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esalpinia sappan L.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초

Neuroprotective Effects of Medicinal Herbs in the Transient Focal Ischemia

  • Oh, Jin-Kyung;Jung, Ji-Wook;Ahn, Nam-Yoon;Oh, Hye-Rim;Ryu, Jong-Hoo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3년도 Annual Meeting of KSAP : International Symposium on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Sciences on Obesity
    • /
    • pp.64-64
    • /
    • 2003
  • It is thought that highly reactive oxygen radicals generated at the ischemia-reperfusion in case of strokes play an important role in damaging the brain. We examin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from the several medicinal herbs in the transient ischemic rat model and compared their effects with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ransient ischemia was induced by intraluminal occusion of the right middle cerebral artety for 120 min and reperfusion was continued for 22 h in rat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of medicinal herbs were examined in vitro by determination of the interaction with the 1,l-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table free radical. Aqueous extracts of 11 medicinal herbs (200 mg/kg) were orally administered, promptly prior to reperfusion and 2 h after reperfusion. Total infarction volume in the ipsilateral hemisphere of ischemia reperfusion rats was significantly lowered by the treatment of 7 medicinal herbs (Sophora flavescens, Lycopus lucidus, Sanguisorba officinalis, Caesalpinia sappan, Albizia julibrissin, Rubia akane, Psoralea corylifolia, Prunella vulgaris). However, all of these medicinal herbs did not show antioxidative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uroprotective effects of several drugs are not always correlated with their antioxidative properties.

  • PDF

Screening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Vietnamese Medicinal Plants : Isolation of Active Principles from Oroxylum indicum

  • Nguyen, Mai Thanh Thi;Nguyen, Nhan Trung;Nguyen, Hai Xuan;Huynh, Thuy Nghiem Ngoc;Min, Byung-S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8권1호
    • /
    • pp.47-51
    • /
    • 2012
  • Among 38 Vietnamese medicinal plant extracts investigated for their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35 extracts showed $IC_{50}$ values below $250{\mu}g/mL$. The MeOH extracts of the heartwood of Oroxylum indicum, the seeds of Caesalpinia sappan, and the fruits of Xanthium strumarium exhibited strong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ith $IC_{50}$ values less than $50{\mu}g/mL$. Fractionation of the MeOH extract of the heartwood of O. indicum led to the isolation of oroxylin A (1), oroxyloside (2), hispidulin (3), apigenin (4), ficusal (5), balanophonin (6), 2- (1-hydroxymethylethyl)-4H,9H-naphtho[2,3-b]furan-4,9-dione (7), salicylic acid (8), p-hydroxybenzoic acid (9), protocatechuic acid (10), isovanillin (11), and ${\beta}$-hydroxypropiovanillon (12). Compounds 1 - 3, 5, 6, 8, 10, and 12 showed more potent activities, with $IC_{50}$ values ranging from 2.13 to $133.51{\mu}M$, than a positive control acabose ($IC_{50}$, $241.85{\mu}M$). The kinetic study indicated that oroxyloside (2) displayed mixed-type inhibition with inhibition constant (Ki) was $3.56{\mu}M$.

메티실린-내성 포도상구균에 대하여 Brazilein 혼합에 따른 항생제 Hygromycin-b의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Brazilein in Combination with Hygromycin-b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 이영섭;이대영;안태진;이정훈;안영섭;차선우;문수현;강옥화;권동렬;한신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04-509
    • /
    • 2014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a substantial contributor to morbidity and mortality. In search of a natural products capable of inhibiting this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we hav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brazilein (BRZ) isolated from Caesalpinia sappan L. (Leguminosae) against 8 different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New antimicrobial activity was found using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broth dilution as well as checkerboard method. Against the 8 strains,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BRZ were in the range of $62.5-500{\mu}g/mL$. From those results we performed the checkerboard test to determine the synergism of BRZ in combination with Hygromycin-b (HgB) against 4 strains. The combined activity of BRZ and HgB against 4 strains resulted in a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s index (FICI) ranging from 0.18-0.5. The effect of BRZ with HgB was found to be synergistic. We found that BRZ reduced the MICs of HgB. BRZ and HgB could lead to the development of new combination antibiotics against MRSA infection.

천연색소 함유 식물추출물과 플로럴 워터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hot-water extracts and floral waters from natural plant pigments)

  • 김연순;서화진;박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9-133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염색의 원료인 천연염료, 즉 천연색소의 열수추출물과 플로랄워터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 함량 분석과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단일항산소 억제 효과로 확인하였다. 열수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IC_{50}$ 값은 0.0085~3.5 mg/mL를 나타내어 일부 색소 추출물의 DPPH 소거 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오배자, 소목 추출물이 $8.5{\mu}g/mL$, $19.1{\mu}g/mL$로 높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비교 물질로 주로 사용되는 ascorbic acid의 $10.5{\mu}g/mL$ 만큼 높은 우수한 항산화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일항산소 억제 효과 역시 오배자, 소목 추출물에서 각각 0.21, 0.12 mg/mL을 나타내어 높은 소거 활성을 띄는 것으로 강한 빛에 의해 야기되는 활성산소의 피해로부터 생물체를 보호해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총 페놀 함량도 열수추출물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반면, 플로라워터의 항산화 활성은 열수추출물 대비 미비한 효과를 보였으나 황련, 황벽천초근의 경우 열수추출물 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플로라워터의 경우 액상시료를 첨가하여 수행되는 실험 방법에 의해 정량적 수치를 명확히 나타내기 어렵기 때문에 연구방법적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일부 천연색소 추출물은 생물체의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야기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보다 심도 깊은 연구를 진행한다면 새로운 생물 소재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천연염료 염색포의 생활용품 활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Utilization of Natural Dyeing Materials as Household Supplies)

