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cium Content

검색결과 1,565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 of milk and milk products consumption on physical growth and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dolescents

  • Kim, Sun Hyo;Kim, Woo Kyoung;Kang, Myung-H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4호
    • /
    • pp.309-314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current status of calcium intake from milk and milk products, physical growth and bone mineral density in 664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15-17 years. In the study, the current status of calcium intake from milk and milk products was analyzed, and the height,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of the right heel bone (calcaneus) were measured. The daily calcium intake of milk and milk products was calculated as the 'dairy equivalent of calcium', which is the calcium content in 200 mL of white milk. The cutoffs of tertiles of the dairy equivalent of calcium were calculated and then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tertiles, Q1 group (lower intake group), Q2 group (middle intake group) and Q3 group (upper intake group). The daily calcium intake of milk and milk products in Q1, Q2 and Q3 groups was 16.2 mg, 99.7 mg, and 284.0 mg, respectively, and the ratio of milk and milk product consumption to the daily total calcium intake was 5.4%, 27.4%, and 49.7%, respectively. The ratio of total calcium intake to the daily recommended intake in study subjects was 30.5% in Q1, 42.3% in Q2, and 60.7% in Q3,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Height, body weight, BMI, and % of body fat in three tertile groups (Q1, Q2 and Q3)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the T scores for bone mineral density in female students in three tertile groups (Q1, Q2 and Q3)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The study showed that the intake of milk and milk products in adolescents, particularly in girls, can improve the bone mineral density without increasing body weight, and thus confirmed that milk intake is important in adolescence.

칼슘 벤토나이트-모래 혼합차수재의 투수 및 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ermeability and Structure for Calcium Bentonite-Sand Mixtures)

  • 윤성열;안현규;오민아;이재영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1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칼슘 벤토나이트를 차수재로 활용하기 위해 칼슘 벤토나이트-모래 혼합물의 투수특성 및 구조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칼슘 벤토나이트와 모래에 대한 기본적인 물리 화학적 특성 분석, 다짐시험, 투수시험 및 전자주사현미경 분석(SEM)을 진행하였다. 칼슘 벤토나이트의 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칼슘 벤토나이트-모래 혼합물의 건조 밀도, 투수계수는 낮아지고 최적함수비는 증가하였다. 특히, 전자주사현미경 분석은 칼슘 벤토나이트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칼슘 벤토나이트 내 몬모릴로나이트의 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칼슘 벤토나이트의 혼합비가 40% 이상일 때 매립시설의 차수재 조건($1.0{\times}10^{-7}cm/sec$ 이하)을 만족하였다. 본 연구는 차수재로 칼슘 벤토나이트의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칼슘 벤토나이트는 40% 이상 혼합 시 나트륨 벤토나이트 7%와 비슷한 투수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칼슘 벤토나이트는 차수재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칼슘施肥가 감자品種 '大西'의 內部褐色班點 發生에 미치는 影響 (Effects of Calcium Fertilization on the Occurrence of the Internal Brown Spot in Solanum tuberosum cv. Atlantic)

  • 김현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16
    • /
    • 1997
  • 칼슘시비량(施肥量)이 가공용 대서품종(大西品種)의 내부갈색반점발생(內部褐色斑點發生)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칼슘시비구가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해 내부갈색반점(內部褐色斑點) 발생율(發生率)이 상당히 감소 되었으나 칼슘시비구간에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발생율이 감소하는 경향이나 유의성은 없었다 .칼슘시비에 따른 생육상을 보면 발아율(發芽率), 초장(草長), 경수(莖數)등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生草重(生草重)에서는 Ca (200kg/ha)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중심공동율(中心空洞率) 발생율(發生率)은 4처리 모두 16%이상 높은 발생율을 보였으나 칼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내부갈색반점(內部褐色斑點) 발생(發生)은 괴경내에의 칼슘결핍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대서품종 재배시 칼슘시비를 해야 발생율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요소, 질산암모늄 및 규회석분말이 칼리의 흡수 및 배추의 수량에 미친 영향 (Effects of Urea, Ammonium Nitrate and Calcium Silicate on the Absorption, Translocation of Potassium and Yield of Chinese Cabbage (Brassica Perkinnensis, Var. Samjin))

