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TC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6초

과학화 전투훈련장 LVC-체계의 상위 구조 연구 (Study on the Architecture of Combat Training Center LVC-System)

  • 최상영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0-87
    • /
    • 2008
  • The LVC(Live, Virtual, Constructive) system of CTC(Combat Training Center) is at the very cutting edge of modeling and simulation technology, which has become widely accepted an enabler for a new military training transformation. In this paper, the architecture of LVC system is proposed for the Korean brigade-level CTC, and high level operational architecture, system architecture, and technical standard architecture are suggested.

CTC를 이용한 LSTM RNN 기반 한국어 음성인식 시스템 (LSTM RNN-based Korean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CTC)

  • 이동현;임민규;박호성;김지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93-99
    • /
    • 2017
  • Long Short Term Memory (LSTM) Recurrent Neural Network (RNN)를 이용한 hybrid 방법은 음성 인식률을 크게 향상시켰다. Hybrid 방법에 기반한 음향모델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Gaussian Mixture Model (GMM)-Hidden Markov Model (HMM)로부터 forced align된 HMM state sequence가 필요하다. 그러나, GMM-HMM을 학습하기 위해서 많은 연산 시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 속도를 향상하기 위해, LSTM RNN 기반 한국어 음성인식을 위한 end-to-end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Connectionist Temporal Classification (CTC)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 비슷한 인식률을 보였지만, 학습 속도는 1.27 배 더 빨라진 성능을 보였다.

시판 육류중의 Tetracycline계 항생물질 잔류량과 가열분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tent and Heat Decomposition of Residual Tetracycline in Meats on the Market)

  • 배기철;이영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3-87
    • /
    • 1991
  • 육류중의 Tetracycline계 항상물질의 잔류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판 중인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3종을 각각 3개시료씩 구입하여 Tetracycline(TC), Oxyteracycline(OTC) , Chlortetracycline(CTC) 의 잔류량을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잔류 항생물질의 조리가열에 의한 분해감소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판 육류중의 OTC 및 CTC 잔류량: OTC 잔류량은 닭고기의 경우 A 시료에서 흔적정도, B시료에서 불검출 , C시료에서는 0.09mg/kg이 검출되었다. 쇠고기 3개 시료에서는 C 시료에서만 돼지고기 A 및 B에서는 흔적정도로 검출되었다. CTC은 닭고기 A,C시료에서 0.14, 0.02mg/kg으로 각각 검출되었으며,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경우에는 쇠고기 B에서만 0.01mg/kg의 잔류량이 확인되었다. 2. TC 잔류량 :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Tc 분석에는 육류 자체에서 유래된 성분의 peak와 TC의 peak가 중복되어 잔류량의 판단을 방해하였으나, 닭고기의 경우에는 이러한 방해 성분이 없었으며, 3개중 A 시료에서만 0.01mg/kg의 잔류량이 검출되었다. 3. 가열방법별 항생물질의 분해정도 : 가장 고온가열인 굽기에서, 특히 TC 및 OTC의 분해가 많았다.. 4. 가열시간에 따른 분해정도 : 자불에서는 상당시간이 경과하여도 미량의 분해가 있었으나, 굽기에서는 시간경과에 따라 분해량의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굽기와 같은 조리 효과를 가진 전자오븐 가열에서는 덜 분해되었다. 가열에 대한 각 항생물질의 내열성은 CTC>OTC>TC 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Two groups of S-layer proteins, SLP1s and SLP2s, in Bacillus thuringiensis co-exist in the S-layer and in parasporal inclusions

  • Zhou, Zhou;Peng, Donghai;Zheng, Jinshui;Guo, Gang;Tian, Longjun;Yu, Ziniu;Sun, Ming
    • BMB Reports
    • /
    • 제44권5호
    • /
    • pp.323-328
    • /
    • 2011
  • We screened four B. thuringiensis strains whose parasporal inclusions contained the S-layer protein (SLP), and cloned two slp genes from each strain. Phylogenetic analysis indicated these SLPs could be divided into two groups, SLP1s and SLP2s. To confirm whether SLPs were present in the S-layer or as a parasporal inclusion, strains CTC and BMB1152 were chosen for further study. Western blots with isolated S-layer proteins from strains CTC and BMB1152 in the vegetative phase showed that SLP1s and SLP2s were constituents of the S-layer. Immunofluorescence utilizing spore-inclusion mixtures of strains CTC and BMB1152 in the sporulation phase showed that SLP1s and SLP2s were also constituents of parasporal inclusions. When heterogeneously expressed in the crystal negative strain BMB171, four SLPs from strains CTC and BMB1152 could also form parasporal inclusions. This temporal and spatial expression is not an occasional phenomenon but ubiquitous in B. thuringiensis strains.

