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S2013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7초

Surface Segregation of Hydroniums and Chlorides in a Thick Ice Film at Higher Temperatures

  • Lee, Du Hyeong;Bang, Jaehyeock;Kang, Heo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63-263
    • /
    • 2013
  • This work examines the dynamic properties of ice surfaces in vacuum for the temperature range of 140~180 K, which extends over the onset temperatures for ice sublimation and the phase transition from amorphous to crystallization ice.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s on the transport processes of excess protons and chloride ions in ice and their segregative behavior to the ice surface. These phenomena were studied by conducting experiments with a relatively thick (~100 BL) ice film constructed with a bottom $H_2O$ layer and an upper $D_2O$ layer, with excess hydronium and chloride ions trapped at the $H_2O$/$D_2O$ interface as they were generated by the ionization of hydrogen chloride. The migration of protons, chloride ions, and water molecules to the ice film surface and their H/D exchange reactions were measur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using the methods of low energy sputtering (LES) and Cs+ reactive ion scattering (RIS). Temperature programmed desorption (TPD) experiments monitored the desorption of water and hydrogen chloride from the surface. Our observations indicated that both hydronium and chloride ions migrated from the interfacial layer to segregate to the surface at high temperature. Hydrogen chloride gas desorbs via recombination reaction of hydronium and chloride ions floating on the surface. Surface segregation of these species is driven by thermodynamic potential gradient present near the ice surface, whereas in the bulk, their transport is facilitated by thermal diffusion process. The finding suggests that chlorine activation reactions of hydrogen chloride for polar stratospheric ice particles occur at the surface of ice within a depth of at most a few molecular layers, rather than in the bulk phase.

  • PDF

환율변동에 따른 농식품산업 무역적자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s in the Korean Agro-food Industry)

  • 임성수;남재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33-140
    • /
    • 2019
  • 본 연구는 농식품 무역적자 심화의 원인을 환율변동 위험에서 찾고, 최근 환율변동이 급격했던 2009~2013년 구간의 미국의 달러 약세 및 일본의 엔화 약세 현상이 한국 농식품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본의 양적완화가 실시된 2012년 이후 농식품 수출액이 감소하여 무역적자가 확대되었으며, 2008년 미국의 양적완화 조치로 2009~2011년 한국의 대미 수입액이 급격히 늘어 무역적자가 심화되었다. 장기적인 환율하락은 한국 농식품 수출의 감소와 수입 증가를 야기하여 한국 경제 상황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정부는 농식품 수입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생산농가들도 외환손실 방지를 위해 사전에 직접 환율변동 위험을 대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콘트롤타워 역할을 통해 새로운 환율변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무역상대국의 환율 공세에 효과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며, 환율상담과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동시에 환위험 관리의 중요성에 관한 홍보를 실시해야 할 것이다.

노년기 음주자의 치아발거 필요와 관련된 요인 (The Factors Accociated with Needs of Tooth Extraction in Elderly Drinkers)

  • 이지연;강은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27-235
    • /
    • 2019
  • 본 연구는 2013-2015년도에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만 65세 이상의 발거가 필요한 치아를 보유한 음주노인 1,865명을 대상으로 했다. 치아발거필요 관련요인을 결과변수로 한 분석결과, 음주노인의 남성에서, 소득이 더 낮을수록, 흡연자에서, 본인인지구강건강상태 나쁨에서, 구강위생용품 사용안함에서 치아를 발거해야 할 위험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음주노인의 치아발거 위험요인을 미리 파악하여 치아상실을 조기에 예방하고 잔존치아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하기 위해서는 음주문화를 개선하고 현재가 아닌 이전 생애주기에서 음주자의 구강건강관리 전략을 모색하고, 국가차원의 통합적 구강보건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에티오피아 남부 켄티차 페그마타이트의 분화양상과 희유원소 광화작용 (Fractionation and Rare-Element Mineralization of Kenticha Pegmatite, Southern Ethiopia)

