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T-scan

검색결과 1,344건 처리시간 0.022초

직장암 단층촬영(CT)의 임상적 이용 (A Clinical Use of CT Scan in Rectal Cancer)

  • 서보양;정용식;이수정;심민철;권굉보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67-72
    • /
    • 1986
  • 저자들은 17명의 환자에 19예의 골반 CT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술전 CT 병기와 수술 및 병리학적 병기를 비교하였던 바 12예중 9예(75%)에서 일치하였으며, 2예는 병기가 낮게, 1예는 병기가 높게 판명되었다. 2. 치료는 10예에서 복회음 절제술을, 1예는 하위 전방 절제술을, 나머지 1예는 단순 대장 조루술을 시행하였다. 3. 수술전 CT가 큰 도움이 된 것은 방광침윤이 있는 2예와 골반 조직 동결로 방사선 치료후 2차 수술을 시행한 1예였다. 4. 수술전 간 전이는 1예(50%)에서 발견되었다. 5. 수술전 CT로써는 임파선 침윤 및 전이 정도를 알기가 힘들며, 직장 주위 조직의 염증 변화 경우에도 암 침윤과 구별이 어려웠다. 6. 수술후 CT는 암의 재발 및 원거리 전이의 발견에 유용했다. 따라서 수술전 혹은 후의 골반 CT는 치료 방향 설정 및 암의 국소재발과 전이조기발견에 큰 도움이 되므로 골반 CT의 많은 임상적 이용이 기대된다.

  • PDF

Interference Issuses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s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s and Computed Tomography Scan

  • Periyasamy, M.;Dhanasekaran, R.
    • Journal of Magnetics
    • /
    • 제20권3호
    • /
    • pp.295-301
    • /
    • 2015
  • We evaluated certain issues related to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upled with the use of active 2.5 GHz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s for patient identification using low field (0.3 T) MRI and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We also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of the RFID reader located outside the MRI room by considering several factors. A total of ten active RFID tags were exposed to several MRI sequences and X-rays of CT scan. We found that only card type active RFID tags are suitable for patient identification purpose in MRI environment and both wristbands as well as card tags were suitable for the same in CT environment. Severe artifacts were found in the captured MRI and CT images when the area of the imaging was in proximity to the tags. No external factors affected the performance of active RFID reader stationed outside the MRI scan room.

64-절편 다행검출 CT 검사에서의 환자선량과 암 발생의 Lifetime Attributable Risk(LAR) 평가 (Radiation dose and Lifetime Attributable Risk of Cancer Estimates in 64-slice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 강영한;박종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44-252
    • /
    • 2011
  • 본 연구는 임상에서 시행되고 있는 64 절편 다행검출 CT(MDCT)의 방사선량에 대해 알아보고 이 선량으로 인한 암 발생의 잠재적 위험(LAR)을 정량화하고자 하였다. CT 검사의 선량길이곱과 유효선량을 측정하였고, 이로 인한 암 발생 귀속위험은 미국 전리방사선의 생물학적효과 위원회 7차보고서를 이용하였다. 결과에서 두부 CT의 유효선량은 1.48mSv, 흉부 CT(조영제 포함)의 유효선량은 7.66mSv였으며, 복부 역동적 CT는 24.52mSv였다. 두부 CT의 LAR은 남성 7463명 중 1명, 여성 4926명 중 1명이었고, 흉부 CT(조영제포함)의 LAR은 남성 1449명 중 1명, 여성 952명 중 1명이었으며, 복부 역동적 CT는 남성 453명 중 1명, 여성 298명 중 1명이었다. 따라서 64 절편 MDCT 검사는 암발생위험과 무시할 수 없는 관련성이 있었고, 선량을 줄이기 위해 프로토콜 등을 조정하는 등의 세심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흉부 및 복부 CT 검사 시 안구와 갑상선의 방사선 피폭선량 저감 (Reduction of Radiation Exposure Dose of Eyeball and Thyroid for Chest and Abdomen CT Scan)

