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T105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초

녹용대보탕이 ${\beta}-Amyloid$로 유도(誘導)된 Alzheimer's Disease 병태(病態) 모델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NogYongDaeBoTang,(NYDBT)on the Alzheimer's Disease Model Induced by CT-105 and $A{\beta}$)

  • 서규태;이은경;최철홍;정대규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1-132
    • /
    • 2007
  • Objective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NogYongDaeBoTang,(NYDBT) on Alzheimer's disease. Method : The effects of the NYDBT extract on (1) $IL-1{\beta}$, IL-6, and $TNF-{\alpha}$ mRNA of PC-12 cells treated with LPS; (2) acetylcholinesterase(AChE), amyloid precursor proteins(APP), and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GFAP) mRNA the AChE activity and the APP production of PC-12 cell treated with CT-105; (3) the behavior; (4) expression of $IL-1{\beta}$, $TNF-{\alpha}$, MDA, $IL-1{\beta}$ mRNA, and $TNF-{\alpha}$ mRNA; (5) the infarction area of the hippocampus, and brain tissue injury in Alzheimer‘s diseased mice induced with ${\beta}A$ were investigated. Results : 1. The NYDBT extract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L-1{\beta}$, IL-6 and $TNF-{\alpha}$ mRNA in BV2 microglia cell line treated with LPS. 2. The NYDBT extract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L-1{\beta}$, IL-6, and $TNF-{\alpha}$ protein production in BV2 microglia cell line treated with LPS. 3. For the NYDBT extract group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the memory deficit was shown for the mice with Alzheimer's disease induced by $A{\beta}$ in the Morris water maze experiment, which measured stop-through latency, and distance movement-through latency. 4. The NYDBT extract suppressed the over-expression of $IL-1{\beta}$ protein, $TNF-{\alpha}$ protein, MDA, and CD68/CD11b, in the mice with Alzheimer's disease induced by $A{\beta}$. 5. The NYDBT extract reduced the infarction area of hippocampus, and controlled the injury of brain tissue in the mice with Alzheimer's disease induced by $A{\beta}$. 6. The NYDBT extract reduced the Tau protein, GFAP protein, and presenilin1/2 protein (immunohistochemistry) of hippocampus in the mice with Alzheimer's disease induced by $A{\beta}$.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YDBT extract may be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 PDF

서포트 추정을 이용한 빠른 이미지 사영 기반 타원형 물체 복원 기법 (Fast Elliptic Object Reconstruction from Projections by Support Estimation)

  • 고경준;이정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05-106
    • /
    • 2007
  • We present a fast reconstruction technique for elliptic objects, which can be applied to real-time computer tomography (CT) for simple geometric objects. It will be also shown that only 3 projections are needed to reconstruct an ellipse. A piecewise quadratic model is also proposed for more efficient Kalman filter based support estimation, which is used for the fast reconstruction technique. The performance of the piecewise quadratic model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existing piecewise linear model. Simulation results for the fast reconstruction are also presented.

  • PDF

안면부에 잔류된 다양한 이물질을 측정한 CT 계수 (CT Number Measurement of Residual Foreign Bodies in Face)

  • 위서영;최환준;김미선;최창용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4호
    • /
    • pp.423-430
    • /
    • 2008
  • Purpose: Computed tomography theoretically should improve detection of foreign bodies and provide more information of adjacent soft tissues. And the CT scanner and PACS program proved to be an excellent instrument for detection and localization of most facial foreign bodies above certain minimum levels of detectability. The severity of injury in penetrating trauma to the face, it is often underestimated by physical examination. Diagnosis of a retained foreign object is always critical. Methods: From March, 2005 to February 2008 a study was done with 200 patients who had facial trauma. Axial and coronal CT images were obtained with a General Electric(Milwaukee, Wis) 9800 CT scanner at 130 kV, 90 mA, with a 2-mm section thickness and a $512{\times}512$ matrix. Results: Axial and coronal CT images at various window widths should be used as the first imaging modality to detect facial foreign bodies. The attenuation coefficients for the metallic and nonmetallic foreign bodies ranged from -437 to +3071 HU. As a general rule, metallic foreign bodies produced more Hounsfield artifacts than nonmetallic foreign bodies, thus providing a clue to their composition. All of the metallic foreign bodies were represented by a single peak and had a maximum attenuation coefficient of +3071 HU. Of the nonmetallic foreign bodies, glass had an attenuation coefficient that ranged from +105 to +2039, while plastic had a much lower coefficient that ranged from -62 to -35. wood had the lowest range of attenuation coefficients: -491 to -437. Conclusion: The PACS program allows one to distinguish metallic from nonmetallic foreign bodies and to individually identify the specific composition of many nonmetallic foreign bodies. This program does not, however, allow identification of the specific composition of a metallic foreign body. We recommend this type of software program for CT scanning of any patient with an injury to the face in which a foreign body is suspected.

