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T-scan

검색결과 1,344건 처리시간 0.026초

폐 격리증을 동반한 기관지내 평활근종 1례 (1 Case of Bronchial Leiomyoma with In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 정보용;김도환;박은서;한승효;김영통;오미혜;이석열;최재성;나주옥;서기현;김용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6호
    • /
    • pp.678-683
    • /
    • 2006
  • 기관지 평활근종과 폐 격리증은 두 질환 모두 희귀한 질환으로 같이 동반된 증례는 현재까지 보고된 적은 없다. 저자들은 호흡곤란, 기침, 화농성 객담을 주소로 개인의원에서 폐렴 치료 후 호전 없어 본원으로 전원 후, 흉부 CT 촬영과 기관지내시경에서 좌폐하엽의 허탈을 동반한 좌측 주기관지의 말단부위에 1.5 cm크기의 종괴와 대동맥에서 나오는 이상 동맥을 발견하여 이상 동맥 결찰과 좌하엽 절제술을 시행하여 호전되었던 폐 격리증을 동반한 기관지 평활근종 1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one beam CT와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을 이용한 매복 상악 견치의 3차원적 분석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IMPACTED MAXILLARY CANINES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AND PANORAMIC RADIOGRAPHS)

  • 전상윤;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06-117
    • /
    • 2013
  • 견치의 맹출은 영구치열의 이행에 중요하다. 견치 매복의 원인으로 유치의 조기 상실 또는 만기 잔존, 신생물 등이 있으며 측절치 이상이 상악 견치 매복을 야기할 수 있다. 치료되지 않은 매복 견치는 부정교합, 낭종 등을 야기하고 교정치료를 복잡하게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매복된 상악 견치의 위치를 조사하여 치료 및 합병증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상악 견치 매복으로 진단된 89명의 파노라마사진과 전산화단층영상을 사용하여 견치의 위치를 평가하였다. 시행된 치료와 합병증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가장 흔한 매복 위치는 치열궁 영역이었고 협측과 구개측 순이었다. 교정적 견인이 가장 빈번히 선택되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인접치를 변위시키는 경우가 가장 흔했다. 협측에 매복 시 변위를 일으키는 경향이 높았고, 협측에 매복될수록 교정적 견인이 덜 시행되었다. 중절치 근심에 매복 시 치근 흡수를 일으키는 경향이 더 높았다. 그러므로 상악 견치에 대한 검진을 통해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의 시행이 필요하다.

후두전적출술후 기관공재발의 위험요소 분석 (An Analysis of Risk Factors in Stomal Recurrence after Total Layngectomy)

  • 박지훈;김형진;오병훈;최건;정광윤;최종욱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0-86
    • /
    • 2000
  • Background : Stomal recurrence that occasionally follows total laryngectomy is associated with very poor prognosis regardless of treatment modality, so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high risk patients to prevent stomal recurrence. Objectives : We attempted to select an optimal management method to prevent stomal recurrence by analyzing risk factors in each patient who was found to have stomal recurrence following total laryngectomy. Materials and Methods : Risk factors in each of eleven patients who had stomal recurrence out of 159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laryngectomy in the last ten year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Data were gathered on risk factors such as the presence of subglottic extension, extralaryngeal extension, thyroid gland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timing of tracheotomy, tumor stage,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inclusion of the stoma in the radiotherapy field. Results : There were eight cases of subglottic extension, six cases of extralaryngeal invasion, one case of pharyngocutaneous fistula that occurred as a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one case who was taken completion laryngectomy following conservation surgery. With the exception of one case who was taken tracheotomy prior to total laryngectomy, all tracheotomies were performed intra-operatively after endotracheal intubation. There was no evidence of paratracheal lymph node or prelaryngeal lymph node metastasis on preoperative neck CT scan. There were six cases of T4 tumors, four cases of T3 tumors, and one case of T2 tumor. Salvage surgery was performed following radiotherapy in three cases, and aside from one case who was not taken post-operative radiotherapy,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cluding the stoma was performed in the remaining seven cases within one month after surgery. Conclusion : Total laryngectomy with wide paratracheal lymph node dissection, thyroidectomy, and tracheotomy should be performed for patients who have high risk factors such as subglottic extension and advanced stage. We believe that tracheotomy should be precede endotracheal intuba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vent stomal recurrence by utilizing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by minimizing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and fistula.

