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_{16}$(Palmitic acid)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6초

발아기간에 따른 벼(Oryza sativa L.)의 화학성분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Rough Rice (Oryza sativa L.) according to Germination Period)

  • 김현영;황인국;김태명;박동식;김재현;김대중;이연리;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265-127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벼의 적당한 발아기간을 선정하기 위하여 발아기간에 따른 다양한 성분변화를 살펴보았다. 조단백질은 발아 0일차의 71.67 mg/g에서 발아 8일차에는 85.20 mg/g으로, 조지방은 2.19%에서 3.58%로 발아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p<0.05) 조회분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hytic acid는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서 6.25 mg/g(0일차)에서 1.54 mg/g(8일차)으로 많은 감소를 보였으며(p<0.05), 유리지방산은 0.17%에서 0.32%로 증가하였다. 발아 벼의 지방산은 oleic acid(C18:1)가 가장 많았으며, 발아기간의 증가에 따라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p>0.05). 비타민 E와 ${\gamma}$-oryzanol은 발아 0일차에 각각 2.94 mg/100g 및 6.47 mg/g에서 발아 4일차에 5.55 mg/100 g 및 8.16 mg/g으로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 기능성성분 함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3~4일 간의 발아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며,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Higher Biomass Productivity of Microalgae in an Attached Growth System, Using Wastewater

  • Lee, Seung-Hoon;Oh, Hee-Mock;Jo, Beom-Ho;Lee, Sang-A;Shin, Sang-Yoon;Kim, Hee-Sik;Lee, Sang-Hyup;Ahn, Chi-Y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11호
    • /
    • pp.1566-1573
    • /
    • 2014
  • Although most algae cultivation systems are operated in suspended culture, an attached growth system can offer several advantages over suspended systems. Algal cultivation becomes light-limited as the microalgal concentration increases in the suspended system; on the other hand, sunlight penetrates deeper and stronger in attached systems owing to the more transparent water. Such higher availability of sunlight makes it possible to operate a raceway pond deeper than usual, resulting in a higher areal productivity. The attached system achieved 2.8-times higher biomass productivity and total lipid productivity of $9.1g\;m^{-2}day^{-1}$ and $1.9g\;m^{-2}day^{-1}$, respectively, than the suspended system. Biomass productivity can be further increased by optimization of the culture conditions. Moreover, algal biomass harvesting and dewatering were made simpler and cheaper in attached systems, because mesh-type substrates with attached microalgae were easily removed from the culture and the remaining treated wastewater could be discharged directly. When the algal biomass was dewatered using natural sunlight, the palmitic acid (C16:0) content increased by 16% compared with the freeze-drying method.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in other fatty acid composition. Therefore, the attached system for algal cultivation is a promising cultivation system for mass biodiesel production.

Drumstick-tree (Moringa oleifera Lam.)의 주요 영양성분 및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 (Nutritional Composition and Cytoprotective Effect of Moringa oleifera Lam.)

  • 진수일;김현주;정지희;진동은;최성길;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09-615
    • /
    • 2014
  • 국내에 충분히 보고되지 못한 소재로서 drumstick-tree (Moringa Oleifera Lam.)를 고부가가치 식품 자원으로서 그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주요 영양성분 분식 및 in vitro 신경세포 보호효과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Drumstick-tree의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칼슘으로 2658.67 mg/100 g이 함유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칼륨, 마그네슘 및 인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주요 지방산으로서 포화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 (16.33%)와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gadoleic acid (66.34%)가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지용성 비타민인 vitamin E가 94.78 mg/100 g 그리고 niacin이 112.61 mg/100 g 함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80% methanol에 추출한 drum-stick-tree 추출물을 활용하여 $H_2O_2$ 처리한 PC12 cell 내의 활성산소 생성억제효과를 DCF-DA assay를 통해 측정한 결과 drumstick-tree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인 활성산소 생성 억제효과를 보였다. MTT assay를 이용하여 $H_2O_2$로 유도된 PC12 신경세포에 대한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vitamin C group 대비 효과적인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하였고, LDH release assay를 통해 일정 수준의 세포막 보호효과를 역시 확인하였다. 또한 PC12 cell의 oxidative stress-induced apoptosis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caspase assay 실험 결과, 세포 내 caspase activity가 추출물의 의해 효과적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수한 영양 구성 성분과 함께 신경세포 내 oxidative stress의 저감화 등을 통한 drumstick-tree 추출물의 신경 세포 보호 효과는 고부가가치 천연 소재로서의 다양한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천마의 식품학적 성분 분석 및 건조방법에 따른 특성 변화 (Analysis of Food Components of Gastrodiae Rhizoma and Changes in Several Characteristics at the Various Drying Conditions)