  • 오왕근;김재영;김성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37-340
    • /
    • 1987
  • 규회석 분말을 시용하는 경우와 시용하지 않는 경우에 가을배추(삼진)에 대한 칼리비료와 요소, 질산 암모니아의 병, 단용효과를 밝히고자 삼각사양토에서 실시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규회석 분말의 사용은 배추재배를 비교적 용이하게 하였다. 이 조건하에서 배추에 대한 요소와 질산 암모니아의 효과는 차이가 없었다. 2. 규회석 분말을 사용하지 않는 토양에서는 요소보다 질산 암모니아가 배추를 증수하게 하였으며 그 효과는 더 많은 토양칼리을 이용하게 한데 기인하였다. 3. 칼리의 병용은 배추의 수량을 높일 뿐만 아니라 가식부의 생산비를 높였으며 그 효과는 특히 규회석분말을 쓰지 않는 토양에서 컸다. 4. 칼륨은 배추의 외엽에서 내엽으로 쉽게 이동했으며, K원으로서 외엽의 그 함량이 배추의 수량을 지배해서 건조 외엽의 함량 20me/100g 이하에서는 배추의 생체중이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 PDF

액상칼슘 첨가 김치의 숙성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ace of Liquid Calcium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장세영;김옥미;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72-47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액상칼슘을 첨가하여 김치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액상칼슘 첨가구들에서 숙성 중 pH감소가 지연되었고 산도는 더 낮게 나타났으며 액상칼슘 $3.5\%$ (v/w)첨가구보다 $7.0\%$ (v/w)첨가구에서 더 효과적이였다. 총균수 및 젖산균수를 조사한 결과 숙성 8일째까지 액상칼슘 첨가구들이 낮게 나타났으나 8일 이후에는 더 많은 수를 나타내었다. 모든 구간에서 L값과 b값은 조금씩 감소하였으며 a값은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대조구의 칼슘함량은 $50{\sim}60\;mg\%$이며 액상칼슘 A 농도 $3.5\%$ (v/w)와 $7.0\%$ (v/w) 첨가구에서 $103{\sim}110\;mg\%$$145{\sim}163\;mg\%$로 액상칼슘 B 농도 $3.5\%$ (v/w)와 $7.0\%$ (v/w) 첨가구에서는 $140{\sim}151\;mg\%$$210{\sim}220\;mg\%$으로 나타나 액상칼슘 B를 $7.0\%$ (v/w) 첨가하면 고칼슘 김치의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Ethychlozate와 Ca제제 혼용살포가 하우스밀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liar Application of Ethychlozate Mixed with Calcium Formulae on a Fruit Quality of Satsuma Mandarin ('Miyagawa Wase') in Plastic Film House Cultivation)