  • PDF

상행대동맥 및 대동맥궁의 수술 (Operation of Ascending Aorta and/or Aortic Arch)

  • 구본원;허동명;전상훈;장봉현;이종태;김규태;이응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212-1217
    • /
    • 1996
  •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3년 12월부터 1995년 5월까지 14례(남자 9명, 여자 5명)의 상행대동맥 및 대동맥궁질환을 수술하였으며, 환자들의 나이는 25세 에서 65세로 평균 50.4세였다. 진단은 급성 대동맥 박리가 6례(43%)로 4례는 파열이 되었으며, 상행 대동맥류가 4례(29%)로 1례에서 대동맥궁까지 확장되어 있었고 3례에서 파열이 되었으며, 대동맥 판륜확장이 3례(21%)로 1례에서 파열이 동반되었고, 대동맥궁류가 1례(7%)였다. 전례에서 심초음파와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였으며, 혈관촬영은 2례에서 시행하였다. 수술의 적응은 파열 5례, 급성 대동맥 박리 5례, 심한 울혈성 심부전 2례, 진행성의 대동맥판막 폐쇄부전 1례 및 동맥류가 커서 파열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 1례였다. 수술은 10례(71%)에서 응급으로 시행하였다. Cabrol 수술 6례, 대동맥궁 치환을 겸한 Cabrol 수술 1례, 변형된 Bentall수술 1례, 상행 대동맥 치환 4례, 대동맥궁 치환 1례 및 대동맥궁 치환을 겸한 상행 대동맥 치환의 경우가 1례였다. 술후 합병증으로는 순환정지를 62분 시행한 환자가 경련을 보였고, 심방세동이 2례, 흉골 열개가 1례 그리고 종격동염이 1례 있었다. 술후 조기사망은 2례(14%)에서 있었으며 각각 과다 출혈과 다발성 장기부전이 원인이었다. 심실 부정맥으로 인한 만기사망이 1례(7%)에서 있었다. 11명의 생존 환자들의 추적관찰기간은 2개월에서 20개월로 전례에서 경과는 양호하였다.

  • PDF

Duration of Regain of Deep Pain Perception after Decompression Surgery as a Parameter of Surgical Outcome for Acute Thoracolumbar Disc Herniation Hansen Type I with Loss of Deep Pain Perception in Dogs

  • Park, Sung-Su;Lim, Ji-Hey;Byeon, Ye-Eun;Jang, Byung-Jun;Ryu, Hak-Hyun;Uhm, Ji-Yong;Kang, Byung-Jae;Kim, Wan-Hee;Kweon, Oh-Kyeo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29-532
    • /
    • 2008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urations from onset of neurological sign until surgery and regaining of the deep pain perception (DPP) after decompression as prognostic indicators for the outcome of decompression surgery in dogs with thoracolumbar intervertebral disc disease (IVDD). The compression lesions in the thoracolumbar vertebrae were localized by plain radiograph, computed tomography and neurological examination in 28 dogs with hindlimb paralysis. The follow up was carried out for 6 months after laminectomy. During the follow up, regaining DPP and walking ability were evaluated. Improvement to normal or paretic gait after surgery was judged as success of the surgical treatment.The success rate of surgical treatment was 70 % (7 out of 10 dogs) when surgical intervention was carried out within 24 hours but 38.9 % (7 out of 18) over 24 hours (P<0.05). The success rate of surgical treatment was 87.5 % (14 out of 16 dogs) when DDP was regained within 5 weeks after surgery but there was 0 % (0 out of 12 dogs) when DDP was not regained within 5 weeks after surgery (P<0.05). Other parameters such as compression rate in CT scan and laminectomy methods did not related with the success of the surger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ime of surgery after onset and duration of regaining of DPP after decompression were useful parameter to predict the success of surgical treatment for thoracolumbar disc herniation in dogs.