  • 주영주
    • 복식
    • /
    • 제56권3호
    • /
    • pp.73-80
    • /
    • 2006
  • This study is aimed to produce natural dyeing garments, which contain the sentiments and color sense of Koreans, by using various household supplies, with a view to increase the values added and utilization of natural dyeing. The dyes mainly used for this study are multi-colored ones which are durable after dyeing and can represent various colors. They include Lithodpermum officinale, Caesalpinia sappan, Rubia Cordifolia, Pellodendron Bak, Curcuma Longa L., fallen Ginkgo Biloba, Artemisia Princeps, and Quereus acutissima carr shell. Considering water pollution and other things, aluminum acetate and ferrous chloride were used as mordants. Cheap and practical materials such as cotton cloth and those with traditional patterns and elegance such as silk and ramie fabrics were used to produce baby goods, household supplies, clothes, and accessories. The produced supplies closely contact with our body, so they may have a great effect on human body. The household supplies produced include rug, bedclothes, room bedclothes, curtain, bedding set, cushion, and sunlight blin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ality or medical actions of the good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human skin. The infant supplies produced include longcloth for newborn baby, bedding set, gauze handkerchief, and doll. The clothes include night gown, shirt, bath gown, and Korean traditional clothes. The accessories include tablecloth, cup pad, bag, wrapping cloth, mouse and keyboard cushion, and scarf. Nowadays, consumers prefer environment-friendly naturally dyed garments and products. In order to control the naturally dyed garments and products which are traded in the domestic market, it is urgent to introduce such ecological marks as 'Toxproof' and 'Ecoproof.' Currently, many ordinary persons, who are not experts, have interest and participate in natural dyeing, but they simply produce naturally dyed garments, not artistic works or everyday supplies. The present author expect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household goods by such persons. The author also hopes that they will develop and commercialize such designs as suit to modern tastes and senses based on the unique cultural assets of Koreans, so that Korean naturally dyed products may be recognized as reliable commodities equipped wit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NF-α/IL-17A/IFN-γ 유도된 HaCaT 세포에서 브라질린의 STAT3 인산화 억제를 통한 CCL20 저해 효과 (Brazilin downregulates CCL20 expression via regulation of STAT3 phosphorylation in TNF-α/IL-17A/IFN-γ-induced HaCaT cells)

  • 김미란;황형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2호
    • /
    • pp.185-192
    • /
    • 2021
  • 건선(Psoriasis)은 IL-6, CXCL8, TNF-α 및 IFN-γ뿐만 아니라 Th17 세포에서 분비되는 IL-17A 등 다양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표피의 과증식(hyperkeratosis) 및 만성적 염증(inflammation)이 유발되는 난치성 피부 질환이다. 소목(Caesalpinia sappan L.)의 유효성분으로 알려진 브라질린(brazilin)은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장벽 개선 등의 효능이 알려졌다. 특히, tumor necrosis factor (TNF)-α 자극 HaCaT 각질형성세포 모델에서 브라질린의 건선 치료 소재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직접적인 건선 유발 인자인 C-C motif chemokine ligand (CCL) 20의 조절은 전혀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선 유사 모델을 활용해 CCL20 발현 조절 여부 및 그 기작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IL-17A로 자극된 HaCaT 세포에서 브라질린은 CCL20, CXCL8 발현 및 signal transducer and transcription (STAT)3 인산화를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브라질린은 TNF-α/IL-17A/IFN-γ 3종 사이토카인으로 처리된 조건에서도 STAT3 인산화를 억제하며 염증성 분자(CXCL8, CCL20, IL-1, IL-6, 및 TNF-α)의 발현을 하향 조절하였다. 마지막으로 브라질린은 TNF-α/IL-17A/IFN-γ로 자극된 건선 유사 환경에서 피부 장벽 개선에도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위 결과들을 통해 우리는 궁극적으로 브라질린이 STAT3 인산화 억제를 통해 CCL20 발현을 하향 조절하며, 건선 유발 사이토카인들의 발현 또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건선 동물모델 및 임상시험을 통해 브라질린의 건선 개선에 대한 효능이 검증된다면, 건선 환자에게 잠재적인 치료 물질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색채 목가구 개발을 위한 천연염료의 이용에 관한 연구(제2보) - 천연염료의 처리 방법에 따른 색 변화 연구 - (Application of Natural Dyes for Developing Colored Wood Furniture (II) - Color Variation by Treatment Methods of Natural Dyes-)

