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esarean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3초

Evaluation of Maternal Toxicity in Rats Exposed to 1,3-Dichloro-2-propanol during Pregnancy

  • Lee, Jong-Chan;Shin, In-Sik;Kim, Gang-Hyeon;Park, Na-Hyeong;Moon, Chang-Jong;Bae, Chun-Sik;Kang, Sung-Soo;Kim, Sung-Ho;Shin, Dong-Ho;Kim, Jong-Choo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07-314
    • /
    • 2008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1,3-dichloro-2-propanol on pregnant dams after maternal exposure during the gestational days (GD) 6 through 19 in Sprague-Dawley rats. The tested chemical was administered orally to pregnant rats at dose levels of 0, 10, 30, or 90 mg/kg/day. During the test period, clinical signs, mortality, body weights, food consumption, serum biochemistry, gross findings, organ weights, and Caesarean section findings were examined. In the 90 mg/kg group, decreases in the body weight gain and food consumption, and increases in the weights of liver and adrenal glands were observed. Serum biochemical investigations revealed increases in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cholesterol (CHO), triglyceride (TG),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bilirubin (BIL) and decreases in glucose (GLU), albumin (ALB) and total protein (TP). In the 30 mg/kg group, a decrease in the food consumption and an increase in the liver weight were observed. Serum biochemical investigation also showed increases in CHO and TG and a decrease in glucose. Since there were no signs of maternal toxicity in the 10 mg/kg group, it is considered to be the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NOAEL) of 1,3-dichloro-2-propanol. It is concluded that successive oral administration of 1,3-dichloro- 2-propanol to pregnant rats for 14 days may cause significant toxicities in body weight and liver at a dose rate ${\geq}$ 30 mg/kg/day.

ICT 의료시설 기반에서 미숙아 어머니의 퇴원 교육 요구도와 간호사의 교육수행 정도 (The Needs for Discharge Educa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of Nurses Perceived by Premature Infants Mothers In the ICT Medical Service)

  • 김수희;최성우;류소연;한미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707-716
    • /
    • 2016
  • 본 연구는 ICT 시대에서 미숙아 어머니의 퇴원 교육 요구도와 미숙아 어머니가 인지한 간호사의 교육수행 정도를 알아보고 관련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대상자는 G광역시 2차 진료기관인 K종합병원의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 중에서 연구에 동의한 54명이며, 자기 기입식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퇴원 교육 요구도와 간호사의 교육수행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영역은 '이상증상 확인과 관리'($0.55{\pm}0.97$, p=0.001), '배설관리'($0.45{\pm}1.11$, p=0.004), '성장발달'($0.41{\pm}1.08$, p=0.007)이었다. 퇴원교육 요구도는 분만형태(질식분만: $4.41{\pm}0.47$, 제왕절개: $4.03{\pm}0.47$, p=0.040)와 출생순위(첫째: $4.37{\pm}0.53$, 둘째: $4.25{\pm}0.51$, 셋째이상: $3.75{\pm}0.72$, p=0.03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미숙아 어머니가 인지한 간호사의 교육수행도는 조력자의 유무(있음: $4.15{\pm}0.66$, 없음: $3.48{\pm}0.67$, p=0.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이런한 결과를 기반으로 미숙아 어머니의 퇴원 교육 요구도에 근거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ICT 기반하의 퇴원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안한다.

쌍생아에서 선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증례 (Discordant Congeni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in Twins)

  • 김이슬;강지만;이지훈;장윤실;박원순;김예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4권1호
    • /
    • pp.65-70
    • /
    • 2017
  •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은 선천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이다. 본 증례는 쌍생아에서 다른 임상 양상을 보인 선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증례에 대한 국내 첫 보고이다. 31세 초산부가 쌍생아(2 융모막, 2 양막)를 임신하였다. 임신 34주 산전 초음파에서 한쪽 태아의 크기가 작고 양측 뇌실 확장증이 발견되었으며 임신 37주경에 제왕절개로 분만하였다. 첫 번째 신생아는 남자로 출생 체중 2,410 g, 아프가 점수 8/9점으로 출생하였으며 두 번째 신생아는 여자로 출생 체중 1,380 g, 아프가점수 5/8점으로 출생하였다. 두 번째 신생아는 자궁 내 성장지연, 소두증, 소하악증, 사지 관절의 강직을 보였다. 불일치 쌍생아에 대한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두 번째 신생아의 혈액검사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immunoglobulin M이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소변과, 혈액, 뇌척수액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중합효소연쇄반응이 양성소견을 보였다. 반면에 정상으로 출생한 남아의 거대세포바이러스에 대한 검사는 모두 음성이었다. 감염된 환자의 안과적 검진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망막염이 관찰되었고, 후에 실시한 청력검사에서 양측의 감음 난청이 확인되었다. 환자는 ganciclovir 치료를 받았으며 현재 여아는 심한 발달지연이 있으며 침대에서 누워서 생활하는 중이다. 이와 같이 쌍생아에서의 선천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증이 한 명에게만 발생하는 경우의 원인은 현재까지 명확하지 않다. 하지만 이 증례를 통하여 심한 불일치 쌍생아의 경우에 선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의 가능성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새로운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암제 DA-125의 랫트에 있어서 태자독성효과 (Embryotoxic effects of DA-125, a new anthracycline anticancer agent, in rats)