  • 이부용;최현선;황진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7-42
    • /
    • 2002
  • 본 연구는 천마의 식품성분들을 분석하고 건조방법에 따른 특성들을 비교하여 식품가공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생천마의 수분함량은 81.20%이었다. 동결건조한 천마의 수분함량은 7.61%, 조단백질 6.21%, 조지방 1.50%, 조회분 2.55%, 탄수화물 89.74%이었다. 천마의 총 식이섬유는 11.68%이었다. 동결건조와 $40^{\circ}C$$60^{\circ}C$에서 열풍건조한 천마 분말의 색도에서 L값은 동결건조한 천마가 94.52로 가장 높았으며 a값과 b값은 $60^{\circ}C$ 열풍건조한 천마가 각각 0.76, 16.41로 가장 높았고 3가지 천마시료의 색도 차이가 뚜렷했다. 천마에서 가장 많은 무기질은 K(1265.03 mg%)이었고, 아스파르트산(1272.10 mg%)과 글루탐산(1249.50 mg%)이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이었다. 4가지 유리당의 총 함량은 19.02%이었고 그중 maltose가 11.04%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조지방중의 지방산은 linoleic acid(53.79%)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비타민 A는 생천마, 동결건조한 천마, 열풍건조한 천마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은 반면, 비타민 C는 생천마 0.015%, 동결건조한 천마 0.010%, $60^{\circ}C$ 열풍건조한 천마는 0.002%로 나타났고 $40^{\circ}C$ 열풍건조한 천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생천마, 동결건조한 천마, $40^{\circ}C$$60^{\circ}C$에서 열풍건조한 천마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동결건조한 천마는 생천마에 비해 비린내, 쿰쿰한 냄새, 쓴맛, 찝찔한 맛 등의 부정적인 요소들이 줄어든 반면 단맛의 강도는 약간 더 증가했으며 $40^{\circ}C$ 열풍건조한 것은 텁텁한 맛이 뒷맛으로 느껴졌고, $60^{\circ}C$ 열풍건조한 천마는 가열에 의한 고소한 냄새가 강하게 감지되고 쓴맛과 떫은맛 등의 부정적인 요소들이 거의 느껴지지 않으면서 바삭바삭한 조직감과 함께 단맛과 고소한 맛이 강하게 느껴졌다.

대두유와 돈지의 가열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표면적의 영향 (Effect of Surface Area of Soybean Oil and Lard on the Thermooxidative Stability)

  • 김인환;김영순;최양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81-786
    • /
    • 1998
  • 가열산화 과정중 대두유 및 돈지의 표면적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두유와 돈지를 공기와 접촉면적이 서로 다른 시료 4가지$(0.04,{\;}0.08,{\;}0.12,{\;}0.16{\;}cm^2/g)$$185^{\circ}C$에서 64시간동안 가열하였다. 각 시료의 산패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요오드가, 공액이중결합함량, 굴절률, 유전상수, 극성지질함량 및 리놀렌산과 팔미트산의 비(L/P ratio)등이 측정되었다. $0.04{\;}cm^2/g$$0.08{\;}cm^2/g$의 표면적을 갖고 64시간 동안 가열한 대두유의 요오드가는 각각 126.4와 125.4인 반면에 $0.12{\;}cm^2/g$$0.16{\;}cm^2/g$의 표면적을 갖고 64시간 동안 가열한 대두유의 요오드가는 각각 113.1과 116.9로 표면적 증가에 따라 급속한 감소를 보였다. 돈지의 경우에는 대두유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나 그 감소 폭은 대두유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대두유와 돈지의 극성지질함량, 유전상수, 굴절률 등은 $0.124{\;}cm^2/g$부터 급속한 증가를 보였다. 한편 대두유의 경우 $0.12{\;}cm^2/g$부터 가열시간에 따라 공액이중결합함량은 급속한 증가를, 리놀렌산과 팔미트산의 비(L/P ratio)는 급속한 감소를 나타냈으나 돈지의 경우에는 표면적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가열산화 과정 중 표면적에 따른 유지의 산화정도는 $0.12{\;}cm^2/g$부터 산패가 급속히 진행됨을 보여주었다.

