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T images

검색결과 1,652건 처리시간 0.048초

Fatty Liver 환자의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을 이용한 질감특징분석 (Texture Feature analysis using Computed Tomography Imaging in Fatty Liver Disease Patients)

  • 박형후;박지군;최일홍;강상식;노시철;정봉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81-87
    • /
    • 2016
  • 본 실험에서 제안된 질감특징분석 알고리즘은 지방간 환자의 CT영상을 이용하여 정상영상과 질환영상으로 구분하여, 정상 간 CT영상과 지방간 CT영상을 생성하고 제안된 질감특징분석을 이용한 컴퓨터보조 진단 시스템에 적용하여 6개의 파라메타로 정량적 분석을 통해 지방간 CT영상의 질환 인식률을 도출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로 지방간 CT영상 30증례 중에서 각각의 파라메타별 질감특징 값에 대한 인식률은 평균 밝기의 경우 100%, 엔트로피의 경우 96.67%, 왜곡도의 경우 93.33%로 높게 나타났고, 평탄도의 경우 83.33%, 균일도의 경우 86.67%, 평균대조도의 경우 80%로 다소 낮은 질환 인식률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영상의 컴퓨터보조진단 시스템으로 발전된 프로그램을 구현한다면 지방간 CT영상의 질환부위 자동검출 및 정량적 진단이 가능해 컴퓨터보조진단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최종판독에서 객관성, 정확성, 판독시간 단축에 유용하게 사용 될 것으로 사료된다.

Difference in glenoid retroversion between two-dimensional axial computed tomography and three-dimensional reconstructed images

  • Kim, Hyungsuk;Yoo, Chang Hyun;Park, Soo Bin;Song, Hyun Seok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3권2호
    • /
    • pp.71-79
    • /
    • 2020
  • Background: The glenoid version of the shoulder joint correlates with the stability of the glenohumeral joint and the clinical results of total shoulder arthroplasty. We sought to analyze and compare the glenoid version measured by traditional axial two-dimensional (2D) computed tomography (CT) and three-dimensional (3D) reconstructed images at different levels. Methods: A total of 30 cases, including 15 male and 15 female patients, who underwent 3D shoulder CT imaging was randomly selected and matched by sex consecutively at one hospital. The angular difference between the scapular body axis and 2D CT slice axis was measured. The glenoid version was assessed at three levels (midpoint, upper one-third, and center of the lower circle of the glenoid) using Friedman's method in the axial plane with 2D CT images and at the same level of three different transverse planes using a 3D reconstructed image. Results: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scapular body axis on the 3D reconstructed image and the 2D CT slice axis was 38.4°. At the level of the midpoint of the glenoid, the measurements were 1.7°±4.9° on the 2D CT images and -1.8°±4.1° in the 3D reconstructed image. At the level of the center of the lower circle, the measurements were 2.7°±5.2° on the 2D CT images and -0.5°±4.8° in the 3D reconstructed imag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2D CT and 3D reconstructed images at all three levels. Conclusions: The glenoid version is measured differently between axial 2D CT and 3D reconstructed images at three levels. Use of 3D reconstructed imaging can provide a more accurate glenoid version profile relative to 2D CT. The glenoid version is measured differently at different levels.

F-18 FDG PET/CT로 재구성한 담관암의 3차원 영상 (Three Dimensional Volume Rendering Fusion Images Using F-18 FDG PET/CT in Evaluation of Cholangiocellular Carcinoma)

  • 공은정;조인호;천경아;원규장;이형우;은종열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1호
    • /
    • pp.81-81
    • /
    • 2008
  • A 69-year old male with cholangiocellular carcinoma (CCC) was assigned to our department for whole body PET/CT scan. $^{18}F$-FDG PET/CT images showed an intense hypermetabolic lobulating mass(SUVmax = 8.7 / size : 11.4 mm) in the right hepatic lobe with multiple metastatic lung nodules. We made three dimensional volume rendering fusion images by using advantage workstation 4.3 (GE health care) which provide quick anatomic overview and improve the planning process significantly.