컴퓨팅 사고력 기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연구 (Analytic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mputational Thinking based STEAM Program)

  • 김순화;함성진;송기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05-114
    • /
    • 2015
  • SW 역량은 미래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역량으로, 컴퓨팅 사고력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 컴퓨팅 사고력의 도입은 교사와 학생의 인식과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의 부족으로 도입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 친숙한 융합인재교육을 이용해서 개발된 컴퓨팅 사고력 기반 융합인재교육의 현장 적용을 통해 현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49명으로 실험집단 23명, 통제집단 26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에 컴퓨팅 사고력 기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전-사후 융합적 사고력 검사, 컴퓨팅 사고력 검사를 통해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융합적 사고력의 하위 요인인 과학선호도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컴퓨팅 사고력 점수도 실험집단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여 컴퓨팅 사고력 기반 융합인재교육(CT-STEAM)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컴퓨팅 툴을 활용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기대해 본다.

CT Simulation후 DRR film를 이용한 치료중심점을 재확인하기 위한 Conventional simulation의 유용성에 대한 분석

  • 박광호;임영석;김정만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0-105
    • /
    • 1999
  • Purpose : When the value of X,Y,Z coordination of the isocenter are reallocated from an arbitrary point using DRR (Digitally Reconstructed Radiographs) image in CT Simulation, conventional simulation is normally performed to verify the accuracy of this reallocation of the isocenter through the fluroscopy. The purpose of our experiment is to determine whether repeated test of the verification is necessary or not, and to analyze errors of realloca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region and the beam projection, if necessary, Material and Method : For 200 simulation patient, an arbitrary point is marked on each body and axial scaning is performed using CT, and treatment planing is done by drawing tumor and target volume on each slice. Using the planing data and the reallocated point of the isocenter, DRR image can be obtained and the final isocenter are marked on the patient's skin. In order to verify this reallocation of X,Y.Z coordination from CT simulation, We measure and evaluate the errors of these value on the fluoroscopy monitor and systematize them by classifying according to each body region (Brain, Neck and SCL, Lung, Esophagus, abdomen, Breast and Pelvis) and each beam projection {AP(PA), Supine, Prone and conformal : etc. } Conclusion : Isocenters are shifted by 3-5 mm in the case of Neck & SCL, Breast. at Abdomen, while noticeable differences are not found in other regions. Also, there are not correlations between the errors and the body regions or beam projections. However, our experiment intends to decide whether the procedure of verification is necessary on the vase of time and economy. It is regretful that we could not fully analyze the geometrical errors of DRR image and visual errors from the divergence. In conclusion, according to how much doctor consider tumor margin in drawing tumor and target volume, the meaning of analysis on the reallocation of isocenter should be reinterpreted, (which depends on the experience and capability of doctors)

  • PDF

Measurement of S1 foramen depth for ultrasound-guided S1 transforaminal epidural injection