  • 문선옥;김철환;김경윤;이영민;신태기;김종갑;박종열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3호
    • /
    • pp.70-78
    • /
    • 2007
  • 본 연구는 치자나무, 홍화, 오배자, 지치(지초), 소목 및 밤송이 등으로부터 추출한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밤나무재를 염색할 때 나타나는 목재 표면의 색상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효과적인 천연염색법을 검토하였다. 목재 시편은 염액의 온도, pH, 침지시간, 반복처리 횟수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조건을 적용하여 다채로운 색을 발현시겼고, 천연염색된 시편의 색상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L^*$, $a^*$$b^*$ 값을 측정하여 채도와 염착농도를 산출해 내었다. 도막처리법은 천연염색 시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침지 처리에 비해서 더욱 경제적인 처리법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착색력이 낮은 도막처리법은 반복적인 도막 처리를 통하여 원하는 색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색상의 농담도 쉽게 표현할 수 있었다. 천연염색 처리 결과 염액의 온도가 높으며 약산성 염료(pH4의 수준)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착색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화학감작제 후보물질 탐색 (Screening of Chemosensitizer Candidates Using Natural Extracts)

  • 안희정;김지영;이충환;송임숙;유광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244-124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천연 추출물의 P-gp 저해능의 고속 탐색을 통하여 새로운 화학감작제 후보물질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P-gp 활성에 대한 천연 추출물의 저해능은 P-gp이 과발현된 L-MDR1 세포주를 이용하여 대표적인 P-gp 기질 약물인 calcein AM의 세포 내 축적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강황 및 울금은 가장 강력한 P-gp 기능 저해를 나타내었고, 이외에도 Mentrasto, 취호초, 봉출, Rakta chandan, 강진향, 소목, 노회 등의 순으로 P-gp 기능 저해능을 보였다. 이들 추출물에서 P-gp 저해능을 보이는 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LC/MS/MS 분석을 수행한 결과, 기존에 P-gp 활성을 저해한다고 잘 알려진 curcumin 이외에, 다양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질량 스펙트럼 DB 검색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In vitro 연구 결과를 통하여 상기의 천연 추출물이 P-gp 활성을 저해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들 천연 추출물의 화학감작제 후보물질로의 사용 가능성에 대한 in vivo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천연물을 이용한 항균성 염료의 개발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Dye for Natural Dyeing using Natural Substances)

  • 유영은;박은영;정대화;변성희;김상찬;박성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2-39
    • /
    • 2010
  •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천연 염색 시 염료로 사용이 기능할 것으로 판단되어지는 한약재와 천연물 중 72가지를 선발하고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1차 조사와 열수, 에탄올, 메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이용한 2차 조사 결과 전반적인 천연물에서 열수와 메탄올 추출물에서 상대적으로 유효한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별한 천연물 중 대황, 산사, 산수유, 소목, 오매, 오미자, 오배자와 황련 추출물에서 20 mm 이상의 생육저지환이 형성되었으나 항세균성에 대한 활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항진균성에 대한 연구가 보다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물 중 가장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낸 황련 열수 추출물의 S. aureus ATCC 6538에 대한 MIC 값을 조사한 결과 110 mg/mL로 조사되었다. 또한 공시균주 외 다른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한 결과 조사한 3종에 대하여도 양호한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선별된 천연물이 천연염색 뿐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많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용매에 따른 회수율과 항균성을 비교할 때 낮은 회수율에서도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는 소목과 황련의 경우 회수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좋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색채 목가구재 개발을 위한 천연염료의 이용에 관한 연구 (제1보) - 천연염료의 추출 방법에 따른 색채 변화 연구 - (Application of Natural Dyes for Developing Colored Wood Furniture (I) - Color Variation by Extraction Methods of Natural Dyes -)

  • 문선옥;김철환;김재옥;김종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5호
    • /
    • pp.75-85
    • /
    • 2004
  • 현대 주거 공간의 색채 유형이 다양화 되고 실내 공기질 관리법이 시행되면서 환경친화형 컬러가구재의 개발이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치자, 홍화, 오배자, 자초, 소목 및 밤송이 등으로부터 천연염료를 추출하여 적정한 염색조건을 도출하였다. 천연염료 추출시 용매의 pH가 높아지면서 동일계 색상일지라도 더 짙은 염료가 얻어졌다. 염색에 앞서 천연염료와 목재 조직과의 결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구리, 철 및 크롬 계통의 매염제를 처리하였는데, 매염제의 종류에 따라 황색, 갈색, 녹색 등의 색상이 얻어졌다. 매염 처리된 목재 시험편에 본 천연계 염료로 염색한 경우 염색시의 pH와 온도가 높아질수록 짙은 색상이 얻어졌을 뿐만 아니라 염액이 목재 조직 내부로 더욱 깊이 침투하였다. 컴퓨터 모델링을 통하여 보여진 천연염색된 컬러가구는 다양한 색상이 요구되는 현대 주거 공간과 조화를 꾀할 수 있어 천연염료가 현대 목가구 제작에 적합한 재료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