  • 이준석;천권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47-151
    • /
    • 2019
  • 흉부 및 복부 CT 검사 시 산란선에 의한 안구와 갑상선의 방사선 피폭선량을 측정하고, 피폭선량의 감소를 위해 차폐체를 사용함으로써 방사선 피폭 정도를 조사하였다. 임상에서 사용되는 흉부 및 복부 CT 검사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안구와 갑상선의 차폐체 사용 전과 후의 선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안구와 갑상선의 표면선량은 OSL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산란선을 차폐하기 위해 바륨, 텅스텐 시트와 고글과 목 차폐체를 사용하였다. 흉부 CT 스캔 시 차폐를 하지 않고 스캔한 안구는 3.01 mSv, 갑상선은 6.21 mSv로 측정 되었고 복부 CT 스캔 시 차폐를 하지 않고 스캔한 안구는 0.55 mSv, 갑상선은 3.22 mSv를 나타내었다. 바륨과 텅스텐 시트는 흉부 CT 검사 시 안구와 갑상선의 차폐율이 11~13%이었고, 복부 CT 검사 시에는 34~49%까지 방사선 피폭의 저감 효과가 있었다. 흉부 및 복부 CT 검사 시 방사선 피폭 정도가 상당하기 때문에 검사가 반복,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방사선 피폭으로 인해 갑상선 암, 백내장 등 방사선 위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검사 시 차폐체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CT 촬영 조건에 따른 PET 영상의 변화 (Change of PET Image According to CT Exposure Conditions)

  • 박재윤;김정훈;이용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73-479
    • /
    • 2019
  • 다양한 촬영 조건의 CT 감쇠 지도가 PET 영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kVp와 mA조건에서 Uniformity phantom 영상의 신호 강도(SI; Signal Intensity)와 표준 섭취율 계수(SUV; Standardized Uptake Value)를 측정하고, CTDI (Computed Tomography Dose Index)를 통해 각 조건에 따른 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동일한 조건에서 Resolution phantom의 반치폭(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측정하여 CT의 kVp와 mA에 따른 PET 영상의 화질 변화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CT의 촬영 조건은 PET 영상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CT의 촬영 조건이 감소하게 되면 방사선 피폭이 감소하게 되지만 영상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향후 진단이 가능한 CT 화질을 유지하면서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C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Computed Tomography)의 촬영 조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되어야 할 것이다.

CT Scan으로 추출한 허벅지 근육량에 따른 태권도 수련자의 에너지 소모량 (Energy Consumption of Taekwondo Practitioners due to a Thigh Muscle Extracted by CT Scan)

  • 김창모;하인숙;이상복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99-204
    • /
    • 2013
  • 우리나라는 태권도의 종주국임에도 불구하고 신체활동량과 그에 따른 에너지 소모량에 대한 기초연구가 미흡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센서(SenseWear$^{(R)}$ $PRO_2$ Armband)를 이용하여 태권도의 신체활동량을 획득하였고, Inbody 520을 통하여 체성분 데이터를 획득 하였으며, CT로 하체부위(허벅지)를 스캔하여 허벅지 근육면적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허벅지 둘레와 근육면적의 상관관계, 허벅지 근육면적과 분당 에너지 소모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실험자 8명의 평균 허벅지 근육면적은 132.79 $cm^2$ 였으며, 무릎뼈(Pattela) 위 20 cm의 평균 허벅지 전체 면적은 178.79 $cm^2$이었다. 실험자들의 허벅지 둘레와 근육면적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자들의 평균 분당 에너지 소모량은 6.94 칼로리였으며, 허벅지 근육면적과 평균 분당 에너지 소모량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 전산화단층촬영에서 Volume Mode의 유용성 연구 (The Study of Effectiveness of Volume Mode in Pediatric CT)

