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citonin gene- related peptide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3초

다양한 구강안면통증환자의 혈장 및 타액에서의 신경성장인자와 감각성 신경펩티드 농도에 관한 연구 (Nerve Growth Factor and Sensory Neuropeptide Levels in Plasma and Saliva of Various Orofacial Pain Patients)

  • 장민욱;정성창;정진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4호
    • /
    • pp.387-395
    • /
    • 2009
  • 신경섬유 말단에서의 유해자극 인지과정에는 신경성장인자 (nerve growth factor [NGF])와 감각성 신경펩티드가 관여하고, 또한 이들은 중추신경계에도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인체 혈액과 타액에서 NGF와 감각성 신경펩티드(substance P [SP],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의 농도를 조사하여 다양한 구강안면통증 증상들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67명의 구강안면통증 환자 (관절 통증, 치아 혹은 치주 통증, 점막 통증)와 36명의 건강한 성인에서 혈장과 안정시 전타액을 채취하여 효소면역분석법 (enzyme immunoassay)을 이용하여 NGF, SP, CGRP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만성통증척도 (Graded Chronic Pain Scale) 설문지를 이용하여 각 피실험자들의 통증강도를 조사하였으며 안정시 전타액의 타액분비율 또한 측정하였다. 관절 통증 환자군은 치아 통증 환자군, 점막 통증 환자군, 대조군 각각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혈장 내 NGF 농도를 나타내었다. 치아 통증 환자군의 혈장 내 NGF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치아 통증 환자군의 타액 내 SP 농도와 점막 통증 환자군의 타액 내 CGRP 농도 또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관절 통증 환자군의 혈장 및 타액 내 SP 농도는 통증 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치아 통증 환자군과 점막 통증 환자군에서, 혈장 내 SP 농도, 타액 내 SP 농도, 타액 내 CGRP 농도는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다. 혈장과 타액에서의 신경성장인자와 신경펩티드 검사는 다양한 구강안면통증의 특성과 예후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유성견에서 periodontal distraction에 의한 급속 치아견인 시 치수 및 치주조직의 변화에 관한 연구 (Pulp and periodontal tissue changes following rapid tooth retraction by periodontal distraction in young adult dogs)

  • 이종진;홍현실;채종문;조진형;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51-363
    • /
    • 2007
  • 유성견에서 periodontal distraction 과정을 통해 급속 견인 후에 치수와 치주조직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유성견의 상악 제2소구치를 발거하고 제3소구치 근심의 치간골을 부분 제거하였다. 견인장치는 6일 동안 하루에 2번씩 견인하고, 강화기 동안 0주, 1주, 3주, 5주, 7주, 9주에 치수와 치주조직의 변화를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면역조직화화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신장된 치주인대 내에서 견인 직후부터 4주까지 활발한 골밀도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2-3주 사이에서 가장 활발하였다. 강화기 0주에 압박측 치조골의 흡수 및 파골세포 출현, 염증세포 침윤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고 1주의 신장측 치주인대에서 특징적인 골형성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신생골 형성은 1주와 3주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9주에는 성숙골로의 대치 및 치주인대의 재생으로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의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의 발현은 치수, 치주인대 내의 염증 부위에서 나타났으며 0주, 1주에 압박측 치주인대에서 증가하였다가 5주 이후에는 감소하여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소견은 periodontal distraction에 의한 급속 치아 이동이 정상적인 골 재형성 과정을 도모하는 새로운 치아이동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Effects of Stellate Ganglion Block on the Peri-operative Vasomotor Cytokine Content and Intrapulmonary Shunt in Patients with Esophagus Cancer

