁마디, 갯메꽃, 갯개미취 등이, II 에 갯잔디, 나문재, 사철쑥 등이, III 에 칠면초와 비쑥, IV에 갯사상자, V에는 갯질경과 큰비쑥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한정된 공간에 다양한 염생식물이 출현하고 기수역의 녹화에 기여할 수 있는 모새달군락을 중심으로 생태학습이 가능한 공간으로 기수역의 생태적 주제성을 발현할 수 있는 적지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철환(2001) 한국의 갯벌-환경, 생물 그리고 인간.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1073쪽
  2. 김귀곤(2003) 습지와 환경. 아카데미서적. 서울, 314-316
  3. 김종원(2004) 산림, 조경, 생태, 환경을 위한 식물사회학적 녹지생태학. 월드사이언스. 서울, 308쪽
  4. 김창환, 이경보, 김재덕, 조태동, 김문숙(2005) 전북 동진강 하구역 일대의 염습지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4(9): 817-825 https://doi.org/10.5322/JES.2005.14.9.817
  5. 김철수(1971) 간척지 식물군락형성과정에 관한 연구-목포 지방을 중심으로- 한식지 14: 27-33
  6. 김철수, 송태곤(1983) 해변염생식물군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4)-입지조건이 다른 염생식물군집- 한국생태학회지 6(3): 167-176
  7. 김철수, 송태곤(1985) 금호도와 산이반도의 식생 연구. 연안생물연구 2: 1-22
  8. 김철수, 임병선(1988) 한국 서남해안 간석지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1(4): 175-192
  9. 김철수, 장윤석, 오장근(1987) 우이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연안생물연구 4: 1-56
  10. 김하송, 임병선, 이점숙, 박송희(2003) 가사도 폐염전의 식생 현황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2): 123-132
  11. 산림청, 임업연구원(1996)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보존지침 및 대상식물-.140쪽
  12. 심현보, 서석민, 최병희(2002) 경기만 연안지역의 염생식물 분포.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20(1): 25-34
  13. 양효식(1999) 전남 해안지역에 분포하는 폐염전 염생식물의 군락분류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2(5): 265-270
  14. 이승호(1998) 한국서남해안 간석지의 식생변화에 관한연구.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쪽
  15. 이우철, 전상근(1983) 한국 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남해안의 사구식물군락의 종조성과 현존량-. 한국생태학회지 6(3): 177-186
  16. 이우철, 전상근(1984) 한국 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서해안의 사구식생에 관하여-. 한국생태학회지 7(2): 74-84
  17. 이점숙(1988) 만경강 하구 염습지 식생분포에 관한 연구.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6(1): 1-10
  18. 이점숙(1989)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 염습지의 조위 균배에 따른 염생식물의 정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183쪽
  19. 이점숙, 조두성(2000)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위도 해안의 염생식물- 환경부. 1-16
  20. 이창복(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990쪽
  21. 임병선(1989) 토양의 수분포댄셜과 식물의 삼투조절능에 의한 해안 식물 군락의 분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6쪽
  22. 임병선, 이점숙(1986) 염습지 환경변화에 따른 퉁퉁마디와 칠면초의 적응. 환경생물지 4: 15-25
  23. 임병선, 이점숙(1998) 한국 서남해안 습지의 식물군집에 미치는 토양요인. 한국생태학회지 21(4): 321-328
  24. 임병선, 이점숙, 김하송, 김종욱, 이승호(1999) 영덕 연안의 사구 염생식물분포와현존량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연안환경연구 16: 15-22
  25. 환경부(1999) 제2차 전국자연환경 조사 지침-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 포함한 식물상-.62-89
  26.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Springer -Verlag, vien, New York, 865pp
  27. Ellenberg, H(1956)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Stuttgart, 136.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865pp
  28. Ihm Byung-Sun, Lee Jeom-Sook(1998) Soil factors affecting the plant communities of wetland on southwe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Ecol. 21: 321-328
  29. Pulliam, H. R., B. R. Johnson(2002) Ecology's new paradigm: what does it offer designers and planners? In Ecology and design Johnson, B. R. and K. Hill eds., Island Press, Washington, 5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