159명의 골다공증성 흉추 및 요추부 골다공증성 추체 압박골절 환자에 대한 경피적 척추성형술 후 치료결과 (Percutaneous Polymethylmethacrylate Vertebroplasty in the Treatment of Osteoporotic Thoracic and Lumbar Vertebral Body Compression Fractures : Outcome of 159 Patients)

  • 이제언;류경식;박춘근;최영근;박춘근;지철;조경석;강준기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2호
    • /
    • pp.173-179
    • /
    • 2001
  • Purpose : To assess therapeutic effects of percutaneous polymethylmethacrylate(PMMA) vertebroplasty on the pain caused by osteoporotic thoracic and lumbar vertebral body compression fractures in a large scale of a prospective clinical design, and to determine clinical factors influencing its therapeutic effects. Methods : A prospective clinical study was carried out in 349 vertebral levels of 159 patients between April 1998 and July 1999. The compression fractures were confirmed with bone scan and spine CT, and bone marrow density was measured. Visual analogue scale(VAS) score was used for pre- and post-operative assessments of the pain. All 159 patients were assessed immediately after surgery, and 140 patients of them were followed-up for about 6 months in average. Results : Partial and complete pain relief was sustained immediately after operation in 73%, through follow-up period in 88% of the patients. Pain relief was not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PMMA or the rate of increase in the height of the compressed vertebral body. It appears that 3 to 6cc of PMMA was proper enough to sustain pain relief. Better clinical improvement was achieved in the patients treated within 6 months after occurrence of vertebral body fracture. The most frequent surgical complication was epidural leakage of PMMA, and the most serious complication was extravertebral leakage into the paravertebral muscles, which appeared to exert the worst influence on the outcome. However, surgery was not required in these patients. Conclusion : Therapeutic effects of PMMA percutaneous vertebroplasty on osteoporotic vertebral body compression fractures were confirmed in a relatively large scale of prospective clinical study. It appears that good outcome can be achieved in patients treated within 6 months after fracture, treated each level with 3 to 6cc of PMMA in amount. without serious complications.

  • PDF

완전무치악 환자에서 디지털 가이드 수술 방식을 이용한 무피판절개 임플란트 식립증례: 증례보고 및 5년 추적관찰 (Flapless implant placement with digital 3D imaging and planning system in fully edentulous patient: A case report and 5-year follow-up)

  • 신미선;백장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312-320
    • /
    • 2019
  •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진료에서 가장 주목받는 분야 중 하나가 디지털 소프트웨어와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수술용 스텐트를 제작,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분야이다.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 임플란트 치료계획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수술용 가이드는 예지성과 심미성, 기능성을 갖춘 임플란트의 식립과 수복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러한 가이드 수술은 임플란트 수복물의 형태와 기능을 고려한 임플란트의 식립 시 더욱 유리하다. 최근 여러 제조사에서 보철물 제작을 위해 치과용 스캔부터 제작방법까지 다양한 디지털 방식의 제작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정확하고 예지성 있는 예후를 위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점차 발전하고 있다. 이번 증례는 완전무치악의 여성 환자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수복증례이다. 하악은 all-on-four 방식을 적용하여 4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였으며, 상악은 이에 기초하여 6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최종보철물에 기초한 임플란트의 식립을 위해 임플란트 수술용 스텐트를 이용하였으며, 환자는 치료 결과에 만족하였으며, 5년 추적관찰 결과, 임플란트와 보철물 모두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데이터 기반 게이팅을 이용한 PET 영상의 움직임 인공물의 정량적 비교 (Quantitative Comparison of Motion Artifacts in PET Images using Data-Based Gating)

