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ble Fire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터널 화재 시 열감지기 작동 온도의 비교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mparison of Operating Temperatures in Thermal Detector due to Tunnel Fire)

  • 노형기;박광영;임석빈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23-27
    • /
    • 2011
  • 건설 기술 발전과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으로 인하여 건설되고 있는 터널은 지하 공간과 같은 폐쇄 공간의 특성으로 화재 시발생하는 연기와 열은 인명 및 물적 피해에 영향을 주는 매우 큰 위험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온도 변화를 측정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을 설치하여 감지기가 동작한 온도 변화 값 및 시간과 실 화재 실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화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온도센서의 온도 변화 값 및 시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화재실험과 화재 시뮬레이션의 온도변화는 점화 후 1분 이내에 화재를 감지하여 신호를 경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재 감지기와 시뮬레이션 온도 센서의 온도변화 특성은 터널 내부의 기류 속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터널 화재는 연기의 방향에 의해 피난과 소방대 진입에 영향을 미치므로 화재 지점과 화재 방향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지중송전선로 접속부용 미분무 강화액 소화설비의 개발연구 (Development of Loaded Stream Fire Extinguishing Systems for Underground Transmission Cables)

  • 이성모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93-98
    • /
    • 2008
  • 지하전력구에서의 지중송전선로 접속부의 화재에 대한 강화액 미분무 소화설비의 개발을 위한 화재시험을 수행하였다. 높이 5.5m, 폭 3m, 길이 6m의 화재시험실에 154 kV OF 케이블 6단으로 소화모형을 설치하였으며 하부의 점화대의 연료는 휘발유를 사용하였다. 화재감지용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는 케이블 최상단에 설치하였고, 소화약제 방출노즐은 천장부와 측벽부에 각각 설치하였다. 총 7회의 소화시험을 실시하고 미분무 강화액 소화설비로 개발된 제품을 소화모형에 방사하여 표면화재 및 심부화재의 판정기준인 3분 이내에 성공적으로 소화하였다.

형상기억합금과 광케이블을 이용한 터널의 화재감지 시스템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Monitoring System for Tunnel Using SMA and Fiber Optic Cable)

  • 황지현;박기태;이규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28-134
    • /
    • 2014
  • 최근 도로터널은 비용절감 및 자연보호를 위하여 설계 및 시공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 때문에 반밀폐 구조인 터널내의 화재에 대비하여 화재 발생 시 신속히 감지할 수 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 중에서도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법은 대역폭이 넓기 때문에 전송속도가 빠르고, 빛을 매개체로 하여 전기적인 간섭을 받지 않아 전송 도중에 정보 손실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노이즈 또한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이에 따른 연구와 현장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형상기억합금과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화재 발생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화재 감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실내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광 손실량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거리 및 온도 등의 외부환경이 다른 지하공동구에 test bed를 설치하여 화재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화재감지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장거리 구간의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의 블랙박스 와이어링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Risk of Black Box Wiring in Motor Vehicle)

  • 강신동;김주희;최준표;김재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22-28
    • /
    • 2017
  • According to the National Fire Data System (NFDS), more than 5,000 vehicle fires have occurred every year for the last 10 years. Vehicle fires are primarily caused by mechanical (breaking system and engine), electrical (wiring and battery), and chemical (oil and fuel gas leakage) problems. The electrical factor has increased with the installation of driver convenience equipment. For example, today, the black box is widely used to provide video data recording of motor vehicle accidents. The black box consists of a front camera, rear camera, and wires. The black box wires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junction box or fuse box from the start battery that operates to provide normal on power supplying for engine stop. It is extremely dangerous when the wires short circuit due to insulation aging, mechanical and electrical stress, etc. In this study, the black box wiring fire risk have been analyzed and investigated when the steady state and abnormal operations, an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wiring arrangements with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insulation aging, poor contact, and short circuits. The results showed that black box wiring short circuits had a higher fire risk than the other fire hazard elements. To prevent fire hazards caused by black box wiring, the black boxes must be installed by qualified service personnel. Do not modify the wiring, remove the fuse and secure the wiring using cable ties or insulation tape.