  • Ye Sull Kim;SeongOk Park;Chanhong Lee;Sang-Kyi Lee;A Ram Doo;Ji-Seon Son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6권1호
    • /
    • pp.98-105
    • /
    • 2023
  • Background: Ultrasound-guided first sacral transforaminal epidural steroid injection (S1 TFESI) is a useful and easily applicable alternative to fluoroscopy or computed tomography (CT) in lumbosacral radiculopathy. When a needle approach is used, poor visualization of the needle tip reduces the accuracy of the procedure, increasing its difficulty. This study aimed to improve ultrasound-guided S1 TFESI by evaluating radiological S1 posterior foramen data obtained using three-dimensional CT (3D-CT). Methods: Axial 3D-CT images of the pelvi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adiological measurements obtained from the images included 1st posterior sacral foramen depth (S1D, mm), 1st posterior sacral foramen width (S1W, mm), the angle of the 1st posterior sacral foramen (S1A, °), and 1st posterior sacral foramen distance (S1ds, m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graphic factors and measured values were then analyzed. Results: A total of 632 patients (287 male and 345 female) were examined. The mean S1D values for males and females were 11.9 ± 1.9 mm and 10.6 ± 1.8 mm, respectively (P < 0.001); the mean S1A 28.2 ± 4.8° and 30.1 ± 4.9°, respectively (P < 0.001); and the mean S1ds, 24.1 ± 2.9 mm and 22.9 ± 2.6 mm, respectively (P < 0.001); however, the mean S1W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eight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S1D (β = 0.318, P = 0.004). Conclusions: Ultrasound-guided S1 TFESI performance and safety may be improved with adjustment of needle insertion depth congruent with the patient's height.

퍼지 TOPSIS를 이용한 문화기술 육성 우선순위 평가 (Priority Evaluation for Support of Cultural Technologies Using Fuzzy TOPSIS)

  • 박현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05-113
    • /
    • 2020
  • 문화기술의 개발과 활용은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 생성과 비즈니스 모델 출현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화기술의 다양한 적용 범위와 확장 가능성을 고려하면, R&D 예산 투자 우선순위 결정에 유용한 다면 평가 방법 설계가 필요하다. 평가에 포함되는 기준은 경제적인 측면의 실현 가능성, 기술로 파생되는 서비스의 이용자 편익 등을 골고루 반영하도록 정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퍼지 TOPSIS 방법을 이용하여 7개의 주요 평가속성을 바탕으로 5개의 핵심 문화기술을 비교 평가하였다. 평가 속성의 중요도 평가 결과에서 서비스 유용성 항목이 가장 높은 가중치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핵심 문화기술에 대한 우선순위 평가 결과, 컴퓨터 그래픽스와 UI/UX 기술이 높은 순위로 판정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문화콘텐츠 산업의 성장을 이끌 수 있는 문화기술의 선별적인 투자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픽셀내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듀오픽스TM 엑스선 영상센서 제작 (duoPIXTM X-ray Imaging Sensor Composing of Multiple Thin Film Transistors in a Pixel for Digital X-ray Detector)

  • 전승익;이봉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969-974
    • /
    • 2022
  • 디지털 엑스레이 디텍터 영상 취득에 있어 동적 범위를 최대화하고 영상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엑스레이 영상센서의 픽셀내 포토다이오드에 존재하는 잔류 정전기생용량을 빠르고 완전하기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요구사항은 특히 고속 프레임과 낮은 영상지연이 필요한 산업용 2D/3D 자동화 엑스레이 검사와 의료용 CT 엑스레이 디텍터에 특별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리셋 박막트랜지스터, 리드아웃 박막트랜지스터 그리고 포토다이오드로 픽셀이 구성된 듀오픽스TM 엑스레이 영상센서를 처음으로 제안한다. 듀오픽스TM 엑스레이 영상센서의 구동을 검증하기 위해 105 ㎛의 픽셀 사이즈, 347 mm × 430 mm의 영상영역 그리고 3300 × 4096의 픽셀 (13.5M pixels)을 갖는 듀오픽스TM 엑스레이 영상센서를 설계, 제작하여 모듈테스터와 영상취득 프로그램을 통해 영상을 취득하였다.

두경부(Head & Neck) CT 검사 시 장기의 유효선량 측정 (Effective Dose Determination From CT Head & Neck Region)

