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

검색결과 6,864건 처리시간 0.041초

다슬기로 제조한 칼슘 락테이트가 반죽의 발효와 빵의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cium Lactate Prepared from Black Snail on Dough Fermentation, Quality and Shelf-life of Bread)

  • 이예경;이명예;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6-144
    • /
    • 2003
  • 다슬기분말(PBS)과 그 회분(ABS)으로 제조한 칼슘락테이트(CaL-A및 CaL-P를 0.5%되게 첨가한 반죽의 발효와 빵의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칼슘락테이트를 첨가하여 1차발효시킨 후 반죽의 pH는 5.98~5.86으로 대조군의 5.50보다 높았다. 반죽의 부피와 빵의 loaf volume index는 CaL-A 첨가군이 대조군 보다 현저하게 낮았으나 pH를 5.5로 조정한 후의 반죽부피와 빵의 loaf volume은 대조군과 비슷하였다. 처리군의 칼슘함량은 39.36~49.70 mg/100 g으로 대조군(13.43 mg/100 g)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처리군 빵의 색상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빵의 경도와 점착성은 CaL-A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고, 탄력성과 응집성은 낮았으나 pH를 5.5로 조정한 경우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처리군 빵의 현미경 관찰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기공이 작고 air cell이 크며 표면이 거칠었다. 맛, 색상, 냄새 및 종합적인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대조군>CaL-A>CaL-P 순으로 첨가군의 관능적 품질이 낮았다. 그러나 pH를 5.5로 조정하여 제조한 빵에서는 종합적인 기호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칼슘락테이트를 첨가한 빵은 곰팡이 발생이 지연되었으며 곰팡이의 발생정도로 평가한 2$0^{\circ}C$에성의 저장수명은 대조군이 1, CaL-A 첨가군 3일, CaL-P 첨가군은 5일이었다.

  • PDF

Effects of High Dietary Calcium and Fat Levels on the Performance, Intestinal pH, Body Composition and Size and Weight of Organs in Growing Chickens

  • Shafey, T.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1호
    • /
    • pp.49-55
    • /
    • 1999
  • The effect of fat supplementation of high calcium (Ca) diets on the performance, intestinal pH, body composition and size and weight of organs in growing chickens were investigated in two experiments. Growing chickens tolerated a high dietary level of Ca (22.5 vs 12.1 g/kg) in the presence of 6.3 g/kg of available phosphorus without any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Intestinal p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excess Ca and fat which probably created the right pH for the formation of insoluble Ca soaps. Excess dietary Ca increased carcass linoleic acid concentration at the expense of palmitic and stearic acid contents, whilst the addition of sunflower oil (80 g/kg diet) to the diet increased carcass linoleic acid concentration at the expense of palmitic acid content of the carcass. Intestinal and visceral organ size and weight were not influenced by excess Ca or fat. However, there was a non significant increase in the intestinal dry weight per unit of length caused by excess dietary Ca. It was concluded that excess dietary Ca of 22.5 g/kg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meat chickens. However, excess Ca increased intestinal pH and altered carcass fatty acid composition. Fat supplementation did not alter intestinal pH with high Ca diets. Excess dietary fat altered carcass fatty acid composition and reduced protein content. Intestinal and visceral organ size and weights were not influenced by excess dietary levels of Ca of fat.

$CaO-P_2O_5-SiO_2$계 유리의 형성 및 구조 (Formation and Structure of $CaO-P_2O_5-SiO_2$ Glasses)

  • 조정식;김철영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729-738
    • /
    • 1992
  • The glass formation and structural change with the glass compositions were investigated in the CaO-P2O5-SiO2 system with less than 40 wt% of P2O5. The glass formation range was determined by XRD, SEM and EDS techniques for water quenched specimens. The structural analyses were made for binary CaO-SiO2 glasses and ternary CaO-P2O5-SiO2 glasses by using FT-IR and Raman spectroscopy. The glass formation was affected by CaO/SiO2 mole ratio, P2O5 content and primary crystalline phase. The stable glass formation range was found when the transformed CaO/SiO2 mole ratio (new factor derived from structural changes) was in the range of 0.72~1.15 with less than 10 mol% of P2O5. The structural analyses of CaO-SiO2 glasses indicated that as the CaO/SiO2 ratio was increased, the nonbridging oxygens in the structural unit of the glasses were increased. With addition of P2O5 to CaO-SiO2 glasses, the P2O5 enhanced the polymerization of [SiO4] tetrahedra unit in CaO-SiO2 glasses, which contained a large portion of nonbridging oxygen. The phosphate eliminated nonbridging oxygens from silicate species, forcing polymerization of silicate structures and produced in [PO4] monomer in glasses. When added P2O5 was kept constant, the structural change with various CaO/SiO2 ratio was very similar to that of CaO-SiO2 glasses.

