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cium Chloride

검색결과 620건 처리시간 0.034초

치과치료용 약물이 치수신경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NTAL THERAPEUTIC AGENTS ON THE RESPONSE OF THE PULP NERVE)

  • 권오양;윤수한;이종흔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5권1호
    • /
    • pp.1-15
    • /
    • 199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ntal therapeutic agent on conduction velocity and threshold current of intradental A- and C-fibers in the cat. Inferior alveolar nerve of cat anesthetized with sodium pentobarbital was exposed and dissected until response of functional single pulp nerve until could be evoked by monopolar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crown of the lower left canine teeth. 10ms rectangular pulse was used to determine the threshold current and 1ms rectangular pulse was used to determine conduction velocity. After application of calcium chloride (1, 2, 6M), calcium hydroxide mixed with saline, potassium chloride (0.2, 0.8, 1.6M), eugenol, zinc oxide eugenol to the cavity on the labial surface, conduction velocity and threshold current of single pulp nerve unit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10 cats, 24 $A{\delta}$- and 11 C- pulp nerve units were recorded. The mean conduction velocities of $A{\delta}$- and C-fibers were 7.5m/sec (SD=5.8) and 1.2m/sec (SD=0.4), respectively. The mean threshold current was $12.3{\mu}A$ (SD=5.3) for $A{\delta}$-fibers and $24.9{\mu}A$ (SD=8.1) for C-fibers. 1, 2, 6M calcium chloride caused decrease of conduction velocity and remarkable increase of threshold current in $A{\delta}$- and C-fibers. The effect of calcium hydroxide mixed with saline was similar but smaller than calcium chloride solution. 0.2M potassium chloride had insignificant effect. In 0.8M potassium chloride, the threshold current was increased although conduction velocity was not affected. In 1.6M potassium chloride, the threshold current was increased and the conduction velocity was slowed down. Spontaneous activity was recorded frequently for first 5 min but gradually reduced both in $A{\delta}$- and C-fibers. Eugenol had irreversible effect on pulp nerve in that initially there were not certain changes in the conduction velocity and threshold current of $A{\delta}$- and C-fibers, but the responses to electrical stimulation were abruptly disappeared after sustained application and were not recovered. Contrary to eugenol, zinc oxide eugenol did not caused significant increase of the threhold current and caused time dependent decrease of the conduction velocity, and did not show any irreversible change.

  • PDF

MINERAL CHARACTERISTICS OF RAW GOAT MILK FROM THE REGION OF GOIÂNIA, BRAZIL.

  • Dias, M.J.;Tanezini, C.A.;D'Alessandro, W.T.;de Oliveria, A.B.C.;Rocha, J. de M.;Pontes, I. dos S.;de Carvalho, A.L.;de Sousa, J.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7권1호
    • /
    • pp.63-68
    • /
    • 1994
  • 432 samples of raw goat milk were analyzed for sodium, calcium, potassium, chloride, and ashes content. The samples came from 16 pure breed goats, 2 to 4 years of age kept in semi-feedlots. They were basically fed soy bran, cotton bran, triturated Guandu hay and disintegrated corn with its straw and corncob (according to requirements for due preservation and production). The mean values found were: sodium, $45{\pm}10.2mg%$ (24.5-65.6 mg%); potassium, $206{\pm}44.7mg%$ (116.6-295 mg%); calcium, $111{\pm}22mg%$ (66.5-155.4 mg %); ashes, $0.82{\pm}0.06mg%$ (0.68-0.95%); chloride, $235{\pm}39mg%$ (157-313 mg%). Results were related to: a) breed, the Brown and the Saanen revealed superior values for calcium and ashes, b) climate, which in the rain season led to higher contents of sodium, potassium, and calcium when compared to the local dry season, c) time of lactation which increasingly affected the contents of calcium, sodium and ashes, and d) the time between milking, when higher concentration of chloride and ashes were mostly concentrated in the evening and calcium in the morning. Thes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the handling and management of the goat herd.

친환경 제설제인 CMO의 성능평가 분석 (Deicing Performance of Environment-friendly Deicing Agents)

  • 이승우;우창완;김종오;박희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53-62
    • /
    • 2005
  • 겨울철 원활한 제설작업은 겨울철 도로운영 및 관리에 중요한 공정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염화칼슘을 제설제로 가장 많이 쓰고 있고, 성능은 우수하지만 환경문제와 부식으로 인한 도로주변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한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하여 환경친화 제설제인 Ca, Mg와 유기산(초산, 프로피온산)의 반응물인 유기산염 (CMO, Calcium magnesium salt of organic acids)으로 구성된 제설제의 경우 자원 재활용으로 인한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환경문제와 구조물의 내구성저하를 해결할 수 있다는 연구들이 수행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에서 화학조성에 의해 샘플로 제조된 환경친화 제설제인 유기산염(CMO의 일종)과 미국에서 개발한 CMA, 기존 제설제에 대해 제설에 필요한 기초물성에 대한 실험과 성능 실험을 통해 융빙성능을 비교 분석하였고 콘크리트 표면의 중량 손실량 실험을 통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결과 분석을 통해 CMO의 융빙성능은 기존 제설제인 염화칼슘에 비해 60$\sim$90% 정도의 효과를 보였다. 중량손실효과는 미미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광물질 혼화재를 혼합한 콘크리트의 칼슘용출 저항 특성 (Characteristics of Calcium Leaching Resistance for Concrete Mixed with Mineral Admixture)