  • PDF

돔배기용 상어육의 이화학적 성분 비교 (Physicochemical Comparison of Two Different Shark Meats Used for Preparation of Dombaeki)

  • 김은옥;유명화;이기택;김선봉;최상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11-718
    • /
    • 2008
  • 경북 영천 특산물인 상어 '돔배기'의 고품질화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영천에서 '돔배기'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귀상어 및 청새리상어육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새리상어육의 수분 함량이 귀상어육보다 낮은 대신 조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의 함량은 다소 높았으나 건물중으로 환산하면 큰 차이가 없었다. 상어육의 주된 아미노산은 leucine(715.47 mg%), lysine (589.62 mg%), arginine(514.24 mg%), proline(382.64 mg%), isoleucine(326.29 mg%), valine(302.32 mg%), phenylalanine (283.32 mg%), glutamic acid(265.74 mg%), asparagine (256.64 mg%) 및 alanine(239.74 mg%)로서 전체 총 아미노산의 40% 차지하고 있었으며, 귀상어육은 proline(119.58 mg%)을 제외하고 주된 아미노산 및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청새리상어육보다 낮았다. 상어육의 주된 지방산 조성을 보면 palmitic, stearic, oleic, arachidonic 및 docosahexaenoic acids로서 귀상어육은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거의 유사하였으나 청새리상어육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다소 높았으며, 아울러 DHA 함량이 귀상어육보다 높았다. 상어 지질류는 인지질 함량(약 65%)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스테롤, 중성지방, 유리지방산 순으로 낮았고, 인지질은 레시틴 및 세팔린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었으며, 주된 지방산은 myristic, palmitoleic, stearic 및 docosaheaenoic acids 이었고 그 함량은 상어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청새리상어육은 귀상어육보다 총휘발염기성질소 함량과 pH가 다소 높았으나 색상이 밝고 연하였다.

포장방법이 동결계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ing Method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ozen Chicken)

  • 박구부;하정기;박범영;이상진;박용윤;박태선;신택순;이정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93-201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ffect of pack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st and thigh meats in chicken, which was dried by air spray chilling method. The chicken carcass was cut into breast and thigh muscles, which were either vacuum packed or atmosphere packed, and stored at -2O˚C for 1, 4, 8, 12 and 16 wk after quick freezing at -45˚C for 35 min. The pH values of atmosphere-packed breast meat and vacuum-packed breast meat after one wk of storage were higher than those of atmosphere-packed thigh meat and vacuum-packed thigh meat(P< .05). The pH values increased as storage period extende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between two packing method(vacuum vs. atmosphere). Total moisture contents of breast meats after one wk of storag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igh meats. The total moisture contents decreased slowly as storage period extende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between two packing method(vacuum vs. atmosphere). The shear force value of thigh meat was higher than that of breast meat. The shear force values of both meats decreased as storage period extended, regardless of packing method. The water soluble protein extractability of thigh meats was higher than that of breast meat, and the water soluble protein extractability of all treatments decreased until 8 wk after storage, but increased gradually after 8 wk of storage period. The salt soluble protein extractability of breast meat was higher than that of thigh meat, and the salt soluble protein extractability of all treatments decreased as storage period extended. With regard to the packing method, the vacuum packing showed higher value than that of atmosphere packing method until 8 wk of storage. Total lipid contents of atmosphere- and vacuum-packed thigh meats at 1 wk of storage were higher than those of breast meats, and the total lipid contents of all of treatments decreased as storage period extended.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between two packing methods. The fatty acid contents of breast and thigh meats were in order of o1eic(33,5~42.4), palmitic(19.7~30.8) and linoleic acid(10.8~17.4).

  • PDF

Investigation of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Heat-Treated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LM1004 and Its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

  • Bae, Won-Young;Jung, Woo-Hyun;Shin, So Lim;Kwon, Seulgi;Sohn, Minn;Kim, Tae-Rah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1031-1045
    • /
    • 2022
  • Postbiotics are defined as probiotics inactivated by heat, ultraviolet radiation, sonication, and other physical or chemical stresses. Postbiotics are more stable than probiotics, and these properties are advantageous for food additives and pharmacological ag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heat-treated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LM1004 (HT-LM1004). Cellular fatty acid composition of L. plantarum LM1004 isolated form kimchi wa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detection system. The nitric oxide (NO) content was estimated using Griess reagent. Immunostimulatory cytokines were evaluat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lative protein expressions were evaluated by western blotting. Phagocytosis was measured using enzyme-labelled Escherichia coli particles. L. plantarum LM1004 showed 7 kinds of cellular fatty acids including palmitic acid (C16:0). The HT-LM1004 induced release of NO and upregulated the inducible NO synthase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nterleukin-6 levels were also increased compared to control (non-treated macrophages). Furthermore, HT-LM1004 modulate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subfamilies including p38 MAPK,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and c-Jun N-terminal kinase. Therefore, these immunostimulatory effects were attributed to the production of transcriptional factors, such as nuclear factor kappa B (NF-κB) and the activator protein 1 family (AP-1). However, HT-LM1004 did not showed significant phagocytosis of RAW 264.7 macrophage cells. Overall, HT-LM1004 stimulated MAPK/AP-1 and NF-κB expression, resulting in the release of NO and cytokines.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iverse types of food and pharmacological products for immunostimulatory agents with postbiotics.