  • PDF

일부 농촌지역 주민에서 혈청 CA19-9 및 CA125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Factors Related to Serum Level of Carbohydrate Antigen 19-9 and Cancer Antigen 125 in Healthy Rural Populations in Korea)

  • 이수근;유근영;박수경;강대희;김진규;정준기;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1-80
    • /
    • 1998
  • 우리 나라의 일부 지역 주민에서 혈청 CA19-9과 CA125 농도의 분포를 관찰함으로써 경계치 설정 이전에 미리 예비적 자료를 확보하고, 두 종양표지자의 측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특히 음주와 흡연 습관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단시적 조사연구를 시도하였다. 1995년에 일부 농촌지역 성인 171명(남자 76명, 여자 95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와 혈청 검사를 통해 개개인의 음주, 흡연습관 및 생식요인에 관한 정보 및 혈청 CA19-9 및 CA125 농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청 CA19-9 농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남녀 각각 $10.4{\pm}11.1{\mu}/ml$, $10.1{\pm}10.0{\mu}/ml$로 남녀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CA125 농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각각 $2.5{\pm}12.2{\mu}/ml$, $11.2{\pm}7.4{\mu}/ml$로 여자에서 높았다. 한편 현재 임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양성판정치를 근거로 하여 판정한 혈청 CA19-9 및 CA125 양성률은 각각 2.9%, 1.8%이었으며, 각각 남녀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혈청 CA19-9 농도는 일일 흡연량(r=0.23, p=0.054) 및 총 흡연량(r=0.28, p=0.017)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성별로는 여자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일일흡연량 r=0.59, p=.0.026 ; 총흡연량 r=0.74, p=0.003). 3) 혈청 CA125 농도는 흡연시작연령(r=0.51, p=0.000) 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총흡연기간(r=-0.23, p=0.051) 및 총흡연량(r=-0.23, p=0.057)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성별로는 남자에서만 흡연시작연령(r=0.28, p=0.03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혈청 CA125 농도는 여자에서 연령(r=-0.20, p=0.058), 생리중단 연령(r=-0.28, p=0.030), 총수유기간(r=-0.29, p=0.014)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혈청 CA19-9 및 CA125 농도는 비만, 학력, 그리고 음주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여자에서는 혈청 CA19-9 및 CA125 농도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0, p=0.047). 6) 연령 및 비만의 교란효과를 통제하기 위한 중회귀분석 결과, 혈청 CA19-9 농도와 유의한 회귀관계를 보이는 변수는 없었다. 이에 비해 혈청 CA125 농도는 전체대상례에선 흡연시작연령이 빠르거나(p=0.000), 총 흡연기간이 길거나(p=0.001), 총흡연량이 많거나(p=0.020), 생리중단연령이 늦거나(p=0.035), 수유를 오래 할수록(p=0.05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로 분석하였을 때 여자에서 흡연인자들의 유의한 회귀관계가 모두 소실되었다. 결론적으로, 혈청 CA19-9 농도는 흡연, 음주, 월경-출산관련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않는 것으로 보여 실제 임상에 적용할 때 이들 변수를 고려하지 않고도 이용될 수 있는 비교적 안정된 종양표지자로 생각된다. 이에 비해 혈청 CA125 농도는 흡연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연령과 비만지수에 따라 흡연량이 교란영향을 받고 있는 지표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여성에서는 폐경연령과 총수유기간이 유의한 관계를 보여 향후 정상치역 결정시 생리, 수유 등의 변수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aO2 적용에 따른 퇴적물의 P fraction 변화와 수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O2 Application on the Change of Sedimentary Phosphorus Fraction and Water Quality)

  • 김범근;모하메드아케트키룰;권성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11-520
    • /
    • 2019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improve the phosphorus release and water quality by transformation of sedimentary P fraction for application of $CaO_2$. For the experiment, 0.5% (w/w) of $CaO_2$ was homogenized in the sediment and incubated with the control for 20 days. The analytical results showed that pH increased with $CaO_2$ and redox potential (ORP) was improved in the sediment of the reactor. The growth rate of chlorophyll-a was lower in the $CaO_2$ reactor and Dissolved Oxygen (DO) of overlying water maintained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otal phosphorus (T-P) concentration in the overlying water increased from the initial concentration to 0.304mg/L in the control at 20 days. The reactor of $CaO_2$ was lowered by 29.3%. Ex-P, Fe-P and Ca-P in sediment P fraction were increased with the $CaO_2$. The formation of bound Fe-P and Ca-P in the sediments seemed to control the release of P by removing the Soluble Reactive Phosphorus (SRP) presented in the pore water. From the result, this indicated that the reduction of P release from the sediments seems to be effective in suppressing the eutrophication of P and improving the oxygen condition in the water quality with the application of $CaO_2$.