  • 김의준;김수영;문동혁;고상모
    • 자원환경지질
    • /
    • 제46권5호
    • /
    • pp.375-390
    • /
    • 2013
  • 켄티차(Kenticha) 희유원소(Ta-Li-Nb-Be) 광화대는 에티오피아 남부의 오피올라이트 습곡-쓰러스트 복합체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1980년대 에티오피아-구소련간 수행된 공동탐사 프로그램을 통해서 처음 발견되었다. 켄티차 희유원소 광화대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덜미다마(Dermidama), 킬킬리(Kilkele), 슈니힐(Shuni Hill), 켄티차, 부포(Bupo) 페그마타이트를 포함한다. 켄티차 페그마타이트는 남북방향의 사문암과 활석-녹니석 편암층을 평행하게 관입하고 있으며, 대략 연장 2 km, 폭 400-700 m로 노출되어 있다. 켄티차 페그마타이트는 내부적으로 대상(zoning)을 이루고 있으며, 광물조합에 따라 하부 석영-백운모-조장석 화강암, 중부 백운모-석영-조장석-미사장석 페그마타이트, 상부 스포듀민-석영-조장석 페그마타이트로 세분된다. 주성분, 미량성분(Rb, Li, Nb, Ta, Ga), 원소비(K/Rb, Nb/Ta, Mg/Li, Al/Ga)는 페그마타이트의 분별작용과 고화작용이 하부에서 상부 페그마타이트로 진행되었음을 시사한다. 반면에 일반적인 페그마타이트 멜트의 분화양상과 달리 켄티차 페그마타이트의 Mg/Li 비는 상부 페그마타이트로 가면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양상은 후기 마그마성 열수변질 또는 상부 초염기성암과의 반응 결과로 해석된다. 켄티차 페그마타이트의 희유원소 광화작용은 상부 페그마타이트에 집중되며, 최대 $Li_2O$ 3.0%, Rb 3,780 pm, Cs 111 ppm, Ta 1,320 ppm, and Nb 332 ppm을 함유하고 있다. 켄티차 페그마타이트에서 광석광물은 주로 탄탈라이트, 스포듀민, 레피돌라이트가 산출되며, 탄탈라이트는 거정의 석영-스포듀민과 상대적으로 세립의 당상 조장석과 함께 산출된다. 탄탈라이트는 $Mn^*$$Ta^*$ 값에 근거할 때 Mn-탄탈라이트로 분류된다. 거정질과 세립의 탄탈라이트는 조성($Mn^*$, $Ta^*$, Nb/Ta) 차이가 명확히 나타나며, 거정질 탄탈라이트는 세립의 탄탈라이트에 비해 Ta이 강하게 부화되며 Nb은 결핍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켄티차 페그마타이트에서 희유원소 광화작용은 마그마 멜트의 분별작용 최후기에 형성되었다.

남자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 및 피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Harassment Behavior and Damage Behavior of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of Male University Students)

  • 염건웅;구상미;김래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64-17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 및 피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충북에 위치한 U대학의 6개 학과의 재학생은 총 233명이었다. 연구도구로 데이트폭력 인식은 정하윤(2013)의 도구를 사용하였고, 데이트폭력 가해행동 및 피해행동은 CTS2를 김정란(1999)이 번안한 도구를 적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데이트폭력 인식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 및 피해행동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데이트폭력 인식이 데이트 폭력 가해행동 및 피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남자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인식과 데이트폭력 가해행동 및 피해행동 간에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자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 및 피해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을 위한 데이트폭력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파장 라우팅 광학 네트워크-온-칩에서의 최소 개수 파장 할당 기법 (A Minimum Wavelength Assignment Technique for Wavelength-routed Optical Network-on-Chip)