  • Guo, Wei;Jin, Xiao-Ju;Yu, Jun;Liu, Yang;Zhang, Jian-Ping;Yang, Da-Wei;Zhang, Lei;Guo, Jiang-R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1호
    • /
    • pp.9505-9509
    • /
    • 2014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ellate ganglion block (SGB) on the peri-operative vasomotor cytokine content and intrapulmonary shunt in patients with esophagus cancer who underwent thoracotomy. Materials and Methods: Forty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resection of esophageal cancer patients who had I~II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 (ASA) were randomly divided into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group (group N, n=20) and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combined with SGB group (group S, n=20, 0.12 mL/kg 1% lidocaine was used for SGB 10 min before induction). Heart rate (HR), mean arterial pressure (MAP), central venous pressure (CVP), mean pulmonary arterial pressure (MPAP) and continuous cardiac output (CCO) were continuously monitored. The blood from internal jugular vein was drawn respectively before induction ($T_0$), and 30 min ($T_1$), 60 min ($T_2$) and 120 min ($T_3$) after one-lung ventilation (OLV), and 30 min (T4) after two-lung ventilation. The contents of plasma endothelin (ET), nitric oxide (NO) and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 were detected with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Meanwhile, arterial and mixed venou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or determination of blood gas and calculation of intrapulmonary shunt fraction (Qs/Qt). Results: During OLV, ET content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wo groups (P<0.05),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presented (P>0.05). NO content in group S was obviously higher than in group N at T3 (P<0.05), whereas CGRP content in group N was markedly lower than in group S at each time point (P<0.05). Qs/Q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after OLV,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regarding the Qs/Qt at each time poi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combined with SGB is conducive to regulation of perioperative vasomotor cytokines in thoracotomy, and has little effect on intrapulmonary shunt at the time of OLV.

출생후 성장발육에 따른 흰쥐 유곽유두의 CGRP 면역양성 신경분포변화 (POSTNATAL DEVELOPMENT OF CGRP-IMMUNOREACTIVE NERVE DISTRIBUTION OF RAT CIRCUMVALLATE PAPILLA)

  • 이재문;김현정;배용철;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39-351
    • /
    • 1997
  • 출생 후 성장 발육에 따른 흰쥐 유곽유두의 신경분포 및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생후 1, 5, 10, 15, 20, 25, 35일 및 완전히 성장한 흰쥐를 대상으로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GRP-면역양성 신경섬유들이 혀의 양측에서부터 유두 내로 진입하여 성장발육에 따라 그 분포밀도가 증가하다가 10일군부터는 상피의 직하방에 특히 풍부하게 분포하여 subepithelial plexus를 형성하고 있었다. 1일군에서는 CGRP-면역양성 신경섬유의 특징적인 양상인 염주알 모양이 명확히 관찰되었으나 그 이후로는 염주알 모양은 다소 감소하였고 하나의 선으로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상피 내로 진입하는 CGRP-면역양성 신경섬유들은 5일군에서 드물게 관찰되었으며 taste pore를 가진 성숙한 미뢰가 처음으로 관찰되는 10일군에서 그 수가 증가하여 출생 후 15일군에서는 상피 전반에 걸쳐 풍부하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 20일군부터는 미뢰가 존재하는 trench wall의 하방 2/3부위의 CGRP-면역양성 신경섬유는 감소하고 유두의 top surface와 trench wall의 상방 1/3에 CGRP-면역양성 신경섬유가 제한적으로 관찰되었다.

  • PDF

방기황기탕(防己黃芪湯)이 생쥐의 비만관련 장내분비세포와 신경펩타이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nggihwanggi-Tang on Obesity-related Enteroendocrine Cells and Neuropeptides in Mice)