경작지(耕作地) 전토양(田土壤)의 인산특성(燐酸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축적인산(蓄積燐酸)의 형태별(形態別) 조성(造成)과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Phosphorus in the Upland Soil I. Composition of Accumulated Phosphorus Forms and Available Phosphorus)

  • 신철우;김정제;윤정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29
    • /
    • 1988
  • 인산(燐酸) 축적지(畜積地) 토양(土壤) 149점(點)(시건설원예지(施設園藝地) 60점(點), 마늘, 양파, 고추 재배지(栽培地) 89점) 에 대한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의 형태별(形態別) 조성(造成)과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총(總) 인산(燐酸)에 대한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의 분포비(分布比)는 68.9%(Sa-p 2.7, Al-p 26.4, Fe-p 27.6, Ca-p 12.2), 유기태인산(有機態燐酸)은 6.7%, 유효인산(有效燐酸)은 26.0%이었따. 2.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 함량(含量)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서 Al-p와는 0.1%에서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으며, Sa-p, Ca-p 순으로 유의성(有意性)을 보였고 Fe-p와는 일정한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 함량(含量)과의 다중회귀분석(多重回歸分析) 결과(結果) $Av.P=81.694+0.858Sa-p^{***}+0.648Al-p^{***}+0.091Ca-p^{**}(R=0.826^{***})$의 관계식(關係式)을 얻었으며, 각 성분(成分)의 기여도(奇與度)는 Sa-p 26.1, Al-p 65.2, Ca-p 8.7%이었다. 4.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수용성인산(水溶性燐酸), 수용성인산(水溶性燐酸)과 $0.01M-CaCl_2-p$와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고, $0.01M-CaCl_2$ 용액(溶液)에 의한 30분(分) 추출법(抽出法)은 토양용액(土壤溶液) 인산(燐酸)을 신속(迅速) 간편(簡便)하게 추정(推定)할 수 있는 방법(方法)으로 생각되었다.

  • PDF

우리나라 폐경전 여성에서 칼슘, 단백질, 인의 섭취상태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alcium, Protein, and Phosphorus Intakes on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remenopausal Women)

  • 오재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1호
    • /
    • pp.59-69
    • /
    • 1996
  • Effects of dietary calcium(Ca), protein, and phosphorus(P) intake on bone mineral density (BMD) were investigated in 129 Korean premenopausal women(age 31-54 years) without diagnosed disease. BMD was measured at the spine(vertebrae L2-4) and femur(neck, Ward's triangle and trochanter).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shown that protein, Ca, and P intakes affected most significantly on BMD at the vertebrae L2-4, protein and P intakes affected most significantly on BMD at the femoral neck and Ward's triangle, and body mass index(BMI) affected most significantly on BMD at the trochanteric region. When ate-matched BMD % at the vertebrae L2-4 and all femoral sites was grouped by three levels(<90%, 90-99%, >=100%), only at the vertebrae L2-4>=100% and 90-99% groups had higher Ca intakes than <90% groups. When Ca, protein and P intakes of the recommended level for Korean(RDA) were grouped by three levels (Ca or P ; <=650mg/d, 650-750mg/d, >=750mg/d, Protein ; <=55g/d, 55-60g/d, >=65g/d), only at the vertebrae L2-4>55g/d of protein intake had higher age-matched BMD % than <=55g/d intake, >=750mg/d of Ca and P intakes, age-matched BMD % than <=650mg/d. In RDA range of Ca, protein, and P intakes, age-matched BMD % of the vertebrae L2-4 and all femoral sites was greater than 90%. Correlation between Ca intake and vertebral BMD was examined closer. There was more significant linear correlation between vertebral BMD and Ca intake below 800mg/d(r=0.346, p<0.0001)than above(r=0.376, p<0.019), implying a threshold effect and vertebral BMD was better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 logarithm of calcium intake(r=0.3881, p<0.0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 protein, and P intakes greater than RDA help to maintain proper BMD in middle-aged prementopausal women. Especially dietary Ca have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vertebral BMD and 800mg/d of Ca intake is optimum amount.

