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dastre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32초

GIS를 이용한 3차원정보지적도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Construction of 3D Information Cadastral Map Model Using GIS)

  • 오이균;양인태;유영걸;천기선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577-580
    • /
    • 2004
  • Recently, in a field of cadastre, a computerization of cadastral map is in progress with great growth of GIS field. Also, the needs for the integration of land and building information are widely increasing for integral-management and its application of various land related information. In this study, it is constructed a 3D information cadastral map model that can make the integral management of land, building, connecting land recorders, building management ledgers, building titles, building pictures, and related attribute information.

  • PDF

3차원 지적 개념적 데이터 모델 (A Conceptual Data Model of a 3D Cadastre)

  • 박소영;이지영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09-310
    • /
    • 2009
  • 건축, 토목기술의 발달과 토지의 효율적 이용 요구 증가로 인해 인간의 생활공간은 지표에서 지상, 지하로 확대되었다. 기존의 2차원 지적 시스템으로는 관리의 한계성이 있기에 이런 현실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3차원 지적 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3차원 지적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개념적 데이터 모델들을 소개하고 현 상황을 반영한 효율적인 개념적 데이터 모델을 제시한다.

  • PDF

지적정보 서비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 for Cadastre Information Service)

  • 이근상;김형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5-6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지적재조사사업을 비롯하여 다양한 지적업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지적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먼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반 지적정보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BlackPoint-Xr을 공간 클라이언트 엔진으로 선정하였다. 모바일 지적정보 시스템은 항공사진, 지적도, 행정구역도, DEM 등의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GPS를 통한 위치 찾기, 주소와 지번을 통한 필지 검색 그리고 필지에 대한 주소, 지목, 공시지가 등의 토지대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나 토지정비사업 등에 활용하기 위해 필지에 대한 거리, 면적, 경사 그리고 횡단면도 등을 분석할 수 있는 기능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현장에서 다양한 지적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해 줌으로서 지적업무와 건설공사 등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고 디지털 지적정보 분야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토지정보화 방법론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Land Informatization Methodology)

  • 진희채;김은우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155-168
    • /
    • 2016
  • 토지정보화 방법론은 정보시스템 개발 방법론의 과정을 따르면서 토지정보의 구축 및 관리, 활용에 특화된 토지정보화와 관련된 시스템의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이다. 따라서 정보시스템의 구축 방법론의 이해와 토지정보화에 대한 특수한 상황의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정보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기존의 토지정보시스템들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였고, 기초 방법론으로는 EA기반의 참조모형 및 컴포넌트 기반의 방법론을 활용하고 있다. 더불어 토지정보화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나 이슈사항, 단계별로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 등을 제시하여 방법론 세부항목으로 구성함으로서 토지정보화 방법론의 특수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구축하였다.

만주국영토(滿洲國領土)의 중국귀속(中國歸屬) 불당성(不當性)에 관한 연구(硏究) -문화영토론(文化領土論)과 영토문화론(領土文化論)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Unreasonableness that China had the Territorial Right of Manzhouguo - Based on Cultural Territory Theory and Territory Cultural Theory -)

  • 신용우;심우섭;오원규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7권1호
    • /
    • pp.81-94
    • /
    • 2017
  • 본 연구는 1932년 일본에 의해 건국되어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과 함께 해체된 만주국영토가 중국에 귀속된 것에 대한 부당성을 규명하고, 만주국영토가 문화영토론과 영토문화론에 의해서 대한민국에 귀속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밝히는데 역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화영토론과 영토문화론의 개념을 정립하고 영토문화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영토문화의 분류를 통해서 만주국의 영토문화중 대표적인 영토문화인 매장문화, 지명문화, 지적문화, 민속문화의 특성을 조사하여 분석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의해 만주국의 영토문화는 대한민국의 영토문화와 동일하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문화에 의해서 영토가 정의되어야 한다는 문화영토론과 영토문화의 문화주권자가 영토권자가 되어야 한다는 영토문화론의 이론에 근거해 만주국영토가 중국에 귀속된 것에 대한 부당성을 규명하고, 만주국영토가 대한민국에 귀속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하였다.