  • 박연;김상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425-431
    • /
    • 2014
  • 본 연구는 ATOM Phantom을 이용하여 선량, 화질을 비교 분석 하여 Volume mode의 유용성 밝혀 소아 CT 검사에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Helical mode Noise와 Volume mode의 Noise, HU, SNR은 p>0.05 이므로 통계적으로 유이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각 부위별 선량값은 모두 p>0.05 이므로 통계적 유이한 차이가 없었으나 DLP값이 Helical mode보다 Volume mode가 더 낮게 측정되었다. 유효선량 역시 Volume mode가 Helical mode 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정성적 분석에서는 Mode에 따른 조건 별로 각각 Helical: 2.6, 3.3, 4.36 Volume: 2.8, 3.64, 4.44, Mode별 Follow up 영상평가 결과로는 Helical mode가 3.8 Volume mode가 3.83점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세 이하의 소아 CT검사에 있어서 640-MDCT Volume scan이 Helical mode와 비교해 낮은 선량으로 영상의 질이 큰 차이가 없기에 소아 CT 검사에는 유용 하다고 생각된다.

유방암 환자에서 골전이에 대한 핵의학적 평가 (Assessment of Bone Metastasis using Nuclear Medicine Imaging in Breast Cancer : Comparison between PET/CT and Bone Scan)

  • 조대현;안병철;강성민;서지형;배진호;이상우;정진향;유정수;박호용;이재태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1호
    • /
    • pp.30-41
    • /
    • 2007
  • 목적 : 유방암 환자에서 골전이는 Tc-99m MDP를 이용한 전신 골스캔이 주로 이용되며, 이 검사 기법은 높은 예민도를 나타내나 특이도가 낮다는 단점을 가진다. F-18 FDG를 이용한 PET 검사는 높은 해상도를 가지며 골스캔이 비하여 높은 분해능을 가지며 골전이 진단성능이 높다. PET에 CT 영상 기법이 도입된 F-18 FDG PET/CT는 PET 검사와 동시에 CT 영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유방암환자의 골전이 평가에 PET 보다 더 높은 검사의 정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에서 골 전이여부를 평가하는데, F-18 FDG PET/CT와 골스캔의 진단성능과 유용성을 비교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후 병기 판정위하여 혹은 유방암 수술후 재발 평가를 위하여, Tc-99m MDP 골스캔과 F-18 FDG PET/CT를 1주일 간격이내에 시행한 여성환자 157명 ($28{\sim}78$세, 평균연령=$49.5{\pm}8.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전이 병소의 최종진단은 조직학적검사, 방사선상학적 검사, 임상적 추적관찰을 이용하였다. 골스캔은 Tc-99m MDP를 740 MBq을 투여한 4시간 후에 평면감마카메라 영상을 얻었다. 골스캔 소견은 정상소견, 저확률, 중간확률, 고확률로 구분하였다. PET/CT 검사는 6시간 이상 금식 이후에 시행하였으며, F-18 FDG 370 MBq을 정맥주사를 시행한 후 1시간동안 안정을 취한 후 3D 방식으로 영상을 획득하였다. CT 촬영은 조용한 호흡 중에 시행되었고 감쇠보정에 이용하였다. 생리적인 섭취증가를 제외하고, 주위 골의 섭취에 비해 높은 섭취를 보이는 경우 이상섭취로 판단하였다. FDG 섭취정도의 정량화는 SUVmax와 SUVrel를 이용하였다. 결과: 대상환자 가운데 6명이(4.4%) 골전이 소견을 나타내었으며, 골스캔은 4명(66.6%)의 환자에서만 진단할 수 있었고, PET/CT는 6명 (100%) 모두를 진단할 수 있었다. 골스캔과 PET/CT에서 발견된 골병소의 수 135개이었으며, 양성병소가 27개, 전이병소가 108개였다. 골전이 병소는 양성 골병소에 비하여 높은 SUVmax 및 SUVrel을 나타내었다($4.79{\pm}3.32$ vs $1.45{\pm}0.44$, p=0.000, $3.08{\pm}2.85$ vs $0.30{\pm}0.43$, p=0.000). 108개의 골전이 병소 가운데 76개(70.4%)의 병소가 골스캔 상 이상섭취 소견을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76개(70.4%)의 병소가 FDG 섭취증가 소견을 나타내었다. 골병소부위의 골스캔상 이상섭취 유무와 PET상 섭취증가 유무는 유의한 일치도를 나타내었다(Kendall tau-b : 0.689, p=0.000). 골전이 병소 가운데 골스캔상 양성소견을 보인 병소는 그렇지 않은 병소에 비하여 높은 SUVmax 와 SUVrel을 나타내었다($6.03{\pm}3.12$ vs $1.09{\pm}1.49$, p=0.000, $4.76{\pm}3.31$ vs $1.29{\pm}0.92$, p=0.000). 골전이 병소의 발생부위는 척추골이 가장 많았으며, 골반골, 늑골, 두개골, 흉골, 견갑골, 대퇴골, 쇄골, 상완골 순서였다. 두개골 전이병소에 SUVmax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늑골의 SUVrel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경화성 골전이 병소가 다른 형태의 골전이 병소에 비하여 낮은 SUVmax와 SUVrel 값을 나타내었다. 결론: 유방암 환자의 골전이 평가시 골스캔에 비하여 F-18 FDG PET/CT의 진단적 예민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경화성 골전이 병소는 FDG 이상섭취가 없는 경우가 많아 CT 소견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구강암의 악골 침윤 평가에 있어서 골스캔의 효과 (THE USEFULNESS OF BONE SCAN FOR EVALUATING JAW BONE EXTENSION OF ORAL CANCER)