  • PDF

신부전증의 개에서 혈중 칼슘/무기인과 부갑상샘 호르몬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alcium/Inorganic Phosphorus and Parathyroid Hormone Concentrations in Dogs with Renal Failure)

  • 강동준;이수한;박희명;정병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36-240
    • /
    • 2008
  • 부갑상샘 호르몬 (PTH)은 칼슘과 무기인의 수송을 조절한다. 속발성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은 대개 만성신부전에서 발생하고, 이는 개와 고양이에 있어서 CRF의 일반적인 합병증이다. 신부전을 갖는 21마리의 개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공시동물로부터 채혈한 혈액 중 칼슘 (Ca),무기인 (iP), PTH의 농도를 측정하여 칼슘과 무기인의 비율에 따라 두 군으로 분류하였다 (Ca / iP $\leq$ I; 그룹 1, Ca/ip $\geq$ 1.5; 그룹 II). 성과 연령 사이에 부갑상샘 호르몬 수준은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두 군 사이에 부갑상샘 호르몬 수준과 Ca/P의 비율에는 유의성 (p<0.0001)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칼슘과 무기인의 비율은 신부전을 갖는 개에서 부갑상샘 호르몬 수준을 예측하기 위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ositol 1,4,5-Trisphosphate-induced Increase in $Ca^{2+}-ATPase$ Activity in the Microsomes of Tracheal Epithelial Cells

  • Cho, Hyoung-Jin;Park, Sung-Shin;Kim, Young-Kee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9권2호
    • /
    • pp.269-277
    • /
    • 1995
  • Membrane vesicles were prepared by differential centrifugation from epithelial cells of porcine trachea. Total activity of microsomal ATPases was measured spectrophotometrically by a coupled enzyme assay. The steady-state activity of the enzyme was $329{\pm}10$ nmol/min mg protein. Thapsigargin, a specific antagonist of intracellular $Ca^{2+}-ATPase$, inhibited about 50% of the activity, leaving $178{\pm}18\;nmol/min .mg$ protein (n=6), indicating that the $Ca^{2+}-ATPase$ is one of the major microsomal ATPases. The microsomes used in this study appeared to be tight-sealed vesicles since they showed saturation in $^{45}Ca^{2+}$ uptake experiments. Inositol 1,4,5-trisphosphate $InsP_{3}, 4\;{\mu}M$, an agonist of $InsP_{3}$-sensitive $Ca^{2+}$ release channel ($InsP_{3}$, receptor), and Ca-ionophore A23187 $(10\;{\mu}M)$ induced $^{45}Ca^{2+}$ releases of 20% and 50% of stored $^{45}Ca^{2+}$,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10\;{\mu}M\;InsP_{3}$ also increased the microsomal ATPase activity from $282{\pm}8$ nmol/min mg protein to $334{\pm}21$ nmol/min . mg protein in the intact vesicles. Similar increase in the activity was observed by making microsomes leaky (uncoupling) using the Ca-ionophore A23187. ;$InsP_{3}-induced$ effects were blocked by either thapsigargin or heparin suggesting that: 1) the $InsP_{3}-induced$ increase in ATPase activity is mediated by microsomal $Ca^{2+}-ATPase$, and 2) dissipation of $Ca^{2+}$ gradient across the microsomal membrane is responsible for the $InsP_{3}-induced$ effect. In order to test the dependence of the $Ca^{2+}-ATPase$ activity on the activity of $InsP_{3}-induced$ the activity of ATPases was monitored in various concentrations of free $Ca^{2+}$ using $EGTA-Ca^{2+}$ buffers. The $Ca^{2+}$-dependent biphasic change is the well-known character of $InsP_{3} receptor but not of microsomal $Ca^{2+}-ATPase$ in non-excitable cells; however, the activity of microsomal ATPase appeared biphasic and a maxim진 activity of $397{\pm}36nmol/min\;.mg$ protein was obtained in the solution containing 100 nM free $Ca^{2+}$. Below or above this concentration, the activity of ATPases was lower. These results strongly support a positive correlation of microsomal $Ca^{2+}-ATPase$ to the $InsP_{3}$ receptors in epithelial microsomes.