  • 정문구;김종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65-172
    • /
    • 1994
  • DA-125는 새로운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암성 항생제로서 아드리아마이신의 유도체이다. Sprague-Dawley 랫트를 이용하여 DA-125의 배아 및 태자독성발현능력을 조사하였다. 교미확인(정충확인일=0일)된 120마리의 랫트를 4개군으로 나눈후 0, 0.1, 0.3 및 1.0mg/kg의 용량으로 임신 7일 부터 임신 17일까지 1일 1회 연속 정맥투여 하였으며 임신 20일째에 제왕절개를 하여 태자를 적출하였다. 1mg/kg 투여군에서는 모동물의 사료섭취량의 감소, 체중감소 및 비장중량의 감소와 배아 흡수율의 증가 및 태자체중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또한 여러가지 종류의 외표, 내부장기 및 골격기형들이 각각 11.9, 41.8 및 14.5%의 빈도로 출현했다. 그중 특이 기형소견으로는 뇌탈출증, 복벽파열, 외측 및 제3뇌실의 확장, 늑골유착 등을 들 수 있다. 0.1 및 0.3mg/kg 투여군에서는 어떠한 배아 및 태자 독성증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DA-125는 랫트에 있어서 경미한 모독성 용량에서 배아 및 태자독성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PDF

랫드에서 표준 및 사료제한 시험에 의한 fluoroquinolone 항균제 DW-116의 발생독성평가 (Development Toxicity Evaluation)

  • 김종춘;윤효인;이희복;한상섭;정문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47-456
    • /
    • 2001
  • 임신랫드에서 fluoroquinolone 항균제 DW-116에 의해 유발된 발생독성이 모동물의 사료섭취량 감소에 의한 영양 결핍이 주요 원인인지 아니면 DW-116이 배.태자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유발된것인지를 조사하고자 시험물질을 랫드에 임신 6일에서 16일까지 0 및 500 mg/kg 용량으로 반복 경구투여하였다. 사료제한군은 시험물질 투여군의 모동물의 섭취한 동일한 양의 사료를 제한급여하였다. 모든모동물을 임신 20일째에 제왕절개하였고, 모독성 및 발생독성을 평가하였다. 시험물질 투여군에서는 독성증상과 체중의 감소, 투여 및 투여후 기간의 체중증가 억제, 사료섭취량의 감소를 포함하는 모독성이 부형제대조군및 사료제한군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태자사망의 증가, 생존태자의 감소, 태자체중과 태반중량의 감소, 태자기형의 증가 및 골환지연을 포함하는 발생독성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사료제한군에서는 모체 및 태자에서 경미한 독성고견만 인정되었고, 태자사망이나 태자기형 등의 심각한 발생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시험물질투여군에서 관찰된 발생독성은 사료섭취량의 감소에 의한 모체의 영양결핍에 기인된 것이 아니라 DW-116의 투여에 기인된 직접효과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 중인 미숙아 어머니의 산욕초기 산후우울 예측요인 (Predictors of Early Postpartum Depression in Mothers of Preterm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 이재영;주현옥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87-95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산욕초기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과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일 지역 두 곳의 신생아중환자실에 미숙아가 입원 중인 미숙아 어머니로 분만 후 2-3주이며, 배우자가 있는 기혼여성 1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6월부터 2011년 1월까지였다. 연구도구는 산후우울(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산전 우울, 주관적 아기 건강상태, 의료인 지지, 배우자 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chi}^2$-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산욕초기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발생률은 81.6%였으며, 산후우울 예측요인은 분만방법(OR, 5.57; 95% CI, 1.25-24.77), 주관적 아기 건강상태(OR, 0.34; 95% CI, 0.16-0.70) 및 의료인 지지(OR, 0.52; 95% CI, 0.28-0.97)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부분의 미숙아 어머니들은 산욕초기 산후우울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조기 중재를 목적으로 한 스크리닝이 필요하다. 또한 산후우울은 제왕절개로 분만하였으며, 주관적으로 아기 건강상태가 불건강하다고 인식할수록 그리고 의료인 지지가 낮을수록 발생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의료인들은 미숙아 어머니들이 제왕절개로 분만한 경우 더욱 관심을 기울어야 하며, 주관적으로 자신의 아기를 부정적으로 인식하지 않도록 도와야 한다.

