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T 시험편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초

탄소성유강화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소형 인장 시험편에서 여러 종류의 심재에 따른 파손 연구 (Fracture Study due to Various Core at Compact Tension Specimen Made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 김재원;조재웅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589-596
    • /
    • 2018
  • 현대 사회에서 의식주 중에서 구조물이나 운송수단은 중요한 역할을 가진다. 만약 구조물이나 운송수단에 작은 크랙이라도 생기고 크랙이 진전되면 그 부품들이 파괴되어 큰 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본 연구에서는 크랙의 진전에 따른 파손 경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험편을 이용하였다. CT 시험편의 재질로는 요즘 각광받는 복합재료인 단방향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을 사용하였다. 시험편 모델은 단방향성 섬유로서 적층각도를 주었고 적층각도는 [60/-60/60/-60]순으로 지정하였다. 해석 조건으로는 하단부의 홀을 고정시킨후 상단부 홀을 15mm의 강제 변위를 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는 구조용 강, 구리, 티타늄, 알루미늄 순으로 등가응력과 전단응력이 높게 나왔다. 이러한 결과는 이종재료로 만들어진 CT 시험편의 파손을 검증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구멍들을 가진 표준 CT 시험편 내에서의 크랙 거동에 대한 해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Crack Behavior Inside Standard Compact Tension Specimen with Holes)

  • 이정호;조재웅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0권6호
    • /
    • pp.531-537
    • /
    • 2016
  • 기계 혹은 구조물의 파손 및 파괴는 소재의 내부에 존재하는 결함에서 발생하는 크랙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크랙들은 밀집하여 존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크랙의 진전 및 성장특성들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표준 CT 시험편 내부의 크랙 및 구멍의 위치에 따른 파괴특성을 고찰하였으며, 표준CT 시험편에 편심된 집중하중을 가하였을 때, 시험편 내 크랙 주변의 구멍의 존재유무 및 위치에 따른 파괴역학적 거동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Model 3(크랙 주변에 구멍이 한 개 존재하는 시험편 모델로서 크랙의 끝부분과 구멍 간의 거리 가로방향으로 2mm의 경우)가 최대 변형량, 최대 응력 및 최대 변형 에너지, 모두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모든 시험편 모델들이 시험편 내부의 크랙과 구멍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최대 응력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구멍의 개수와는 별개로 시험편 내부의 크랙 가까이에 구멍이 존재할 때 크랙 가까이에서 최대 응력은 커지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계 혹은 기계 구조물 내부에 구멍을 뚫는다면, 시험편에 발생하는 파괴 응력의 값을 줄임으로써 파손이나 고장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원자력압력용기강 (SA508-3)의 평활 및 측면홈 CT시험편을 이용한 J$_{IC}$ 평가 (JIC Evaluation of the Smooth and the Side-Grooved CT Specimens in the Reactor Pressure Vessel Steel(SA508-3))

  • ;오세욱;임만배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73-184
    • /
    • 1994
  • 원자력 압력용기강의 탄소성 파괴인성값 $J_IC$를 CT형 시험편을 이용하여 검토하였으며, 평활 시험편 및 측면홈 시험편의 두께는 각각 $B_O$=25.4mm, $B_N$=20.4mm 이다. 측면홈의 깊이는 19.7% 이며, 홈의 각도는 90 .deg.로 가공하였다. 탄소성 파괴인성시험은 ASTM E813-81과 JSME S001-81의 추천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두 추천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ASTM 방법에 의한 $J_IC$값이 과대평가됨으로써 부대조건에 만족되지 못하였지만 JSME방법은 만족되었다. 측면홈 시험편은 R고선법에 의한 ductile tearing의 결정이 평활 시험편보다 용이하였으며, 이에 따른 $J_IC$값의 정확성을 배가 할 수 있었다. 또한 임계 스트레치존 폭($SZW_C$)은 측면홈에 의한 높은 3축응력이 발생되어 평활시험편보다 적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복합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스트레치존법에 의한 $J_IC$평가는 R곡선법에 의한 평가보다 약간 과대평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표준 CT시험편을 이용한 실배관 파괴저항 곡선 예측 (Estimation of the Fracture Resistance Curve for the Nuclear Piping Using the Standard Compact Tension Specimen)

  • 박홍선;허용;구재민;석창성;박재실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3권9호
    • /
    • pp.930-937
    • /
    • 2009
  • The estimation method of the fracture resistance curve for the pipe specimen was proposed using the load ratio method for the standard specimen. For this,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load - CMOD curve for the pipe specimen with the common format equation(CFE) was proposed by using data of the CT specimen. The proposed method agreed well with experimental data. The J-integral value and the crack extension were calculated from the estimated load - CMOD data. The fracture resistance curve was estimated from the calculated J-integral and the crack extension. From these results, it have been seen that the proposed method is reliable to estimate the J-R curve of the pipe specimen.