Peptides derived from high voltage-gated calcium channel β subunit reduce blood pressure in rats

  • Hyung Kyu Kim;Jiyeon Jun;Tae Wan Kim;Dong-ho Yo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7권5호
    • /
    • pp.481-491
    • /
    • 2023
  • The β subunits of high voltage-gated calcium channels (HGCCs) are essential for optimal channel functions such as channel gating, activation-inactivation kinetics, and trafficking to the membrane. In this study, we report for the first time the potent blood pressure-reducing effects of peptide fragments derived from the β subunits in anesthetized and non-anesthetized rats.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16-mer peptide fragments derived from the interacting regions of the β1 [cacb1(344-359)], β2 [cacb2(392-407)], β3 [cacb3(292-307)], and β4 [cacb4(333-348)] subunits with the main α-subunit of HGCC decreased arterial blood pressure in a dose-dependent manner for 5-8 min in anesthetized rats. In contrast, the peptides had no effect on the peak amplitudes of voltage-activated Ca2+ current upon their intracellular application into the acutely isolated trigeminal ganglion neurons. Further, a single mutated peptide of cacb1(344-359)-cacb1(344-359)K357R-showed consistent and potent effects and was crippled by a two-amino acid-truncation at the N-terminal or C-terminal end. By conjugating palmitic acid with the second amino acid (lysine) of cacb1(344-359)K357R (named K2-palm), we extended the blood pressure reduction to several hours without losing potency. This prolonged effect on the arterial blood pressure was also observed in non-anesthetized rats. On the other hand, the intrathecal administration of acetylated and amidated cacb1(344-359)K357R peptide did not change acute nociceptive responses induced by the intradermal formalin injection in the plantar surface of rat hindpaw. Overall, these findings will be useful for developing antihypertensives.

연화 및 연화주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활성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Nelumbo nucifera Gaertner flower and its wine)

  • 곽우선;이선규;이기진;김계훈;김혜란;이효구;오지원;이옥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73-380
    • /
    • 2014
  • 본 연구는 연화 및 연화주에 대한 식품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화 및 연화주의 영양성분, 항산화성분 및 다양한 모델에서의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였다. 연화 및 연화주의 수분함량은 각각 85.90 및 92.87%이었고, 조회분 함량은 1.04 및 0.15%, 조단백질 함량은 1.91 및 1.70%, 조지방 함량은 0.30 및 0.11%, 탄수화물 함량은 10.85 및 5.17%이었다. 연화 및 연화주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2,168 및 6,341 mg/kg 이었고 필수 아미노산은 각각 485 및 2,246 mg/kg으로 전체 아미노산 함량의 약 26.0 및 35.4%이었다. 연화에는 fructose가 0.14 g/100 g 함유되어 있었고 연화주에는 glucose 1.85 g/100 g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지방산 조성은 연화의 경우, palmitic acid(C16:0)가 약 38.63%로 가장 높았고, 연화주의 경우 oleic acid(C18:1n9c)가 약 76.24%의 비율로 가장 높았다. 무기질 함량은 연화(390 mg/100 g) 및 연화주(27.40 g/100 g)에서 모두 K이 가장 높았다. 유기산 함량은 연화에서 citric acid(2,222 mg/kg)가 가장 많았고, 연화주는 lactic acid(5,427.90 mg/kg)가 가장 많았다. 한편, 연화 에탄올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은 연화주 동결건조물에 비해 높았으며 이는 총 페놀 함량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ORAC value는 연화 에탄올 추출 및 열수 추출물에서 각각 $272.9{\pm}7.6$$275.3{\pm}2.6mM\;TE/g$을 나타낸 반면, 연화주 동결건조물에서는 $11.5{\pm}0.4mM\;TE/g$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연화 추출물은 다양한 항산화 평가모델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전통방식에 의해 제조된 연화주의 항산화 활성은 연화에 함유된 일부 항산화 성분의 침출에 기인된 것으로 사료되며, 연화추출물 및 연화주는 체내 산화적 스트레스 저감에 일부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