임신 중 살충제 amitraz에 노출된 랫드의 모독성 평가 (Evaluation of maternal toxicity in rats exposed to the insecticide amitraz during pregnancy)

  • 신진영;오기석;신동호;김성호;김형진;박승춘;이현숙;정문구;김종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23-532
    • /
    • 2004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amitraz on pregnant dams after maternal exposure during the gestational days (GD) 1 through 19 in Sprague-Dawley rats. The test chemical was administered orally to pregnant rats at dose levels of 0, 3, 10, or 30 mg/kg/ day. During the test period, clinical signs, mortality, body weights, food consumption, serum biochemistry, gross findings, organ weights and reproductive findings on GD 20 were examined. In the 30 mg/kg group,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abnormal clinical signs and death, a suppression in the body weight gain, and a decrease in the food consumption were observed. A decrease in the liver weight and increases in the kidneys, adrenal glands and heart weights were also found. Serum biochemical investigations revealed increases in th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total bilirubin, and chloride. In addition, an increase in the fetal death and decreases in the litter size and fetal body weight were seen at caesarean section. Inthe 10 mg/kg group,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abnormal clinical signs, decreases in the food consumption and liver weight, increases in the total bilirubin and chloride, and a decrease in the fetal body weight were observed. There were no adverse effects on clinical signs, mortality, body weights, food consumption, serum biochemistry, gross findings, organ weights and reproductive findings in the 3 mg/kg group.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19-day repeated oral dose of amitraz to pregnant rats caused increases in the clinical signs, kidneys, adrenal glands and heart weights, AST, total bilirubin and chloride and decreases in the body weight gain, food consumption and liver weight at the dose levels of above 10 mg/kg/day. Under the present experimental conditions, the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NOAEL) of amitraz was considered to be 3 mg/kg/day.

임신 중 체중증가 정도에 따른 체성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Bod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Weight Gain in the Pregnancy)

  • 장준복;김승보;이경섭;조정훈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7-42
    • /
    • 2002
  • Objectives: To compare the body composition of the postpartal female weight-gained over the recommended during pregnancy with that of normal female with same age. female diagnosed as obesity and postpartal female weight-gained within the recommended during pregnancy. Methods: From Apr. 1. 2001 to Feb. 28. 2002, there were 745 delivery in Dept. of Obstetrics & Gynecology, Kyung-Hee Medical Center. 32 mothers of them wanted to be investigated about the weight gain during their pregnancy. We excluded 12 persons who had gained within the recommended weight$(15{\beta}{\prod})$ and had diagnosed as the diseases inducing pathologic edema, preeclamsia. gestational heart or renal diseases, for example. In 2 days after delivery(nomal) or 5 days after(Caesarean section) we analysed the body composition of 20 persons. Results: 1. Compared with normal female, body weight,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of the women gained over the recommended were increased and there made alternation to the increase of the percentage of body fat or the decrease of the percentage of lean body mass. 2. Compared with obese women who had same body mass index, the women gained over the recommended showed a little increase of body fluid, protein and mineral, but had a little decrease of the percentage of body fat. 3. The percentages of body fat increased with the women gained over the recommended, the women gained within the recommended and the obese women in order. This could imply the relation between the pregnancy,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and the obesity. 4. The weights before pregnancy were same in the women gained over the recommended and the women gained within the recommended. But the weights just after delivery kept the gap happened during pregnancy between them and its main cause was the increase of body fat. Conclusions : The women gained over the recommended during pregnancy experienced the chage of body composition and its main cause was the increase of body fat. So compared with the women gained within the recommende, postpartal obesity more frequently could happen.