치골 부위의 CT 적층 영상을 활용한 3D 기하학적 곡면 모델로의 가공 (Construction of 3D Geometric Surface Model from Laminated CT Images for the Pubis)

  • 황호진;문두환;황진상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234-242
    • /
    • 2010
  • 3D CAD technology has been extended to a medical area including dental clinic beyond industrial design. The 2D images obtained by CT(Computerized Tomography) and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are not intuitive, and thus the volume rendering technique, which transforms 2D data into 3D anatomic information, has been in practical use. This paper has focused on a method and its implementation for forming 3D geometric surface model from laminated CT images of the pubis. The implemented system could support a dental clinic to observe and examine the status of a patient's pubis before implant surgery. The supplement of 3D implant model would help dental surgeons settle operation plans more safely and confidently. It also would be utilized with teaching materials for a practice and training.

A Fast Lower Extremity Vessel Segmentation Method for Large CT Data Sets Using 3-Dimensional Seeded Region Growing and Branch Classification

  • Kim, Dong-Sung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348-354
    • /
    • 2008
  • Segmenting vessels in lower extremity CT images is very difficult because of gray level variation, connection to bones, and their small sizes. Instead of segmenting vessels, we propose an approach that segments bones and subtracts them from the original CT images. The subtracted images can contain not only connected vessel structures but also isolated vessels, which are very difficult to detect using conventional vessel segmentation methods. The proposed method initially grows a 3-dimensional (3D) volume with a seeded region growing (SRG) using an adaptive threshold and then detects junctions and forked branches. The forked branches are classified into either bone branches or vessel branches based on appearance, shape, size change, and moving velocity of the branch. The final volume is re-grown by collecting connected bone branches. The algorithm has produced promising results for segmenting bone structures in several tens of vessel-enhanced CT image data sets of lower extremities.

PET/CT 검사 환자의 피폭선량 경감을 위한 연구 (Research on the Reduction of Exposure Dose of a Patient Having a PET/CT Exam)

  • 김봉수;표성재;조용귀;신채호;조진우;김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3권3호
    • /
    • pp.10-16
    • /
    • 2009
  • 목적 : 환자의 피폭선량 감소를 위해 PET/CT검사 시Pitch를 조절하여 환자의 피폭선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려해 보고 Pitch 조정이 CT 영상과 PET의 SUV값에 영향을 주어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 보고자 한다. 방법 : Siemens사의 Biograp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Scanner (CT 형식 : TRCT-240-130 (WCT-240-130)을 사용하였다. 환자의 피폭선량 평가로는 CT 조사선량 측정기인 PTW-DIADOS 11003/1383를 사용하여 선량을 측정하였고 Pitch 조정이 CT 영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APM Standard Phantom을 이용하여 pitch 변화에 따른 CT 영상의 공간 분해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리고, PET source consists of a solid radioactive cylinder phantom을 사용하여 Pitch 변화에 따른 Fusion 영상의 SUV값을 산출하여 PET/CT 영상에서 SUV값이 변하였는지 확인하였다. 결과 : 2slice CT scanner에서는 Pitch가 0.7~1.3까지는 방사선량이 크게 떨어지나 1.5~1.9까지는 방사선량의 감소가 작아졌으며 Pitch값이 커질수록 환자의 피폭선량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Pitch값의 증가에 따른 SUV값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Pitch값이 PET SUV값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itch의 변화가 CT 영상에도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위의 결과로 PET/CT를 사용하는 병원은 영상의 왜곡이 없고 PET SUV값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 병원에 맞는 Pitch값을 찾아서 환자의 피폭 경감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Multi-detector를 가진 CT scanner인 경우에 모두 해당 될 것이라 생각되며 향후 다른 장비에서도 이와 같은 실험이 필요하다 하겠다.