  • 윤재혁;이광원;조영기;최지원;이준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2호
    • /
    • pp.105-116
    • /
    • 2011
  • 두경부(Head & Neck) CT(Computed Tomography)검사에서 환자가 받는 피폭선량 측정을 위하여 인체등가물질로 만든 Rando phantom과 유리선량계를 이용하여 두경부 검사에 따른 환자의 흡수선량의 변화를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인체두부모형을 안와신경(optic nerve), 교뇌(pons), 소뇌(cerebellum), 갑상선(thyroid)으로 나누어, 두경부(Head & Neck) 부위의 검사를 단독검사(Brain, 3D Facial, Temporal, Brain Angiography, 3D Cervical Spine)와 복합검사(Brain+Brain Angiography, Brain+3D Facial, Brain+Temporal, Brain+3D Cervical spine, Brain+3D Facial+Temporal, Brain+3D Cervical Spin+Angiography)로 구분하여 유효선량의 변화를 실험한 후 결과를 측정하였다. 단순 Brain검사와 Brain Angio검사에는 optic nerve에 유효 선량이 높게 분석되었으며, 또한 Temporal검사에는 Pons에, 3D facial 검사와 3D Cervical Spin검사에는 thyroid의 유효선량 값이 높게 나타났다. 복합적으로 이루어는 검사 중 두경부의 Brain+Brain Angio의 검사는 cerebellum의 부위, Brain+3D facial 검사와 Brain+3D Cervical Spin의 복합검사는 thyroid의 부위, Brain+Temporal의 검사에는 pon's 부위 유효 선량 값이 높게 나타났다. Brain +3D facial +Temporal의 복합검사와 Brain+3D Cervical Spin+Angio의 복합검사는 thyroid의 부위에 유효 선량 값이 높게 분석 되었다. 본 연구 결과 Brain+3D Cervical Spin+Brain Angio 복합검사인 경우의 유효 선량은 2.51858 mSv로 일반인의 연간 유효선량한도 1 mSv의 피폭을 초과하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Brain 단순 검사 시 optic nerve는 0.31312 mSv의 유효선량으로 향후 방사선학 검사가 이루어질 경우, 두경부의 일반인의 연간 유효선량을 훨씬 초과할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진료의 필요성에 의해서 시행되는 CT검사일지라도 질환 병변의 특성에 맞게 CT촬영조건 변화를 주면서 환자의 피폭선량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다양한 검사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컴퓨터영상의 전자밀도보정에 근거한 치료선량확인: XiO 실험 (Verification of Radiation Therapy Planning Dose Based on Electron Density Correction of CT Number: XiO Experiments)

  • 최태진;김진희;김옥배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7권2호
    • /
    • pp.105-113
    • /
    • 2006
  • 본 연구는 전산치료선량계획장치에서 중첩(Superposition)법을 사용해 비균질성 조직층을 통한 교정선량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직등가물질로는 폐조직으로 콜크($\rho=0.2\;g/cc$)를, 근조직에는 n-Glucose, 골조직에는 $K2HPO4$를 사용한 시료의 전자밀도를 구하였으며, CT영상은 110 KVp와 130 KVp X선을 주사해서 얻고 CT번호(H)와 전자밀도의 함수관계를 조사하였다. 물에 대한 전자밀도비는 컴퓨터선량계획에 중요한 변수이므로 CT번호에 대응된 전자밀도비를 입력하고, 선량확인을 위해 펜텀 구성은 폴리스탈린 고체 펜텀 사이에 5.0 cm 층의 시료를 삽입하고 깊이 12.0 cm와 20.0 cm의 조직 선량을 구하여 실측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CT번호-전자밀도비는 광전효과 현상에 영향을 크게 받게 되어 원자번호가 높은 재질에서 비선형적으로 나타났으며, 130 KVp에서 근조직에는 0.001026H+1.00을, 골조직에는 0.000304H+1.07을 얻었다. 균질 근조직에서 컴퓨터선량과 실측선량을 비교한 결과 중첩법과 FFT 콘볼루션(convolution) 법에서 6, 15 MV X선 모두 1.0% 오차 범위내에 있었으며, 폐조직층 통과한 경우 중첩법은 6 MV X선에서 평균 -1.2%, 골조직에는 평균 -2.9%를 보였고, 15 MV X선에서 2.7%와 2.2%를 얻었으며, FFT콘볼루션법은 6 MV X선에서 폐조직 2.8%, 골조직 -5.0%를 보였고, 15MV X선에서는 각각 6.0%, 0.2%를 보여 중첩법에 의한 치료계획선량이 신뢰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저자들은 각 임상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CT는 일정하지 않고 교정이 필요한 장비이므로, 발전된 치료계획시스템에 적용하고 있는 CT번호-전자밀도비에 대한 정기적인 확인이 필요하며, FFT 콘볼루션법에 비해 빔의 확산방향에 일치된 커널빔을 사용한 중첩법에서 오차가 적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