  • PDF

중증 양수 흡인성 폐렴의 임상양상 및 폐표면 활성제 보충요법의 효과 (Clinical findings of severe amniotic fluid aspiration pneumonia and effects of surfactant replacement therapy)

  • 박상우;김천수;이상락;권태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4호
    • /
    • pp.429-434
    • /
    • 2009
  • 목 적 : 중증의 양수 흡인은 출생 직후 신생아에서 호흡부전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저자들은 인공환기요법이 필요했던 중증 AFAS를 가진 환아를 대상으로 이 질환의 임상양상과 SRT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최근 7년간(2000-2006)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후 중증의 AFAP으로 인공환기요법을 받았던 28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방사선 영상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양수가 태변에 오염된 경우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는 대부분 만삭아(82.1%)였고 제왕절개술로 분만된 경우(85.7%)가 많았으며, 1분과 5분 Apgar 점수는 각각 $6.5{\pm}1.2$점, $7.5{\pm}1.3$점으로 비교적 양호하였다. 이들에서 출생 초기 성대 이하의 기도에서 흡인한 양수 양은 $16.0{\pm}10.1$ mL였다. 모든 예에서 SRT (modified bovine-derived surfactant; 120 mg/kg/dose)가 시행되었으며 1회 투여가 대부분(75%)이었다. SRT 전과 비교에서 인공환기요법에 따른 OI ($8.0{\pm}9.6$ vs. $18.9{\pm}7.3$)는 SRT 12시간 후에 감소하였고(P<0.001), 대부분의 예에서 SRT 후 12시간 경 흉부 방사선 영상의 통기소견이 시행 전에 비해서 호전되었다. 심폐계 합병증을 동반한 예(46.4%)가 많았지만 전체적으로 높은 생존율(96.4%)을 보였다. 결 론 : AFAP는 준 만삭아와 만삭아에서 심한 호흡곤란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인공 환기요법이 필요한 중증의 AFAP에 대한 SRT는 좋은 임상경과와 치료성적의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효과적인 산전관리를 위한 고객관계관리(CRM)의 도입 (The Application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for the Effective Prenatal Care)

  • 신숙;백수경;강성홍;김유미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3-114
    • /
    • 2005
  • The prenatal care is the preventive medical service to help the pregnant mother deliver the healthy baby. It's regular examines give some chances to check-up the healthy conditions. This thesis concentrates on the CRM system to support an effective prenatal care system and prove the effectiveness of it. As CRM is the adapted management related to the customer's own informa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CRM model classified by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A general hospital in Busan operated the CRM system to carry out the effective prenatal care and there is an analysi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CRM system for the pregnant women in our maternity war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comparisons with the CRM system, we can conclude the system is desirable. (1) Maternal Age : In the age distribution, the prenatal visit frequency, triple marker freqency, oral GTT and targeted ultrasonography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30 to 34 years old is higher on the whole. For over 35 years old group, the higher frequency comes out in the oral GTT and targeted ultrasonography and for 25 to 29 years old group the different figure shows just in the targeted ultrasonography. (2) Area of residence: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all the items in Busan and near area but no sign of difference in prenatal visits and oral GTT in other residencial area. Especially in the targeted ultrasonography the higher figure shows in the experimental group located in the both areas. The targeted ultrasonography is known as the specific examination which should be examined by the specialists, on the contrary the other examinations can be operated in the small clinic. So the public information and seminars related with ultrasonography increases the check-up frequency. The clinic requests some ultrasonographical examinations to the specialists in general hospital. (3) Parity: The clear difference shows that the CRM system causes the prenatal visit frequency to become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e figure is 9.7 times and 8.6 times each. This is opposite that the past study said multiparity reduced the average prenatal visits. But the result of CRM is considered as the method to help the multiparity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prenatal care. (4) Obstetrical history: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spontaneous delivery group, the figure is higher in the prenatal visit frequency, triple marker, oral GTT and targeted ultrasonography but the Caesarean section delivery group has higher figure in targeted ultrasonography. (5) In the first check-up, the rate of targeted ultrasonography in under 16 week pregnancy, in the 16 week pregnancy to 32 week pregnancy and the over 32 week pregnancy in the experimental group is upper than the compared one. For the oral GTT, there is a difference in under 16 week pregnancy but no difference in prenatal visits and triple marker. 2)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prenatal care through the decision tree resulted in the fact that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s the residential area. After the delivery frequency is following, the obstetrical history and maternal age are in order. It is the same result in the triple marker and oral GTT. Consequently it is the same order of important variables in CRM system. The effectiveness of CRM system is proved in this study. The CRM system is a marketing method to control and lead the customers through the segmentation of customer data. It increases the new customer aquisition, maintenance of loyal customers, augmentation of customers value, activation of potential customers and creation of life time customers. So eventually it can enlarge the customers value. The medical institution should make efforts to establish the data base enforced by the customer's information on the underlying ordinary data system to carry out the CRM system effectively. In addition, it should develop the a variety of marketing strategy in order to set up one to one marketing satisfying the needs of individual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