  • PDF

포장재배(圃場栽培) 수도(水稻)의 무기영양(無機營養) -II 삼요소(三要素) 이용율(利用率)과 기상권(氣象圈) 및 토양단면(土壤斷面)의 물리(物理)·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과의 관계(關係) (Mineral Nutrition of Field-Grown Rice Plant -II Recovery of fertilizer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in relation to climatic zone and physical or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profile)

  • 박훈;신천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26
    • /
    • 1973
  • 수도삼요소(水稻三要素) 이용율(利用率)(1967 및 1968년(年))과 기상권(氣象圈), 답토양(畓土壤) 단면(斷面)의 추적양식(推積樣式) 배수등급(排水等級) 토성(土性) 및 작토(作土)의 토양화학적(土壤化學的) 특성(特性)과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N이용율(利用率)은 남부(南部)>중부(中部)>북부(北部)의 순(順)이고 K이용율(利用率)은 남부(南部)>북부(北部)>중부(中部)의 순(順)이며 P이용율(利用率)은 연도별(年度別)로 다르다. 2. P이용율(利用率)은 남부(南部)의 도(道)에서 연도별(年度別) 변동(變動)이 크고 추적(推積) 배수(排水) 토성별(土性別)에서도 연도별(年度別) 변동(變動)이 커서 토양(土壤)과 기상(氣象)의 교호작용(交互作用)에 크게 영향 받는것을 알 수 있다. 3. 추적양식별(推積樣式別) N이용율(利用率)은 Alluvial Colluvial (AC)>Alluvial (A)>Fluvomarine (FM)>Old Alluvial (OA)의 순(順)이고 K이용율(利用率)은 OA>AC>A>FM의 순(順)이다. 4. N이용율(利用率)은 토양단면(土壤斷面)의 배수(排水)가 양호(良好)할수록 적어지고 K와 P의 이용율(利用率)은 약간양호(若間良好)에서 높은 경향이고 불량(不良)이나 매우 양호(良好)의 편에서 낮은 경향이다. 5. N이용율(利用率)은 미사식양질(微砂埴壤質)에서 가장높고 사질(砂質)로 갈수록 떨어지며 식질(埴質)에서도 낮으나 K와 P 이용율(利用率)은 식양질(埴壤質) 이하(以下)의 토성(土性)에서 높은 경향(傾向)이다. 6. N이용율(利用率)은 지산 극락 신답통에서 크고 화동 규암 용지 화봉에서 적었다. 7. N이용율(利用率)은 토양중(土壤中)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OM), Ca 및 CEC와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보이고 P이용율(利用率)이 높았던 해에만 P함량(含量)과 유의부상관(有意負相關)을 보였으며 P이용율(利用率)은 CEC, Mg 및 Ca와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보였다. 8. K이용율(利用率)은 그것이 적었던 해에는 K/(Ca+Mg), P, OM, K의 순(順)으로 부상관(負相關)을 Ca, Mg, CEC 순(順)으로 정상관(正相關)을 보였는데 K/(Ca+Mg)와만 유의성(有意性)이 있으며 K이용율(利用率)이 큰 해에는 P, OM, K/(Ca+Mg) K의 순(順)으로 정상관(正相關)을 CEC, Mg, Ca 순(順)으로 부상관(負相關)을 보였는네 P, OM, CEC 와만 유의성(有意性)을 갖는다. K이용율(利用率)이 컸던 해에만 토양중 K는 토양중 P 및 OM과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갖는다. 9. 삼요소이용율(三要素利用率)과 pH는 유의성(有意性)은 없으나 부상관(負相關)이다. 10. OM은 P K 및 K/(Ca+Mg)와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Mg와는 유의부상관(有意負相關)을, P는 K, K/Ca+Mg와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Mg 및 CEC와 유의(有意) 부상관(負相關)을 K는 K/(Ca+Mg), Mg 및 CEC와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K/(Ca+Mg)는 Ca와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Mg 및 CEC와는 유의부상관(有意負相關)을, Ca는 Mg CEC 및 pH와, Mg는 CEC와 유의(有意) 정상관(正相關)을 보였다. 11. 삼요소(三要素) 이용율(利用率) 및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 상호간(相互間)의 관계에서 OM이 시비(施肥)N의 흡수(吸收)를 돕고 K흡수(吸收)는 K보다 K/(Ca+Mg)에 의(依)하여, P흡수(吸收)는 Mg에 의(依)하여 크게 영향받는 것을 알수있고 P와 K이용율(利用率)이 해에 따라 다른 원인(原因)이 부분적(部分的)으로 설명(說明)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