폴리이온복합체를 이용하여 글루코스 산화효소를 고정화한 바이오전지용 효소전극 제조 (Preparation of Enzyme Electrodes for Biofuel Cells Based on the Immobilization of Glucose Oxidase in Polyion Complex)

  • 린 타이 미 그웬;이남;윤현희
    • 공업화학
    • /
    • 제24권1호
    • /
    • pp.99-103
    • /
    • 2013
  • 유리화탄소전극 위에 탄소나노튜브(CNT), 전하전달체(CTC), 글루코스 산화효소(GOx), 폴리이온복합체(PIC, poly-L-lysine hydrobromiderhk과 poly(sodium 4-styrenesulfonate) 혼합물)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글루코스/산소 바이오전지용 효소전극을 제조하였다. 또한, CNT, bilirubin oxidase (BO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그리고 PIC 등의 층으로 제조한 전극을 바이오캐쏘드로 사용하여 바이오전지를 제조하였다. CNT와 CTC가 전극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글루코스농도 5, 20, 200 mM에서 각각 3.6, 10.1, $46.5{\mu}W/cm^2$의 최대전력밀도를 나타내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극이 바이오전지 및 바이오센서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Effect of Veterinary Antibiotics on the Growth of Lettuce

  • Kim, Hye Ji;Lee, Seung Hyun;Hong, Young Kyu;Kim, Sung Chul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19-127
    • /
    • 2018
  • Veterinary antibiotics (VAs) has been used to treat animal disease and to increase body weight. However, released VAs in the soil via spreading of compost can transport to plant and affect its growth.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i) to monitor VAs concentration in plant and ii) to evaluate inhibition effect of VAs residuals on the plant growth. Red lettuce (Lactuca sativa) was cultivated for 35 days in the pot soil spiked with 3 different concertation (0.05, 0.5, $5.0mg\;kg^{-1}$) of chlortetracycline (CTC) and sulfamethazine (SMZ). After 35 days of cultivation, concentration of CTC and SMZ in the plant was measured. Residual of CTC and SMZ was only quantified at the range of $0.007-0.008mg\;kg^{-1}$ and $0.006-0.017mg\;kg^{-1}$ in the leaf and root respectively when high concentration ($5.0mg\;kg^{-1}$) of antibiotic was spiked in the soil. Leaf length and root mass was statistically reduced when $0.05mg\;kg^{-1}$ of CTC was spiked in the soil while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observed for SMZ treatment. This result might indicated that high $K_{ow}$ and $K_d$ value are the main parameters for inhibiting plant growth. Antibiotics that has a high $K_{ow}$ causing hydrophobicity and easy to bioaccumulate in the lipid cell membrane. Also, antibiotics that has a high $K_d$ properties can be sorbed in the root causing growth inhibition of the plant. Overall, management of VAs should be conducted to minimize adverse effect of VAs in the ecosystem.

Yeast Culture(Saccharomyces cerevisiae, Pichia pastoris)가 육계의 생산성,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혈청 IgG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ry Yeast Culture(Saccharomyces cerevisiae, Pichia pastoris) on the Performance Small Intestinal Microflora and Serum IgG Concentration in Broiler Chickens)

  • 박대영;남궁환;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289-296
    • /
    • 2002
  • 본 시험은 yeast culture제제들(Saccharomyces cerevisiae, Pichia pastoris)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장내 미생물균총 및 혈청 IgG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초사료(control)에 chlorotetracycline 100ppm(CTC), Saccharomyces cerevisiae 0.3%(YC-SC), Pichia pastoris 0.3% (YC-PP), 정제된 Pichia pastoris culture 0.1% (RPPC-0.1) 및 0.3%(RPPC-0.3)를 각각 첨가하였다. Ross 종 육계 1000수(암․수 각각 500수)를 20개의 floor pen에 50수(암 수 각 25수)씩 수용하여 control, CTC, YC-SC와 RPPC-0.1구는 3반복으로 YC-PP와 RPPC-0.3구는 4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증체량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대조구나 항생제첨가구에 비해 효모배양물의 첨가구(YC-SC, RPPC-0.1 및 RPPC- 0.3)에서 증체량이 약 4-5%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 항생제와 효모배양물은 첨가한 구가 대조구에 비해 사료효율이 개선되며 폐사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영양소 이용율은 yeast culture 첨가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소장하부 내용물의 Lactobacilli의 수는 효모배양물의 첨가구(YC-SC, RPPC-0.1 및 RPPC-0.3)에서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고, Cl. perfringens의 수는 CTC와 정제된 Pichia pastoris culture의 첨가에 의해 뚜렷이 저하되었다. E. coli의 수는 정제된 Pichia pastoris 구들이 낮았는데 특히 RPPC-0.3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P$\prec$0.02) 낮았다. 혈청 IgG 농도는 처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효모배양물의 첨가구들에서 control구나 항생제 첨구에서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시험에 사용된 yeast culture제제는 생산성, 소장내 미생물 균총과 혈청 IgG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항생제(CTC)와 같거나 그 이상의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생약제제(미라클®)첨가가 이유 자돈의 성장률, 영양소 이용율, 분내 미생물균총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rbal Product (Miracle®) on the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Microflora and Immunoresponse in Weanling Pigs)