  • 최소영;최윤석;양은익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9-67
    • /
    • 2016
  • 콘크리트는 유해물질을 봉함처리하기 위한 매우 유용한 건설재료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설물에는 매스콘크리트가 적용되며, 장기간 성능이 요구되므로 광물질 혼화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하구조물에서는 순수와의 접촉으로 칼슘용출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광물질 혼화재를 포함하고 있는 콘크리트의 칼슘용출 저항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광물질 혼화재는 콘크리트 부재의 장기압축강도 및 염화물 확산계수 개선에 효과적이지만, 칼슘용출이 발생하면 압축강도 및 염화물 확산 저항성 저하가 OPC에 비해 심하고, 미세공극분포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칼슘용출환경에 노출되는 지하구조물에 광물질 혼화재가 적용될 경우에는, 물-결합재비를 저감시키며, 충분한 포졸란 반응 이후에 노출해야 하고, FA 보다는 BF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xtended shelf-life of 'Kumhong' nectarine and 'Madoka' peach fruits by treating the trees with calcium compounds and chitosan

  • Lee, Guk-Jin;Lee, Dan-Bi;Kim, Sung-Jong;Choi, Seong-Jin;Yun, Hae-Ke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737-754
    • /
    • 2019
  • Peaches have soft tissues compared to other fruits and are vulnerable to softness, wounds, and loss of marketability due to the weak fruit hardness after harve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to improve the shelf-life of the fruit to expand the distribution of peaches. Calcium compounds and chitosan have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shelf-life of fruit by maintaining the hardness and reducing the respiration rate in peach fruits. In this study, to select useful compounds to improve the shelf-life of peaches, calcium citrate, calcium chloride, calcium nitrate, GH-Ca, OS-Ca, chitosan, and chitosan dissolved in calcium chloride were sprayed onto peach tre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rvested fruits were investigated after the 'Kumhong' and 'Madoka' peach tree treatments. The hardness of the fruit was kept the highest with the combined treatment and remained high with the calcium citrate, chitosan and calcium nitrate treatments. Ethylene production and respiration were effectively inhibited by the GH-Ca and chitosan treatm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luble solids content and acidity among the fruits treated with the chemicals. The coloration of the fruit skin was not delayed by the calcium and chitosan chemical treatments. Calcium compounds were increased in the fruits and leaves of the peach trees treated with the chemicals compared to the untreated on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lcium treatment extended the shelf-life by increasing the calcium content in the leaves and fruits of the peach trees.

High Sulfated Calcium Silicate 시멘트 콘크리트의 염소이온침투저항성 평가 (Evaluation of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of High Calcium Silicate Cement Concrete)

  • 정석만;양완희;김현수;이건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5-43
    • /
    • 2022
  • High Sulfated Calcium Silicate cement(HSCSC) 콘크리트의 성능을 보통포틀랜드시멘트(OPC), 고로슬래그시멘트(S/C)와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콘크리트 압축강도 실험결과 초기 3일 재령에서의 High Sulfated Calcium Silicate cement 콘크리트 압축강도 발현율이 보통포틀랜드시멘트 콘크리트의 73.6% 수준으로 다소 적게 확인되었으나, 28일 재령에서 High Sulfated Calcium Silicate cement의 강도 발현율이 상승하여 보통포틀랜드시멘트 대비 약 107.0% 수준으로 소폭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의 염소이온침투저항성 실험결과 재령 28일의 경우 보통포틀랜드시멘트 대비 고로슬래그시멘트, High Sulfated Calcium Silicate cement 순서로 각각 73.4%, 93.0% 감소하였으며, 재령 56일의 경우 79.1%, 98.3% 감소하여, 우수한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능을 확인하였다. 특이사항으로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 고로슬래그시멘트 보다 High Sulfated Calcium Silicate cement의 재령 경과에 따른 통과 전하량 감소율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산화칼슘을 혼입한 폴리머 방청 코팅의 부식 임계치 향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hloride Threshold Level of Polymer Inhibitive Coating Containing Calcium Hydroxide)