유도성 커플러를 이용한 지하공동구의 상태감시시스템 (Implementation of condition monitoring system in underground utility tunnels using inductive coupler)

  • 주우진;김현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597-1603
    • /
    • 2017
  • 지하공동구의 화재 발생 빈도는 다른 화재에 비하여 낮은 편이나 화재로 인한 피해는 경제적 손실 뿐만 아니라 사회운영 마비로 사회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지하공동구 내 설치된 누설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지하공동구의 상태감시시스템 구축에 대한 실증 시험 결과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지하공동구에 설치된 누설 동축케이블에 삽입손실 특성이 $-6{\pm}2dB$인 유도성 커플러와 200 Mbps급 전력선 통신 모뎀을 연결하여 실증 시험한 결과, 500 m까지 IP 카메라의 송/수신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선로의 추가 설치 없이도 지하공동구 내 설치된 누설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지하공동구에 상태감시시스템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플러 센서를 적용한 대기전력 자동 차단복구 장치 (Development of Automatic Shutdown and Recovery Device for Standby Power using Doppler Sensor)

  • 박양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243-249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전기제품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대기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장치를 개발하였다. 도플러 센서를 사용하여 사람이 콘센트 주변에 존재 유무에 따라 콘센트의 전원공급과 차단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다. 도플러 센서는 동축 케이블 트랩을 사용하여 송신 안테나를 설계하였으며 10GHz 대역의 RF신호를 방사하여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된 파장이 변화된 반사파 신호를 수신부로 수신하여 물체를 감지하여 사람의 접근을 인지하도록 하였다.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차단 및 복구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누설전류에 의한 대형 화재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대기전력 자동 차단 및 복구 장치를 개발하였다.

FDS를 이용한 전기실의 화재모델링 및 연기제어 특성 분석 (Fire Modeling and Smoking Control Characteristic Analysis of Electric Room by Using FDS)

  • 최정아;이민구;이대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62-668
    • /
    • 2018
  • 전기실은 대부분 건물의 지하공간에 위치하고 있어 전기설비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학적 가공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절연재로 화재가 확대되어 강한 독성의 연기 및 연소생성물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한 연기 및 연소생성물이 수직적, 수평적으로 빠르게 이동하게 되면 재실자의 피난 및 소방대의 소방 활동에 지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전기실의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연기제어에 필요한 최적의 설비 및 설계가 필요하지만 현재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FDS(Fire Dynamics Simulator)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PyroSim을 이용하여 전기실의 큐비클식 수배전반에서의 화재발생에 따른 연기 및 연소생성물의 특성변화를 분석하였다. 화재모델링은 기계식 환기설비의 작동여부, 급기량 및 배기량의 변화, 급기구의 위치 변경에 따른 4가지 시나리오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기계식 환기설비가 작동하면 작동하지 않을 때보다 연기밀도, 가시거리, 일산화탄소 농도, 온도특성이 더욱 개선되어지며, 소방법 규정으로 풍량과 급기구의 위치를 적용할 경우 가시거리 및 온도특성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지하시설물(구조물형) 데이터 품질검증방법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Data Quality Valid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Structure-type))

  • 배상근;김상민;유은진;임거배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1권2호
    • /
    • pp.5-20
    • /
    • 2021
  • 지하공간통합지도는 2014년도에 전국적으로 발생했던 싱크홀을 계기로 15종의 지하정보를 통합한 국가공간정보로서, 2015년부터 지속적으로 구축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도 온수관 파열, 통신구 화재, 지반 침하 등과 같은 지하공간에서의 재난·재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지하정보의 품질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하공간통합지도 데이터의 품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지하공간통합지도를 통해 관리되는 15종의 지하정보 중 신규 구축 비중이 가장 높은 지하시설물(구조물형) 데이터의 품질검증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부분 육안검수로 진행되고 있는 현재의 검수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품질검사 기준을 좀 더 구체화·세분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품질요소, 세부요소, 세세부요소, 품질검사 기준으로 구성된 검사항목에 품질검사 방법, 품질검사 규칙, Flow Diagram, 해결 가능 오류 유형 항목을 추가하여 속성정보 뿐 아니라 도형정보까지 소프트웨어로 자동검수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