  • 김영석;이재훈;최적;한태희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0호
    • /
    • pp.82-90
    • /
    • 2013
  •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의 광학 네트워크-온-칩(Optical NoC, ONoC)은 차세대 엑사스케일 컴퓨팅(Exascale computing)을 위한 유망 아키텍처 기술 중 하나이다. 최근 들어 활발해지고 있는 ONoC의 연구들은 파장 분할 다중화(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를 이용하여 대역폭을 더욱 향상시키고 광신호의 경로 충돌을 방지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기존 ONoC 연구에서는 중앙 집중형 라우터 구조 위주로 Processing Element(PE)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WDM을 위해 사용되는 파장 수가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파장 수의 증가는 다중 파장을 위한 광원 및 광학 스위치 등 광학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비용을 증가시키고 광신호의 상호 간섭에 의한 감쇄 효과 등으로 ONoC의 확장성을 제한한다. 본 논문에서는 WDM 기반 2D-mesh 구조의 ONoC를 위한 분산형 광학 라우팅 아키텍처를 제안하고 커뮤니케이션의 연결정도에 따라 필요한 파장 수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기존 중앙 집중형 라우팅 아키텍처와 비교하여 $8{\times}8$ 네트워크에서 평균 56% 파장 수와, 21%의 광학 스위치 수를 감소시켰다.

알로에 베라(A. vera)와 알로에 사포나리아(A. saponaria)로 부터 효모의 분리 및 계통분석 (Selective Isolation and Phylogeny of the Yeast Species Associated with Aloe vera and Aloe saponaria)

  • 최성창;김명욱;김종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0-243
    • /
    • 2013
  • 효모의 유용 기능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효모만을 스크리닝 하는 방법의 정립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서 알로에에 정착하는 효모 군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알로에 베라(Aloe vera)와 알로에 사포나리아 (Aloe saponaria)의 잎을 파쇄하여 세균을 억제하기 위해서 항생제 chloramphenicol과 streptomycin과 곰팡이 생장을 억제하기 위해서 Triton X-100과 L-sorbose를 포함한 4가지 선택 배지(DOB with CS, GPY, YM, SCG)에 도말 하였고, A. vera에서 총 67균주, A. saponaria에서 총 42균주를 분리해 내었다. 분리된 균주를 ITS 1, 4 primer를 사용하여 sequence의 계통분석을 실시한 결과, A. vera에서는 Meyerozyma 가 56균주, Rhodotorula 가 1균주, Sporobolomyces 가 1균주, Cryptococcus 가 9균주, A. saponaria에서는 Rhodosporidium 가 41균주, Sporobolomyces가 1균주로 분포 되었다. 계통분석한 모든 분리 균주가 효모로 밝혀졌으며, 특히 대형 플레이트를 도입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대량의 효모를 발굴할 수 있음을 보였다.

Morphology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epiphytic dinoflagellate Amphidinium massartii, isolated from the temperate waters off Jeju Island, Korea