몽골 토지행정도메인모델의 국가 프로파일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untry Profile of Land Administration Domain Model for Mongolia)

  • 부베이바타르 뭉크바타르;김문기;고준환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1호
    • /
    • pp.55-70
    • /
    • 2018
  • 지적 및 토지행정 분야는 기술개발의 변화에 영향을 받기 쉬우며 이에 대응되는 견고한 제도가 절실하다. 몽골에서는 이러한 변화와 대응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이고 견고한 지적제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한 토지행정도메인모델(Land Administration Domain Model: LADM)을 채택하여 몽골의 지적제도에 적용을 위한 분석을 하였다. LADM의 몽골 적용을 위해서 몽골 지적제도의 특성 및 LADM 적용한 국가의 사례를 바탕으로 LADM의 네 가지의 패키지 및 클래스 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몽골의 LADM 국가 프로파일링을 완성하였으며, LADM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현재 데이터모델 표준화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몽골 지적 분야에서 LADM 적용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참조모델로써도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ISO TC 211 Land Administration Domain Model(LADM)의 한국토지정보 시스템 적용 방안 연구 (Introduction of ISO Land Administration Domain Model(LADM) to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KLIS))

  • 김상민;허준;이용호;김성훈;김성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9-87
    • /
    • 2009
  • ISO TC 211은 지리정보 분야와 관련된 하나의 국제 표준화 기구로서 지구상의 지리적 위치와 직 간접적인 관계있는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표준을 정의 개발한다. ISO TC 211은 기존 연구되어진 핵심 지적 도메인 모델(CCDM : Core Cadastral Domain Model)을 발전시켜 토지 행정 도메인 모델(LADM : Land Administration Domain Model)을 새로운 국제표준화 프로젝트로서 진행하고 있다. 토지 행정 도메인 모델(LADM)은 국제표준화 모델로서 전 세계 많은 국가들이 지적과 관련된 행정 법, 공간 측량적인 구성요소들의 관계를 정의한다. 이를 통해 토지관련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나아가 국가들 간의 토지관련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핵심 지적 도메인 모델(CCDM)을 발전시킨 토지 행정 도메인 모델(LADM)의 연구 진행 상황과 내용을 소개하고 토지 행정 도메인 모델의 부동산, 측량, 기하 위상, 법 행정 부분을 우리나라의 한국토지정보시스템에 적용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지적분야에서의 수치정사사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pplications of Digital Orthophoto in Cadastre)

  • 박병욱;김상수;최윤수;차영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3-24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시범적으로 지적전산화가 완료된 지역 중에서, 임야, 농경지, 주거지의 구분이 뚜렷한 대상지를 선정한 후,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수치정사사진을 제작하여 전산화 사업으로 구축된 지적도면과 중첩함으로써 수치정사사진의 지적분야에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활용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지적전산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계 불일치 및 이중경계 문제를 해결하는데 수치정사사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소유권 문제의 여지가 있는 지역을 추출할 수 있으므로, 지적재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는 지역의 예측이 가능하다. 셋째, 수치정사사진과 지적도를 중첩함으로써 건축물의 현황관리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넷째, 수치정사사진은 각 필지의 토지이용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지적도 상에 나타난 지목의 적합성을 판단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PDF

LADM 기반의 몽골 지적 데이터 모델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LADM-based Cadastral Data Model for Mongolia)

  • 부베이바타르 뭉크바타르;김문기;이용호;고준환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2호
    • /
    • pp.51-64
    • /
    • 2018
  • 본 연구는 현존하는 몽골 지적 시스템의 개선을 위해서 ISO 19152, 토지행정도메인모델(LADM)의 채택을 검토하였다. 현재의 몽골 지적시스템은 토지등록만을 위해 개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완할 수 있고 현재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롭고 포괄적인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LADM은 국제표준으로서 2012년도 후반에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의해 제정되었으며, 지적 및 토지행정정보의 모델링을 통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지적시스템 개발과 지적의 공통어(온톨로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몽골의 지적시스템인 Land Manager에 초점을 맞추어 몽골의 지적시스템에 LADM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Land Manager의 데이터 모델을 LADM의 해당되는 클래스별로 분석하여 각 모델간의 차이점에 의한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LADM 기반의 현재 문제점을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몽골 지적시스템의 데이터 모델을 제시하였다.

공간분석 기법을 활용한 새만금 농업용지 토양 염도 분석 (The Analysis of Soil Salinity in Saemangeum Agricultural Land using Spatial Analysis Method)

  • 김영주;이근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7-5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GIS 기반 공간보간법을 적용하여 새만금 농업용지의 토양 염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지 공시토양은 하해혼성 충적층을 모재로 한 문포통 이었으며 토양 표토(0~20cm)와 심토(20~40cm)로 구분하여 토양 시료를 채취하였다. 먼저 142 지점의 샘플을 이용하여 공간보간에 따른 EC, ESP, SAR의 분포특성을 파악하였으며, 143 지점의 검증점에 대한 오차분석을 통해 EC와 SAR은 IDW 방법 그리고 ESP는 Kriging 보간법을 최적의 보간법으로 선정할 수 있었다. 최적의 보간법을 이용하여 EC, ESP, SAR 염분농도 항목별로 2014년에서 2016년 동안의 토양 염도 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EC, ESP, SAR는 강우발생에 따른 희석효과 등으로 각각 0.26mg/L, 5.97mg/L, 0.73mg/L 만큼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