  • 박홍주;유선열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6호
    • /
    • pp.658-665
    • /
    • 2000
  • Purpose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iagnostic usefulness of bone scan for evaluating jaw bone extension of or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Medical records, preoperative bone scans, computerized tomographic (CT) scans, conventional radiographs, and findings of histopathologic sections of twenty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for oral malignant tumors by a resection of mandible and soft tissue at Chon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4 to September, 1999 were analyzed. Results : In 13 cases which showed histopathologically positive, preoperative bone scans were positive in 12 (92.3%) and false negative in 1 (7.7%). Preoperative CT scans were positive in 9 (69.2%) and false negative in 4 (30.8%) of the 13 cases. Preoperative conventional radiographs were positive in 8 (61.5%) and false negative in 5 (38.5%) of the 13 cases. In 7 cases showing negative histopathologic findings, 1 (14.3%) was in CT scans and 2 (28.6%) were false positive in preoperative conventional radiograph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ne scan is more sensitive and reliable method for evaluating jaw bone extension of oral cancer than conventional radiographs or CT scans.

  • PDF

Serious Blood-Brain Barrier Disruption after Coil Embolization of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 Report of Two Cases and Role of Immediate Postembolization CT Scan

  • Lee, Kyung-Kyu;Kang, Dong-Hun;Kim, Yong-Sun;Park, Jae-Ch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0권1호
    • /
    • pp.45-47
    • /
    • 2011
  • Abnormal contrast enhancement on brain computed tomography (CT) scan after diagnostic or interventional angiography is not rare, and has known to be induced by temporary blood-brain barrier (BBB) disruption from contrast media. Furthermore, it has been regarded as clinically subtle, but reported to have no symptom or mild transient symptoms. However, we recently experienced two cases of serious BBB disruption during the acute period after coiling of an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One patient presented with an unruptured paraclinoid internal carotid artery (ICA) aneurysm on the right and the other with an unruptured right supraclinoid ICA aneurysm. Both patients showed similar findings on immediate postembolization CT scan and clinical courses after coiling. Typical radiological,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BB disruption were described. In addition, the role of immediate postembolization CT scan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