  • 김용호;문덕영;김한용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5호
    • /
    • pp.605-611
    • /
    • 2000
  • 과실비대 성숙기가 여름철 고온환경에 처해지는 후기작형(12월 하순 이후 가온) 하우스 밀감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부피경감을 위하여 ethychlozate와의 혼용에 적합한 칼슘제제를 선발하고자 ethychlozate에 clef-non, suical, cell-bine, clacium acetate monohydrate를 혼용하여 살포하고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Ethychlozate에 clef-non 또는 suical 칼슘제제를 혼용하여 살포하여 주는 것이 하우스밀감의 착색을 촉진시키고 또한 착색도 a값이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부피과가 발생되지 않아서 상품성을 높일 수 있었다. 환원당은 무처리, ethychozate 단용구, ethychlozate+clef- non, ethychlozate+suical, ethychlozate+cell-bine, ethychlozate+calcium acetate monohydrate에서 각각 4.98, 5.30, 5.59, 5.00, 5.20, 4.72%로 ethychlozate에 clef-non을 혼용하여 주는 것이 무처리에 비해 0.61% 높았으며 자당과 총당도 이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Brix 당도는 ethychozate 단용구, ethychlozate+clef-non, ethychlozat+suical, ethychlozate+cell-bine, ethychlozate+calcium acetate monohydrate에서 각각 11.33, 12.20, 12.70, 12.00, 11.93, $11.40^{\circ}Brix$로 ethychlozate 단용구와 calcium acetate monohydrate를 제외한 칼슘제제 혼용구에서 $12^{\circ}Brix$ 이상으로 높은 편이었는데, 특히 clef-non 혼용구가 $12.70^{\circ}Brix$로 가장 높았으며 당산비도 이와 유사한 경향이었고, 산도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생활폐기물 소각재중 바닥재를 이용한 11CaOㆍ$7Al_2O_3$$CaCl_2$클링커의 제조 (Manufacture of 11CaOㆍ$7Al_2O_3$$CaCl_2$Clinker Using the Bottom Ash of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Ash)

  • 안지환;김형석;한기천;조진상;한기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1권4호
    • /
    • pp.27-36
    • /
    • 2002
  • 생활폐기물의 소각으로 발생되는 바닥재(bottom ash)로 calcium-chloroaluminate($l1CaOㆍ7Al_2$$O_3$$CaCl_2$)가 함유된 클링커를 제조한 후 이들 클링커의 수화반응성 및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혼합 사용할 때의 압축강도 및 중금속 용출특성을 연구하였다. 시약으로 calcium-chloroaluminate를 제조한 결과. calcium-chloroaluminate는 80$0^{\circ}C$부터 생성되며, $CaSO_4$$Ca(OH)_2$ 와의 수화반응에 의해 ettringite($3CaOㆍAl_2$$O_3$$3CaSO_4$$32H_2$O)가 생성된다. 4 mesh 이하의 바닥재를 분쇄하지 않고 온도별로 1시간 소성한 결과, 80$0^{\circ}C$부터 calcium-chloroaluminate가 30 mesh 이하의 입도에서 합성되었다. $1,000^{\circ}C$에서 소성한 30 mesh 이하의 바닥재에 무수석고($CaSO_4$)를 10 : 6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이들 혼합물을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3~13 wt.% 첨가하여 제조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 이들 혼합물의 치환량이 11 wt.%까지 증가됨에 따라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압축강도보다 높았다. 각 모르타르 공시체를 1 mm 이하로 분쇄하여 중금속 용출시험 결과, 용출된 중금속의 농도는 환경규제치보다 낮았다.

폐 굴껍질 이용 침강성 탄산칼슘 제조에서 교반속도와 첨가제가 Vaterite 함유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itation and Additive on the Vaterite Contents of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from Oyster Shell Waste)

  • 박영철
    • 청정기술
    • /
    • 제29권2호
    • /
    • pp.95-101
    • /
    • 2023
  • 폐굴껍질을 원료로 vaterite 형 침강성 탄산칼슘 제조 실험을 하였다. 굴껍질을 800℃의 온도에서 산화칼슘이 주성분인 소성 굴껍질을 제조하였다. 이 굴껍질을 질산이나 염산 용액에 녹여 0.1 M 질산칼슘이나 염화칼슘 수용액을 만들고, 여러 실험 조건에서 0.1 M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탄산화 반응을 시켰다. 실험 조건은 aspatic acid 첨가량, 반응온도, 교반속도, NH4OH 첨가량, 반응시간, 용해 산 종류 등이다. XRD, SEM, Size 분석을 하고 vaterite 함유량을 계산하였다. 25℃, 600 rpm, aspatic acid 0.1몰/ 1몰 CaO과 2 cm3의 NH4OH를 첨가한 최적 조건에서 1시간 반응에서 vaterite 함유량 95.9%의 구형의 침강성 탄산칼슘을 합성하였다. 평균 입경은 12.11 ㎛이었다. 고 vaterite 함유 탄산칼슘은 의료용, 식용, 잉크첨가제 등 고부가가치 탄산칼슘으로 활용된다.