  • 김진영;진계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91-9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자체 제작한 움직임 팬텀을 이용하여 다양한 호흡모사를 하고, PET/CT 장비 내의 데이터기 기반 보정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의 SUVmax 및 병변 부피를 분석하여 호흡에 따른 장기 또는 종양의 움직임으로 인한 인공물의 감소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동거리 3 cm에서 데이터 기반 게이팅을 적용한 영상이 데이터 기반 게이팅을 적용하지 않은 영상보다 SUVmax가 팬텀 구의 지름이 10 mm, 13 mm, 17 mm, 22 mm, 28 mm, 37 mm에서 각각 2.37, 2.02, 1.44, 1.20, 0.42, 0.52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향상률로 표시하면 각각 72.5%, 73.3%, 51.3%, 25.8%, 8.6%, 7.2%이었다. 크기가 작은 병소의 SUVmax의 개선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데이터 기반 게이팅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에 비하여 적용하였을 때에 1 cm, 2 cm, 3 cm에서 각각 5%, 12%, 18%의 영상의 면적이 감소하는 개선효과가 있었고, 그리고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클 때 감소 효과도 커졌다. 데이터 기반 게이팅을 적용하면 검사절차가 간소화되고, 사술자의 피폭선량 감소효과와 더불어 호흡으로 인한 인공물을 감소시켜 영상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간혈관종의 검사기법과 영상소견 (Examination Techniques and Imaging Findings of Hepatic Hemangioma)

  • 구창회;금종완;석지은;최동철;최윤호;한만석;전민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75-384
    • /
    • 2023
  • 간혈관종은 우리 몸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간병변 중 하나이다. 대부분 간혈관종은 증상이 없고 크기도 작기에 병리학적 검사로는 발견하기 어렵다. 따라서 간혈관종의 초기 발견 및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진단은 필수이다. 본 연구는 간혈관종에 대한 방사선진단인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핵의학, 초음파 검사의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전산화단층촬영에서는 조영제를 이용한 삼중시기 기법,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는 T1, T2 강조영상, 조영제를 이용한 동적 자기공명영상, 초고속 자기공명 영상기법, 확산강조영상의 방법, 핵의학에선 99mTc 표지 적혈구를 사용한 혈액풀 스캔방법, 초음파에선 색조도플러의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부분의 간혈관종은 양성종양이기에 간세포암 등과 같은 악성 종양과 혼동하지 않게 주의하여 불필요한 시술을 방지해야 한다. 그러므로 정확한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간혈관종의 영상소견을 정확히 숙지하여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동맥 색전술을 이용한 십이지장 3부 게실 출혈의 성공적인 지혈: 증례 보고 (Successful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following Diverticular Bleeding in the Third Portion of the Duodenum: A Case Report)

  • 홍석진;이상민;최호철;원정호;나재범;김지은;최혜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237-243
    • /
    • 2021
  • 본 증례는 73세 남자 환자가 십이지장 3부에서 발생한 상부위장관 출혈로 인해 경동맥 색전술로 치료한 드문 증례이다. 환자는 혈변을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초기 상부 및 하부 위장관 내시경과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출혈 부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입원 3일째에 혈색소 수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테크네슘-적혈구 스캔을 시행하였고 십이지장 3부의 게실 내에 출혈이 의심되어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였다. 상장간동맥 혈관조영술에서 십이지장 게실에 혈류를 공급하는 하췌십이지장동맥의 활동성 출혈이 관찰되어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7일 동안 재출혈이나 합병증이 없어 퇴원하였다. 이에 발생빈도가 매우 낮고 초기 진단이 어려웠던 십이지장 게실 출혈의 보고와 관련된 문헌고찰을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