  • 석종찬;임희석;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767-776
    • /
    • 2003
  • 자돈사료 내 생약제제(Miracle$^{\circledR}$) 첨가가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분 내 미생물균총 그리고 혈액 성상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총 5주간의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48두의 3원 교잡종(Y${\times}$L${\times}$D) 이유자돈(평균 개시 체중 7.84kg${\pm}$0.17, 28일령)을 4처리 4반복, 반복 당 3두씩 배치하였고, 처리구들은 대조구(T1), CTC 100ppm(T2), Miracle$^{\circledR}$ 0.15%(T3) 그리고 CTC 100ppm + Miracle$^{\circledR}$ 0.15%(T4)로 하였다. 생약제제 첨가(T3)구에서 증체량, 사료 섭취 및 사료 효율을 개선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영양소 소화율은 처리구들 간에 유의적 차이가 있었는데(P〈0.05), T3 급여구에서 건물, 조단백질, NFE, P 그리고 아미노산 소화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혈청 내 콜레스테롤 수준은 T3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는데 항생제 처리구(T2)보다 유의하게(P〈0.05) 낮았고 타 처리구들에 비해서는 낮았지만 유의차는 없었다. T3 처리구는 Triglyceride와 HDL 수준에서도 다른 처리구들 보다 낮았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혈청 IgG의 수준은 T4에서 가장 높았으며(P〈0.05) 다음으로 T1, T2 그리고 T3 순이었다. 혈청 내 AST 수준은 T1에서 가장 낮았다. 혈청 총 단백질, albumin 그리고 ALT의 수준은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분 내 Lactobacillus, Cl. perfringens 그리고 E. coli의 수 CFU는 처리구들 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3주와 5주에서 T2 (CTC 100ppm) 처리구의 Cl. perfringens가 낮은 경향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생약제제 MiracleⓇ은 이유자돈의 생산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소화율, 혈청 IgG 및 콜레스테롤 수준은 낮추고 AST 수준은 높였다. 항생제(CTC)와 생약제제 Miracle$^{\circledR}$의 혼합 사용은 단일 사용에 비교해서 상승 효과가 없었다.

Monitoring of Antibiotics in the Soil and Sediment Near at the Animal Feeding Operation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 Kim, Hye Ri;Park, Saet Byul;Kim, Sung Chul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85-292
    • /
    • 2017
  • Antibiotics have been used for treating human and animal disease and enhancing growth of cattle, swine, and poultries. However, overused antibiotics can be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and produce antibiotic resistance genes (ARGs) in the environment.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monitor residual of antibiotics in solid matrix such as manure, wastewater sludge, soil and sediment. Total of six antibiotics, Chlortetracycline (CTC), Oxytetracycline (OTC), Tetracycline (TC), Sulfamethazine (SMT), Sulfamethoxazole (SMX), Sulfathiazole (STZ), used for both human and animal was monitored. Result showed that the detection frequency of 6 antibiotics was ordered SMT (100%) > TC = CTC (75%) > OTC (38%) > STZ (13%) > SMZ (0%) and the highest concentration ($309.83{\mu}g\;kg^{-1}$, SMT) was observed in manure. Comparing residual concentration of antibiotics (TC, CTC, and OTC) in soil and sediment, higher concentration was observed in sediment indicating that dissolved forms of antibiotics are released into river and sorbed into sediment particle. In conclusion, monitoring for residual of antibiotics in the environment is necessary and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verify the source of antibiotic release.

ISOLATION OF Campylobacter jejuni AND C. coli FROM DOMESTIC AND EXPERIMENTAL ANIMALS AND THEIR DRUG SUSCEPTIBILITY

  • Nakai, Y.;Kimura, K.;Sato, M.;Inamoto, T.;Ogimoto,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7권4호
    • /
    • pp.505-507
    • /
    • 1994
  • A total of 526 domestic and experimental animals in Miyagi prefecture, Japan were investigated for fecal carriage of Campylobacter jejuni and Campylobacter coli. C. jejuni was detected in chickens (8.2%), dogs (6.3%), pigs (4.3%), cattle (1.8%) and hamsters (1.4%). C. coli was only detected from pigs (20.7%). Drug susceptibility test was performed on 5 strains of C. jejuni isolated from chickens and 13 strains of C. coli isolated from pigs to tylosin (TS), thianphenicol (TP), carbadox (CDX), chroltetracyclin (CTC), vancomycin (VCM), cefoperazone (CPZ), latamoxef (LMOX), GM were highly effective and CTC, CP and PL were moderately effective against both C. jejuni and C. coli. TS and TPH were moderately effective against C. jejuni; however, they were less effective to C. coli. One strain of C. jejuni against CTC considered to be drug resistant. The results suggest that C. jejuni and C. coli can be controlled by several drugs effectively, although a drug resistant strain ex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