  • 김태헌;김호일;이광규;이상룡;이창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97-505
    • /
    • 2012
  •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anggihwanggi-tang(BGHGT) on obesity, the obesity-related factors[gastrin, calcitonin gene related peptide(CGRP), serotonin, ghrelin, obestatin, glucagon-like peptide-1(GLP-1), insulin, orexin, leptin] were investigated in the stomach, pancreas, brain of mice by immunohistochemical(IHC) methods for 4 weeks. The change of body weight was more reduced in BGHGT administered group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IHC density of the gastrin and CGRP positive cells on pylorus was higher in BGHGT administered group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number of ghrelin immunoreactive cells on stomach was lower in BGHGT administered group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IHC of GLP-1 positive cells did not observe in the stomach of BGHGT administered groups. The IHC density of GLP-1 in the pancreas was lower in BGHGT administered group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IHC density of insulin positive cells in the pancreas was lower in BGHGT administered group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IHC density of orexin positive neurons in the diencephalon was slightly higher in BGHGT administered group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IHC density of NPY and leptin positive neurons was slightly higher in BGHGT administered group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IHC density of serotonin positive neurons was higher in BGHGT administered group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refore, we conclude that BGHGT activates appetite inhibitor through appetite related enteroendocrine cells and neuropeptides in stomach, pancreas and brain, and this activation may also be responsible for the inhibition of feeding behavior.

삼차신경 손상에 의한 신경병증성 통증에서 보툴리눔 독소의 진통 효과 (Analgesic Effect of Botulinum Toxin on Neuropathic Pain after Trigeminal Nerve Injury)

  • 김영건;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2호
    • /
    • pp.171-178
    • /
    • 2012
  • 보툴리눔 독소 주사는 이마, 눈가 주름치료 등 미용성형분야 뿐만 아니라 구강 악안면 분야에서는 만성 편두통(chronic migraine), 근육긴장이상(dystonia), 경직(spasticity), 측두하악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의 치료 등에 사용되어 왔다. 최근 보툴리눔 독소 주사가 운동신경에서 마비효과 뿐만 아니라 감각신경에서 말초감작과 신경원성염증과 관련되는 substance P, CGRP, glutamate 등 비콜린성 신경전달물질의 유리를 차단하여 통증신호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는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쥐, 토끼 등 동물 신경 손상 모델에 대한 실험과 치과 치료 후 발생한 신경 손상 환자에서 보툴리눔 독소의 진통 효과 및 작용 기전을 살펴보고자 한다.

출생후 흰쥐 구치의 발육에 따른 치수의 신경지배 발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POSTNATAL DEVELOPMENT OF DENTAL PULP INNERVATION IN RAT POSTERIOR TEETH)

  • 김동길;김현정;남순현;배용철;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775-787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tnatal development of pulpal innervation with the tooth development and eruption process in developing rat mandibular molars (postnatal 1, 5, 10, 15, 20, 25, 35day-old and adult rats). Immunohistochemical method was carried out for the detection of nerve fibers, using the antibody against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CGR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eature of CGRP-IR nerve fibers were shown in a bead-like appearance. The time of nerve entering into the dental papilla of tooth follicle began at the occured advanced dentinogenesis. The development of Raschkow plexus began at the formative stage of the roots and was accelerated at the stage of the crown emerged into the oral cavity. The number of nerve fibers entering the odontoblastic layer increased with the tooth eruption and mastication. The development of innervation was shown to be related with the stage of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teeth rather than the chronological age of the rat.

  • PDF

흰쥐의 뇌 기저동맥에서 CGRP에 의한 혈관 이완반응의 기전에 대한 연구 (Pharmacological Action Mechanism(s) of Vasodilator Effect of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in Rat Basilar Arteries)