  • PDF

형태기반 보간법과 양자화 기법을 이용한 CT 영상에서의 간 영역과 간암 추출 및 분석 (Detection and Analysis of the Liver Region and Hepatoma in CT Images Using Shape-based Interpolation and Quantization Method)

  • 김광백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80-389
    • /
    • 2007
  • 암은 한국에서 전체 사망률의 가장 많은 원인 중의 하나이며 이 중 간세포 암은 암에 의한 사망원인 중에서 성별에 관계없이 위암 다음으로 사망률이 높다. 특히 $40{\sim}60$세까지 중장년 기에서의 간암 발생률은 세계에서 가장 높으며, OECD 국가 중에서 간암 사망률은 최고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영증강 CT 영상에서 간암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전문의를 보조할 수 있는 보조 전문가 시스템으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흉부의 상위 부분부터 5mm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촬영한 약 $40{\sim}50$장의 조영 증강 CT 영상에서 늑골의 정보를 이용하여 장기들의 정보만으로 구성된 내부 영역과 늑골 및 피하지방층, 그리고 배경으로 구성된 외부 영역을 구분한다. 간 영역의 정보가 포함된 내부영역에서 명암도와 명암의 분포도, 간의 형태 및 위치 정보, 그리고 각 슬라이드를 기준으로 이전 CT 영상과 다음 CT 영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간 영역을 추출한다. 간암은 추출된 간 영역에 형태기반 보간법을 적용하여 CT 촬영에서 생기는 슬라이드 사이의 5mm 공간정보를 복원한 후, 각 슬라이드를 기준으로 이전 CT 영상과 다음 CT 영상의 정보와 간암이 가지는 명암도 및 형태학적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제안된 간 및 간암 영역 추출 방법을 전문의가 판별한 것과 비교 분석한 결과, 전문의를 보조할 수 있는 보조 전문가 시스템으로서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흉부 CT에 있어서 컴퓨터 보조 진단 (Computer-Aided Diagnosis in Chest CT)

  • 구진모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6호
    • /
    • pp.515-521
    • /
    • 2004
  • With the increasing resolution of modern CT scanners, analysis of the larger numbers of images acquired in a lung screening exam or diagnostic study is necessary, which also needs high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Recent developments in the computerized analysis of medical images are expected to aid radiologists and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 in various diagnostic tasks of medical image interpretation. This article is to provide a brief overview of some of computer-aided diagnosis schemes in chest CT.

Multi-Detector Row CT를 이용한 중심부 기도 질환의 평가 (Multi-Detector Row CT of the Central Airway Disease)

  • 강은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3호
    • /
    • pp.239-249
    • /
    • 2003
  • Multi-detector row CT (MDCT) provides faster speed, longer coverage in conjunction with thin slices, improved spatial resolution, and ability to produce high quality muliplanar and three-dimensional (3D) images. MDCT has revolutionized the non-invasive evaluation of the central airways. Simultaneous display of axial, multiplanar, and 3D images raises precision and accuracy of the radiologic diagnosis of central airway disease. This article introduces central airway imaging with MDCT emphasizing on the emerging role of multiplanar and 3D reconstruction.

3D CT 동영상 구성을 위한 속도 개선 알고리즘 (The Algorithm Improved the Speed for the 3-Dimensional CT Video Composition)

  • 정찬웅;박진우;전계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1-14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방사능 피폭량이 부챗살 형태의 Fan Beam 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원추형 Cone Beam CT 시스템을 사용하여 3차원 영상을 빠르게 구성하기 위한 회전 기반법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계산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초월함수가 더 적은 3단계 회전 행렬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구현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구성한 영상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라돈 변환 알고리즘으로 구현된 3차원 영상과 비교하여 영상의 질은 평균적으로 단면 영상 당 10% 정도의 오차를 보이며 미약하게 저하되었으나 영상 구성 속도 면에서는 35배 개선됨을 보였다. 이는 대략 초당 $4{\sim}5$ 프레임을 얻을 수 있는 수치이며 간단한 구조를 가진 피사체라면 보다 많은 프레임을 얻을 수 있어 3차원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