  • Lee, Kyung Ha;Jeong, Hae Jin;Park, Kila;Kang, Nam Seon;Yoo, Yeong Du;Lee, Moo Joon;Lee, Jin-Woo;Lee, Soojin;Kim, Taekyung;Kim, Hyung Seop;Noh, Jae Hoon
    • ALGAE
    • /
    • 제28권3호
    • /
    • pp.213-231
    • /
    • 2013
  • Amphidinium massartii Biecheler is an epiphytic and toxic dinoflagellate. Prior to the present study, A. massartii has been reported in the waters off the Mediterranean, Australian, USA, and Canadian coasts. We isolated Amphidinium cells from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and their morphology and rDNA sequences indicated that they were A. massartii. Herein, we report for the first time the occurrence of A. massartii in the waters of the temperate region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The large subunit (LSU) rDNA sequences of the Korean strains were 0.7% different from those of an Australian strain of A. massartii CS-259, the closest species, but were 4.1-5.8% different from those of the other Australian strains and the USA strains of A. massartii and from those of Amphidinium sp. HG115 that was isolated from subtropical Okinawan waters. In phylogenetic trees based on LSU,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mall subunit rDNA, and cytochrome b sequences, the Korean strains belonged to the A. massartii clade, which was clearly divergent from the A. carterae clade. The morphology of the Korean A. massartii strains was similar to that of the originally described French strain and recently described Australian strain. However, we report for the first time here that scales were observed on the surface of the flagella. In conclusion, the Korean A. massartii strains have unique rDNA sequences, even though they have a very similar morphology to that of previously reported strains. This report extends the known range of this dinoflagellate to the temperate waters of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관절경하 회전근개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상견갑 신경차단술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Ultrasonography-guided Suprascapular Nerve Block in Patients treated with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 문영래;강정훈;김현학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4-88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하여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행받은 환자 군에 대하여 수술 후 시행한 혈소판 농축 혈장을 이용한 상견갑 신경 차단술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3월부터 2014년 3월 사이 본원에서 회전근 개 파열 진단 하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6주 경과하여 외래 내원시 초음파 유도 하에 혈소판 농축 혈장을 이용한 상견갑 신경 차단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전, 술 후 6주, 그리고 술 후 3개월 추시를 통하여 환자의 통증에 대한 visual analog score(VAS), 관절 운동 범위(ROM), Constant Shoulder Score (CSS)를 평가하였다. 결과: 상견갑 신경 차단술을 시행한 후 환자들의 VAS, 관절 운동 범위, CSS이 시술전과 비교하여 임상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초음파 유도 하 혈소판 농축 혈장을 이용한 상견갑 신경 차단술은 어깨 주변 통증에 대한 치료 효과뿐 아니라 술 후 남아 있는 견관절 통증이나 운동 범위 제한 등에도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 PDF

커피원두의 배전강도에 따른 품질특성 및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ffee Bean Characteristics and Coffee Flavors in Relation to Roasting)

  • 이문조;김상은;김종환;이상원;염동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55-261
    • /
    • 2013
  • 본 연구는 Arabica종(CS, BS)과 Robusta종(EM, IR)의 품종이 다른 커피원두를 사용하여 약, 중, 강배전 정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과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배전강도에 따른 구성성분의 변화와 배전 후 관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배전 정도에 따른 수분함량은 모든 원두에서 배전강도가 강해질수록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중배전에서 수분함량이 급격히 줄어들어 강배전에서는 1.0~1.2%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총 무게 손실률은 배전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함량과 반비례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배전강도가 강해질수록 배전커피의 pH는 증가하고 약배전보다 중배전과 강배전으로 배전 조건이 높아질수록 pH는 급격하게 변화하였다. 총 산도는 pH의 증가와 반대로 배전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Hunter scale의 L값과 b값은 배전이 진행될수록 Maillard 반응으로 인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a값은 약배전 시까지는 증가하였다가 중, 강배전으로 진행될수록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로스팅 정도에 따른 배전커피에 대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결과 약 20여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검출되었으며, 향기성분 중 furan 성분은 강배전으로 갈수록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furfural, diacetyl, 2,3-pentanedione 및 pyrazine 등은 배전 정도가 강해질수록 감소하였다. 일반적으로 배전 정도가 강해질수록 aldehyde 화합물의 함량이 많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를 통하여 약배전으로 배전된 원두에서 추출한 커피에서 향과 신맛을 가장 많이 느낄 수 있다고 평가되었으며 신맛의 경우에는 pH와 산도의 결과와 연관성이 있었다. 배전강도가 강해질수록 쓴맛과 탄맛을 강하게 느끼며, 중배전 이상으로 배전된 커피에서는 입안에서 느껴지는 풍부함이 강하게 느낄 수 있다고 조사되었다. 배전강도가 강할수록 향기성분 중 furfural, diacetyl, 2,3-pentanedione 및 pyrazine 등은 배전 정도가 강해질수록 감소하였고, 2-methylfuran은 커피의 배전강도가 강할수록 증가하여 커피 맛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유효 향기성분인 동시에 커피의 배전 정도에 따라 성분 함량이 감소하거나 증가함을 보이므로 배전 정도를 결정짓는 지표 물질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Arabica종의 Brasil santos No.2 품종이 향기성분 및 관능점수가 높아 다른 품종의 커피보다 맛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