  • 임병용;홍선화;김치대;이원석;김동헌;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9-49
    • /
    • 1996
  • 본 실험에서는 흰쥐의 뇌 기저동맥을 이용하여 $K^+$과 U46619에 의한 수축과 세포내 $Ca^{2+}$의 변동을 관찰하고, 이들 반응을 CGRP 전처치시 나타나는 반응과 비교하였다. CGRP (30과 100 nM)는 U46619에 의하여 야기된 수축반응과 세포내 $Ca^{2+}$의 증가반응을 억제시켰으나, $K^+$ (90 mM)에 의하여 나타나는 반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였다. 게다가, U46619에 의하여 야기되는 장력에 대하여 세포내 $Ca^{2+}$의 변동 $(F_{340}/F_{380})$을 도표화하여 세포내 $Ca^{2+}$ 농도와 장력의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이들 결과를 CGRP 전처치시 나타나는 결과와 비교하였다. CGRP (30과 100 nM) 전처치군에서 얻어진 직선이 오른쪽으로 치우치지는 않으면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점으로 볼 때, CGRP가 $Ca^{2+}$에 대한 수축기구의 감수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세포내 $Ca^{2+}$ 농도를 저하시킴에 의하여 U46619에 의한 근수축반응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CGRP의 효과는 CGRP1 수용체 길항제인 CGRP$(8{\sim}37)$ 분획(100 nM)의 전처치시 현저히 억제되었다. CGRP에 의한 수축력과 세포내 $Ca^{2+}$의 저하는 large conductance $Ca^{2+}$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K^+$ 통로 봉쇄제인 charybdotoxin (100 nM)과 iberiotoxin (100 nM)의 전처치에 의하여 완전하게 역전되었으나, small conductance $Ca^{2+}$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K^+$ 통로 봉쇄제인 apamin (300 nM)과 ATP에 감수성이 높은 $K^+$ 통로 봉쇄제인 glibenclamide (1 ${\mu}M$)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CGRP1 수용체는 $Ca^{2+}$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K^+$ 통로를 개방시킴으로 세포내 $Ca^{2+}$을 감소시켜 뇌 기저동맥의 이완반응을 매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통증유발 백서에서 미세전류자극이 척수 분절 내 c-fos 및 CGRP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crocurrent Stimulation on c-fos and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Expression in the Spinal Cord on Rats Induced Pain)

  • 김계엽;정현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5-80
    • /
    • 2005
  • The purpose of study is that we will observe the change of c-fos and CGRP with the immunohistochemistry method and then we will study the effect of microcurrent stimulation following the frequency after inducing pain to rats with capsaicin.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by microcurrent application and pain induce. Normal control groups is used in experiment I, the group which we induce pain is used in experiment II, the application group which we induce pain and then the high frequency microcurrent stimulation is used in experiment III, the application group which we induce pain and then the low frequency microcurrent stimulation is used in experiment IV. c-fos was strongly expressed after pain induced 2 hours and positive neurons were decreased from 2 hours. At 7 days, positive neuron recovers to normal range, But c-fos positive neuron of microcurrent stimulation group were decreased from 2 hours. CGRP was strongly expressed after pain induced 24 hours, and positive neurons were decreased from 7 days. These results suggests that microcurrent stimulation therapy effect to control pain according to expression of c-fos and CGRP examined by immunohistochemistry. Also high frequency microcurrent stimulation is more effective than low frequency microcurrent stimulation for controling the pain.

한국재래산양 혀에 분포하는 신경전달물질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neuropeptides in the tongue of Korean native goat)

  • 이흥식;이인세;강태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65-276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localization of several neuropeptides;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CGRP), substance P(SP),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VIP), neuropeptide Y(NPY), serotonin(5-HT) and neurotensin in the tongue of Korean native goat(Capra hircus)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CGRP- and SP-immunoreactive fibers were observed as moderate immunoreactivity at the subepithelial plexus and subgemmal fibers in lamina propria of lingual papillae, but not seen in intragemmal, intergemmal, perigemmal fibers as well as in the supporting, basal and taste cells. Fibers around the acinus of the von Ebner's gland and blood vessels showed weak immunoreactivities against CGRP and SP. In the intrinsic ganglion cells, CGRP- and SP-immunoreactivities were not observe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VIP- and NPY-immunoreactive fibers were similar to CGRP-or SP-immunoreactive fibers, but their immunoreactivities were stronger than those of CGRP- or SP immunoreactive fibers. The immunoreactivities to VIP or NPY were seen in the intrinsic ganglion. Only a few serotonin immunoreactive fibers were seen in some filiform or fungiform papillae. Neurotensin immunoreactivity was not observed in the tongue of Korean native goa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