자건대멸, 칼슘강화소재를 첨가한 우유 및 칼슘강화우유가 흰쥐의 칼슘흡수율과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lk with Boiled-Dried Large Anchovy, Calcium-Fortifying Materials and Fortified-Calcium Milk on Calcium Absorption Rate and Bone Metabolism in Rats)

  • 조진호;김병기;한찬규;정은봉;조승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59-464
    • /
    • 2008
  • 본 연구는 고칼슘멸치가 흰쥐의 칼슘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처리는 시유와 칼슘강화우유, 칼슘강화소재(탄산칼슘, 젖산칼슘) 및 고칼슘대멸 등 5처리군으로 하였고, 대멸분말의 칼슘함량을 고려하여 최종식이의 칼슘함량은 1%가 되도록 semi-purified diet(AINdiet)에 혼합한 식이를 5주 동안 급여하였다. 대퇴골의 길이는 대조군인 우유군(M)와 칼슘강화우유군(M2)이 실험군 중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길었고(p<0.05), BMD, BMC 및 칼슘함량은 고칼슘멸치군(MA)이 실험군 중 가장 높았다. 체외(in vitro) 칼슘흡수율은 고칼슘대멸군이 7.30%로 가장 높았고, 생체내(in vivo) 칼슘흡수율은 실험군간 차이는 없었지만 고칼슘대멸군이 27.50%로 가장 높았다.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과 고칼슘대멸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Creatinine 농도는 대조군, 고칼슘대멸군 및 탄산칼슘군이 칼슘강화우유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았다(p<0.05). 칼슘과 osteocalcin 농도 및 ALP활성은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고칼슘대멸군이 높았다. SGOT활성은 칼슘강화우유군에 비해 대조군, 고칼슘대멸군 및 탄산칼슘군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고칼슘대멸군은 칼슘강화소재와 칼슘강화우유에 비해 대퇴골의 BMD, BMC 및 칼슘함량을 증가시켰으며, 생체내외(in vivo, in vitro) 칼슘흡수율에서도 다른 처리군보다 높았다. 본 결과는 대멸을 활용한 고칼슘식품 개발에 유용한 평가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경북지역 복숭아 과수원 토양 화학성 및 복숭아 엽의 양분함량 조사 (Soil Chemical Properties of Peach Orchard and Nutrient Content of Peach Leaves In Gyeongbuk Area)

  • 서영진;김종수;김재규;조제욱;권태영;이재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5-184
    • /
    • 2002
  • 복숭아 주산지역인 청도, 영덕, 영천지역 60개 과원을 대상으로 토양의 화학적 특성 및 엽중 양분함량을 조사하였다. 표토의 pH는 평균 4.8정도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고, 치환성 칼슘함량은 $3.66cmol^+kg^{-1}$, 석회 요구량은 $3,970kg\;ha^{-1}$정도였다. 산간지 토양이 평야지에 비해 석회요구량이 많았고 치환성 칼륨 및 마그네슘함량이 높았으며 양토에서 석회요구량이 가장 많았고 유효붕소함량은 양토와 사양토에서 높았다. 경작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심토의 유기물함량, 표토와 심토의 칼슘함량이 증가하였고 심토의 유효인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복숭아 엽중 질소와 인산함량은 적정범위에 비해 높았고 칼슘함량은 적정범위에 비해 낮았으며 유명, 창방조생등의 품종이 천홍, 선광등 nectarine 계통에 비해 칼륨함량이 높았다. 토양 유기물함량과 식물체의 칼륨함량과 정의 상관, 칼슘함량과는 부의 상관이었고 치환성 마그네슘함량과 식물체의 칼슘함량과는 부의 상관, 마그네슘함량과는 정의 상관이었다. 따라서 경북지역 복숭아 과원은 토양산도의 교정, 퇴비, 질소 및 인산질 비료의 사용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