  • 송하원;이창홍;이근주;안기용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713-719
    • /
    • 2008
  • 철근콘크리트내의 염분침투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철근 방청 코팅기법이 개발되어져왔다. 이와 관련된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서는 방청철근의 사용, 시멘트 슬러리 코팅 및 폴리머계 복합수지를 사용한 철근 코팅 및 에폭시 코팅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폴리머계 시멘트 코팅이 철근의 부동태 피막 및 장벽보호를 동시에 꾀함과는 달리 시멘트 슬러리 코팅의 경우는 철근의 부동태 보호에, 에폭시 코팅의 경우는 철근의 장벽보호에 주 목적을 두고 있다. 더욱이 에폭시코팅의 경우는 시공상의 오차로 인해 철근의 비부착 문제를 일으키게 되며 이는 국부부식의 위험을 증대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계면에서, 최대 20%의 수산화칼슘의 증가를 통한 방청기법이 적용되어졌다. 수산화칼슘의 경우 높은 pH저하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염해부식환경에 대해 알칼리성 환경이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논문은 철근/콘크리트 계면에서의 pH 저하 저항성의 향상 방안으로서, 수산화칼슘의 첨가에 따른 철근 방청코팅의 향상 효과를 시험하였다. 또한 수산화칼슘을 혼입한 폴리머 코팅의 염화물임계치 (CTL)에 관해서도 비교분석을 하였다.

유기산처리 갑오징어갑을 이용한 두부의 저장성 개선 (Improvement on Storage Stability of Soybean Curd using Cuttle Bone Powder Treated with Acetic Acid)

  • 김진수;조문래;허민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183-188
    • /
    • 2003
  • 수산가공 부산물인 갑오징어갑의 효율적 이용을 목적으로 고 용해성 아세트산 처리 갑오징어갑 분말을 응고제로 이용하여 보통 두부를 제조한 다음, 이의 저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염화칼슘을 응고제로 하여 제조한 두부의 pH, 담금액의 탁도, 적정산도 및 생균수는 저장 6일째까지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이후 pH 및 담금액의 탁도는 급격히 감소를, 적정산도 및 생균수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갑오징어갑 분말을 응고제로 하여 제조한 두부의 pH 담금액의 탁도, 적정산도 및 생균수는 저장 9일까지 거의 변화가 없었고, 이후 PH 및 담금액의 탁도는 미미한 감소를, 적정산도 및 생균수는 미미한 증가를 하여 염화칼슘을 응고제로 한 두부와 차이가 있었다. 한편, 백색도는 응고제의 종류 및 저장기간에 관계없이 저장 중 변화가 없었다. 조직감은 경도 및 부스러짐성의 경우 응고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저장 3일째까지 감소하였고, 이후 염화칼슘으로 제조한 두부의 경우 저장 6일째까지, 갑오징어갑 분말로 제조한 두부의 경우 저장 9일째까지는 변화가 적었으나, 이후 염화칼슘으로 제조한 두부의 경우 크게 감소하였고, 갑오징어갑 분말로 제조한 두부의 경우 미미하게 감소하였다. 관능검사의 경우 응고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물리화학적 분석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두부의 유통기한은 갑오징어갑 분말을 응고제로 한 두부의 경우 9일, 염화칼슘을 응고제로 한 두부의 경우 6일로 판단되었다.

폴리에스터 직물의 리파제 처리시 Triton X-100 및 염화칼슘의 영향 (Effects of Triton X-100 and Calcium Chloride on the Porcine Pancreas Lipase Treatment of PET Fabrics)

  • 김혜림;송화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11-917
    • /
    • 2008
  • 본 연구는 폴리에스터 직물에 리파제 처리시 첨가제에 따른 수분특성 변화를 검토하였다. 활성제(염화칼슘)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Triton X-100) 첨가가 수분율, 접촉각, 흡수속도, 표면형태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리파제 처리된 폴리에스터 직물의 수분율은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Triton X-100 첨가시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리파제의 활성제로 알려진 염화칼슘 첨가 시 폴리에스터 직물의 수분특성은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리파제 처리 시 염화칼슘이 10mM이상 첨가된 경우 폴리에스터 직물의 수분특성이 증가되었다. 리파제 처리된 폴리에스터 직물의 표면관찰 결과, 섬유표면에 생성된 보이드와 크랙이 폴리에스터 직물의 수분특성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폴리에스터 직물에 리파제 처리시 Triton X-100은 리파제의 활성을 저해하고, 염화칼슘은 리파제의 활성을 다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형화 슬러지의 공학적 특성 및 현장적용성 분석 (Engineering characteristics and field demonstrations of solidified sludges)

  • 고용국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93-596
    • /
    • 2003
  • The special amendment agent used in this study is mainly composed of inorganic metal salts such as sod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potas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thus is friendly to the environment, and has a function of soil-cement-agent solidification. In this study, a series of laboratory and field experiments including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permeability, pH test, constituent analysis, leaching test were carried out to analyse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olidified sludg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solidified sludge could be efficiently used in covering, filling, and planting materi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