마찰교반용접된 Al7075-T651 용접부의 피로균열전파 거동에 미치는 시험편 채취방향의 영향 (Effect of Specimen Orientation on Fatigue Crack Growth Behavior in Friction Stir Welded Al7075-T651 Joints)

  • 정의한;김선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12호
    • /
    • pp.1317-132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찰교반용접된 Al7075-T651의 피로균열전파 거동에 미치는 시험편의 채취방향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피로균열전파 실험은 마찰교반용접된 공시재로부터 모재와 용접재에 대하여 CT 시험편을 채취하여 일정응력확대계수범위 제어하에서 수행되었다. 균열이 용접선에 수직하여 전파하는 것(TL 시험편으로 명명)과 균열이 용접선과 나란히 전파하는 시험편(LT 시험편으로 명명)에 대하여 3가지 다른 응력확대계수범위에서 실험이 수행되었다. 시험편의 채취 방향에 따라 피로균열전파거동에 주요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Paris 법칙에 적합시킨 결과 지수 m값은 WM-LT 시험편이 3.5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인게이지법을 이용한 응력확대계수 측정 (Measurement of Stress Intensity Factor Using Strain Gage Methods)

  • 김재훈;문순일;이현철;김덕희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3-64
    • /
    • 2000
  • 모드 I 응력확대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스트레인게이지법이 연구되었다. CT 시험편과 3점 굽힘 시험편이 사용되었다. 시험편의 예리한 노치부는 와이어 방전 가공에 의하여 제작되었다. 균열 선단 영역으로부터 얻은 스트레인게이지 신호는 응력확대계수를 계산하는데 사용되었다. 시험 결과는 ASTM E399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 및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들과 유한요소해석 결과는 잘 일치하였다. 이 방법을 적용할 때 스트레인게이지 부착 위치는 신중히 고려되어야 한다.

  • PDF

SB41 강의 평골 및 측면홈 CT시험편의 $J_{IC}$평가 ($J_{IC}$ Evaluation of Smooth and Side-Grooved CT Specimens in Structural Steel SB 41)

  • 오세욱;안광주;윤영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494-503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저강도.고연성재인 일반구조용압연강 SB41의 평골 CT 시험편과 양측면홈이 있는 CT시험편을 사용하여 ASTM R유선법, JSME R유선법,SZW법, 초음파법 및 전입차법에 따라 J$_{IC}$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복수시험편법인 ASTM 및 JSME 및 JSME R유선법을 상호 비교고찰하므로써 저강도.고연성재에 대한 파환인성평가 의 적용한계를 명확히 하였으며 단일시험편법인 초음파 및 전입차시험법은 효율적이고 간편한 J$_{IC}$평가법임을 확인하였다.

한계하중법을 이용한 Curved CT 시험편의 파괴저항곡선에 미치는 형상변수 영향 평가 (Evaluation of Shape Parameter Effect on the J-R Curve of Curved CT Specimen Using Limit Load Method)

  • 신인환;박치용;석창성;구재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7호
    • /
    • pp.757-76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계하중법을 이용하여 Curved CT 시험편의 J-적분에 미치는 형상변수 영향을 평가하였다. 주요 형상변수인 시험편의 길이와 폭의 비(L/W), 평균곡률반경과 두께의 비($R_m/t$)에 대한 파괴인성시험 후, ASTM 시험법에서 제시한 표준시험편의 J-적분과 한계하중법으로 구한 J-적분을 각각 적용하여 구한 파괴저항곡선을 평가하였다. 또한 배관의 파괴저항곡선을 잘 모사한다고 알려진 휨 광폭평판(CWP) 및 표준시험편의 파괴저항곡선과 비교 고찰하여 최종적으로 Curved CT 시험편의 파괴저항곡선에 대한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향후 실배관의 정확한 파괴인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 Curved CT 시험편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실측 둔화직선을 이용한 SB41 강의 J$_{IC}$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J$_{IC}$ for SB41 Steel with Measured Bluntion Line)

  • 허정원;오세욱;유재환;김득진;차재준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8-46
    • /
    • 1994
  • The method of JSME S001-83 and ASTM E813-87 have been adapted for evaluation of the elastic-plastic fracture toughness J sub(IC) of SB41 steel. This SB41 steel have the characteristics of low-stength CT specimens. The test results obtained have been considered and compared on the basis of resulted data from two kinds of methods(JSME S001-83, ASTM E813-87) and two kinds of specimen configurations(smooth, side-grooved). On the basis of results from consideration and comparison, the difficulties for its application were presented in case when the standard ASTM E813-87 method was employed for the measurement of J sub(IC) in SB41 steel. A modified method was applied for measuring J sub(IC) in SB41 steel that it used the blunting line real-measured by experiment instead of the standard blunting line theoretically determined, and the result from that procedure was analyzed and the usefulness of that method was examined and consider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